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회사생활...
- 무나
- 2011
-
- 한 작은 생명이 지다(3)
- 무나
- 2010
-
- 사육과 육식
- 무나
- 2010
-
- 알아차리기와 글쓰기, 크리슈나무르티(1)
- 무나
- 2010
-
- 진보넷 새단장 축하~(1)
- 무나
- 2010
264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from vshiba.net
Cotton: The fibre of freedom
Cotton is the fibre that has clothed humanity through most regions of the world and through most of our history.
Yet cotton is also the fibre that led to colonization and slavery and is now leading to recolonisation and ecological disaster.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was based on the mechanization of spinning and weaving. Three continents were colonized to transform cotton from a fibre of freedom to a thread of colonization. India was colonized to destroy its highly evolved textile industry. Its was transformed from being a producer and exporter of fine calicos and chintzes to Europe into a seller of raw material – Indigo and cotton – produced under slave conditions, and a buyer of factory produced textiles from Lancashire and Manchester. Africa was colonized to provide slave labour and the Americans were colonized to provide the land, to grow cotton for England’s hungry mills.
Cotton exports from US jumped from 400000 boles in 1820 to 4 m boles in 1861.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slave labour that worked on the plantations in the Southern states. That mentality that assumes slavery is now ruling the world. And cotton is again playing a role in the new imperialism.
Colonisation and the Spinning Wheel
The mechanization of textile manufacture was the leading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By the time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s made full impact on the British textile industry in the early 19th century, England had gained full political control over resources and its markets of its colonies; including India. India until then had been a leading producer and exporter of textiles in the world market. The industrialization of England was based in part on the deindustrialisation of India. The development of England was based on India’s underdevelopment. It is no co-incidence that India’s independence movement was based in large measure on seeding liberation from the control on resources and people of Third World that were part of the process of Europe’s industrialisation. Two symbols of India’s independence struggle were the ‘Champaran Satyagraha’ and the ‘Charkh’. The Champaran Satyagraha was a peaceful revolt against the forced cultivation of indigo as a dye for the British textile industry. The ‘Charka’ or spinning wheel was the technological alternative that created self-reliance instead of dependence, and generated livelihoods instead of destroying them.
While the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British textiles industry were made possible only through the prior control over the resources and the market, the stagnation and decay of this industry in India was a result of the loss of political control first over the market and later over the raw material. The destruction of India’s textile industry necessitated the destruction of the skills and autonomy of India’s weavers. Often this destruction was extremely violent. For instance, the thumbs of the best Bengal Weavers were cut off to cut off market competition when Indian hand woven textiles continued to do better than the British mill products. The impact of the violence manipulation and control of the English merchants on the Indian weavers started when the East India Company become a territorial power by defeating Nawab Sirajuddaula in the battle of Palassi in 1757. Before that the Indian weavers were independent producers and had control over their produce. The East India Company replaced the indigenous merchants by a ‘body of paid servants receiving instructions from them with coercive authority over weavers that none had before. They had virtual monopoly of the market and had effectively exercised control over raw materials and began to extend this control over the weavers’ tools. Under the company weavers had virtually become wage workers on terms and conditions over which they had no control.’
In the context of such erosion of the control on resources and the market, the traditional weavers of India were displaced. There was an exodus out of the weaving trade. New textile technology was imported into India from England in the mid-19th century by the cotton traders of India who were involved in export of cotton to England. This new group of powerful merchants turned mill owners