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대립물의 통일

"상대적이고 그 투쟁이 절대적이며, 이로써 통일을 유지하고 있는
모순이 부단히 해결되면서 또 다시 새로운 통일을 만들어 내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부단히 발전해 가는 것이다."
- 철학사전 중, 중원문화


종국적으로 발생하는 관계의 문제는 바로 신뢰의 문제이다. 그러나 한 공동체에서, 일상적 집단 속에서는 신뢰는 절대악이라는 생각이다. 이 무지한 신뢰 속에서 우리는 지속적으로 파멸하고, 의지하고, 기대며 무언가를 갈구한다.

신뢰라는 것은 결국 배려와 애정이라는 베일에 가려져, 모두를 속이고 망상으로 유인하며 현실 속에서 지속적으로 상상적 세계를 구축한다. 맑스 또한 '의심'이라는 철학적 인식방법으로 흠모한 것으로 안다. 그것은 그 또한 살아가면서 무수히 의심받고 의심하면서 살아왔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사실 그를 신뢰한다는 것은 모두에게 거짓말같은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살아온 인생이 예수의 30년의 사생활과 3년간의 공생활로 비유
해서 대비해본다면, 아마도 맑스는 그 반대가 옳을 듯하다. 물론 그는 예수보다 오래 살았지만 말이다. 그 속에서 맑스는 역사 속에서 부인되거나 철저하게 신봉되는 존재였지, 맑스라는 개인의 지독히도 철저한 개인에 대한 평가는 없었다. 그래서 더욱 신뢰라는 문제는 개인적이라기 보다는 집단적이고 직관에 다름 아닐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의 우리에게는 필요한 법이다. 그를 다시 생각하는 이유는 그로부터 발생하게 된 우리들의 관계문제이다. 더욱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리들의 관계를 인식하는 방법의 문제이다.

맑스와 맑스의 아류 속에서, 혹은 역사적 경험과 근거를 바탕으로
그것이 실패를 했던 성공을 했던 간에 그가 우리에게 던져준 세계인식
과 더불어 관계인식의 문제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이러한 인식방법으로서의 '맑스' 우리들을 파편화시키기도 했고 우리들을 함께 규합하는 호루라기 같은 존재였었다. 그러나 그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추억이 되거나, 말하기 부끄러운, 혹은 망각의 대상으로 서로를 자극하고 자극받으며, 무언의 폭력과 폭언의 관심으로 우리들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이유는 우리가 인식방법으로서 맑스를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관계의 문제만 보자. 우리들의 관계는 사실상 맑스적 인식방법은 없다. 단순한 신뢰관계에 의지해 서로가 유리벽에 갖혀피를 말리고 살아가는 "한 때"의 존재일 뿐이다.

서로의 머리통에 총구를 겨누고 방아쇠를 당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런 일은 있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항상 서로의 머리통에는 누군가의 총구가 겨누어져 있어야 하며, 그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관계의 투명성을 밝혀나가는 증명을 누군가 하여야 한다. 그게 과학이고 내가 생각하는 맑스의 신뢰의 인식이라고 생각한다.

오늘 맑스가 생각나는 이유는 다름아니다. 어짜피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흩어질 운명이다. 각자의 영역에서 자기의 성을 구축하고 타인을 경계하면서 살아갈 존재이다. 신뢰에서 의심으로 나아가는 불편한 상황이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싶다.

서로의 머리통에 겨누는 총구가 탄환을 장전해 놓은 채 있었는지, 빈총을 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방아쇠를 당기면 알 수 있수 있는 법이다. 오늘부터 우리는 서로의 머리에 趺?찬란한 탄환이 연탄구멍처럼 박혀있는 총알집을 빙빙돌리며, 총구를 누군가의 머리에 댈 수 있다는 것과 그 반대의 경우도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신뢰는 선물이고, 노력의 다른 말일 뿐 그것은 한 순에 무너지기 마련이다. 긴장을 늦추면 결국 머리통은 날라갈 뿐이다. 이미 나는 오발을 맞았고, 방아쇠를 당기는 일에는 관심이 없다.

2002/10/05 16:1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