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15/11

5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5/11/25
    검은 사제들
    공돌
  2. 2015/11/20
    노동위원회
    공돌
  3. 2015/11/10
    비정규직, 환불
    공돌
  4. 2015/11/10
    아이유 논란
    공돌
  5. 2015/11/06
    너무 오랜만에 들어왔네
    공돌

검은 사제들

'검은 사제들'이라는 영화가 꽤나 재미있나 보네.

관객수 450만명을 넘었다네. 엑소시스트 영화는 좋아하는 편이나,

과연 한국에 퇴마(혹은 구마)를 하는 사제들이 필요한지는 의문이네.

귀신 잡는 현역 해병대가 2만명이 넘고, 제대한 퇴마사들도 전국 도처에 깔려 있는데 말이지.

 

여하간 위키백과에는 이렇게 설명해 놨네?

 

1950년 8월 17일 통영 상륙 작전에서 해병대 1개 중대는 조선인민군 대대 병력을 격파하고 통영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1950년 8월 23일 최초의 퓰리처상 여성 수상자인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 마거릿 히긴스 기자는 이 성과를 보도하는 《귀신잡는 해병》(Ghost-catching Marines)이라는 기사에서 "한국 해병대는 악마조차도 잡을 정도였다."(They might even capture the devil)고 썼고, 그 이후로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별칭이 붙었다.

 

나무위키에는 귀신잡는 해병이라는 말의 배경을 다음과 설명해 놨네?

"한국전쟁이 한창 벌어지던 1950년 8월 17일. 김성은 중령이 이끄는 1개 대대가 경남 통영에서 북한군 대대 병력을 무찌르고 통영 탈환에 성공하였다. 당시 전과는 사살 469명, 포로 83명, 아군 피해는 15명 전사 47명 부상이었다. 당시 이 전투를 취재한 미국 AP통신의 마거릿 히긴스 기자는 본국에 보내는 기사전문에 "그들은 귀신도 잡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써서 이로 인해 한국 해병대의 구호인 귀신잡는 해병이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얘기가 전해져 온다. 하지만 히긴스 기자가 정말 그런 기사를 썼다는 걸 증명할 실제 기사의 존재가 확인된 적은 없다. 히긴스 기자의 종군 기사들을 모아놓은 저서에도 그런 얘기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심지어 한국전쟁에서의 히긴스 기자의 활동을 집중해서 다룬 KBS 역사스페셜에서도 히긴스 기자의 보도내용들은 모두 미국 기사 원본들이 화면으로 함께 소개되는 형식으로 나왔지만, '귀신잡는 해병' 관련 내용은 기사 원본이 안나오고 그냥 한국 해병대 출신들의 카더라 인터뷰로만 나왔다. 한국전쟁에 관련해 자세한 것은 6.25 전쟁 항목 참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위원회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81447&ref=A

 

kbs "시사기획 창"에서 " ‘노동위 심층 보고서’ 누가 심판하는가?" 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했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적절치 않는 것들이 거슬리기는 하지만, 노동위원회에 대한 문제제기를 지상파 방송에서 한 것은 최초가 아닌가 싶네.

 

한편 법률비용보험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 법률신문 글을 스크랩해 놓아 보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46920

 

 

~법률비용보험은 우리에겐 아직 낯선 개념이다. 하지만 독일과 미국 등에서는 이미 1세기 가까운 역사를 거치면서 국민 절반이 가입하는 필수보험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법률비용보험을 사회복지를 위한 법률구조정책의 한 축으로 삼으면서 각국의 사회적 환경에 맞는 독특한 제도로 발전시키고 있다.

◇ 독일= 보험형태의 법률비용지불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7년 프랑스의 도시인 르망(LeMans)에서다. 사고가 속출하는 르망자동차 경주대회에서 피해자가 경주대회 주최측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자 스위스 국적의 DAS(Deutscher Automobil Schutz AG)사가 이를 보험으로 처리하는 상품을 내놨다. 1928년 이 회사가 자회사 설립방식으로 독일에 진출했다. 처음에는 자동차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소송 및 변호사보수, 감정서 작성비용 등을 보장하다 2차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전후복구와 경제부흥의 필요에 의해 다른 분야로까지 확대됐다. 독일은 2004년을 기준으로 보험료 규모 29억유로(3조5,000억원)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 손해보험시장 553억유로의 5.4%를 차지한다. 보험계약건수는 1,969만건으로 가구당가입률 43%, 손해율은 65~75% 수준이다. 상품을 판매하는 보험회사는 모두 46개사에 이르지만 DAS, Allianz, ARAG 등 상위 3개사가 38.6%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 미국= 미국은 노동조합이 사용자로부터 기금을 마련해 조합원에게 법률비용이 발생했을때 지급하는 ‘공제형보험’이 주종을 이룬다. 영리보험이 자리잡지 못한 이유로는 성공여부에 따라 천차만별인 변호사비용과 지역마다 다른 보험관련법규 등이 꼽히고 있다. 1899년 의사방어회사가 의료과실사건에 대해 변호를 제공한 것을 시작으로 1919년 경찰관상조회, 1930년 열차승무원상조회 등으로 그 숫자를 서서히 늘리다 1971년 ‘운송연합 대 미시건주’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이 단체를 통한 변호사비용 마련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005년 기준으로 2,700여개 단체를 통해 미국 전체 인구의 40%인 1억2,200만명이 보험혜택을 받고 있다.

◇ 일본= 일본은 변호사단체가 법률비용보험의 판매주축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2000년 일본변호사연합회는 닛세이도와, 타이세이, 다이찌라이프 등 3개 보험회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상품개발과 판매에 나섰다. 또 각 지방변호사회에 ‘법률상담센터’를 설치해 피보험자에 대한 변호사소개에도 적극적이다. 현재는 니세이도와, 에이스, 소니, 후지 4개 손해보험사와 제휴를 맺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본안소송이 연간 55만건으로 소송건수가 적고 법률비용보험 보상한도도 500만엔 정도로 높지 않아 판매실적은 그리 높지는 않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비정규직, 환불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6596.html

내용인즉

1. 대형마트에 가서 장을 보고 집에 돌아와 영수증을 찬찬히 들여다봤다.

2. 내가 사지 않은 물품을 발견했고, 그것이 멸치 100그램 9300원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3. 혹시나해서 장바구니를 샅샅이 뒤졌지만, 없었다.

4. 고객센터로 전화를 거니, 영수증을 지참해 방문하라고 했다.

5. 마트에 방문하니, 상담원이 폐회로티브이(CCTV)를 통해 물건을 장바구니에 담는 것을 조사했단다. 그래서 환불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6. 시인도 시시티브이를 보고 싶다고 요청을 했으나 마트측은 경찰이 입회를 해야 한다고 했다.

7.  갈때까지 가보자고 했는데, 상담원 한 사람이 다가와 상황이 곤란하다고 사정하듯이 말했다. 이유인즉 어제의 계산원에게 피해가 간다는 것이었다.

8. 시인은 "나는, 대기업의 실수가 아니라 비정규직 계산원의 실수와 마주하게 되었다."고 했다. 또한 "비정규직의 적나라한 아슬아슬함만이 눈앞에 선연해지고, 대기업이 소비자를 대하는 교묘한 방식만이 배후에 어른대는 불쾌함을 또 목격"했다고 하면서,

9. 결국 환불은 못받았다는 얘기다.

 

이 경우에는 어떻하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아이유 논란

신문 보다 답답해서.....

아이유 제제가 논란이 커지네. 진짜 아청아청한 건지 보니,

결론은 그다지.

문학적 감수성이 절판 위기에 가까운 나에겐 동녘의 주장은 와닿지 않네.

 

출판사가 과연 제제에 대한 순수한 보호의지를 가진 집단인지도 의문이네.

더구나 창비가 그랬듯 출판사가 작가와 빙의되는 경우는 봤어도,

작품의 주인공에 빙의되기는 커녕 아예 문학 폴리스를 자처하는 경우는 처음이네.

 

부적절하다는 비난, 혹은 비판. 공감가는 부분, 있네.

근데, 비난을 넘어서 문화혁명식으로 가면 곤란한데.

이마트에서 미국산 오렌지를 샀네. 그런데 미국은 가만히 있는데,

이마트가 오렌지 먹는 법이 틀렸다고 나에게 비난 성명을 내놓네?

 

동녘은 제제가 핀업걸처럼 오른 다리 쭉펴고 왼다리 꼬불치고 있어서 상업적이라네.

근데 동녘이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PDF로 뿌리거나 책을 무상으로 찍어

국민들에게 보급하는 것이 아닌 바에야 자기들도 상업 출판사의 바운더리 내에 있을텐데.

 

이외수씨는 작품에 손대지 말라네.

미술작품 손대지 말라는 건 봤어도, 책을 손대지 않으면 혀로 책장을 넘겨야 되나.

그것은 음란행위 아닌가. 원작을 손대지 말라면,

번지점프 중에 하다, 넣는 내운명, 혀준, 세운대, 떡국열차, 박응교 등

당대 국정에로물들은 어떻게 하나.

조성진이 피아노 교본에 있는대로 쳐서 꽁꾸르 1등 잡솼나.

원곡을 지쪼대로 해석했던거 아닌가. 근데 음반사가 그렇게 치면 안된다는 것과 뭐가 다른가.

 

책 속의 제제가 5세이고, 책 밖에 있는 제제가 52세로 추정되므로,

(책은 1968년 출간, 출간 당시 제제는 5세, 사칙연산에 따라 1963년 출생추정, 고로 현재 52세)

난 망사 신어도 된다고 보네.

망사가 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근데? 이제 더보기 삽입이 안되나 보네. 아무리 더보기를 눌러도 상자가 뜨질 않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너무 오랜만에 들어왔네

내 집에 들어 왔는데도, 뭔가 불편한 이 느낌은 뭐지?

 

신약성경 루가복음 15장 11절에서 32절에 등장하는 돌아온 탕자와는 또 다른 느낌?

받아주거나 자시거나 할 거 없이 그냥 훅 나갔다가 훅 들어오는 느낌?

이 블로그를 어쩔까, 참 고민되네. 나이 먹어서 짤방이나 주우러 다는 것도 남사스럽고.

그렇다고 글빨도 예전같지 않아, 훈민정음료수 다시 섭취해야 할 판이라.

 

날씨는 왜 이렇냐. 더럽게 쌀쌀하네.

몇 해 전부터 사놓은 가을옷은 꺼내보지도 못하고...

언젠가부터 여름 겨울 가을 봄으로 계절이 바뀌고 있나보다.

 

여하간...가을이라..싱숭생숭해서 그런지.

거리에는 종북좌빨간색 단풍이 고이고이 물들어 있고,

아직 우리 사무실 옆 꽃집에 전시해 놓은 무성무성한 국정화도

가을 바람 맞으며 말라 시들어가고 있네.

 

아, 고민되네. ㅆㅂ, 욕을 해도 요즘은 시원하지 않네.

아, 진짜. 우짤꼬 싶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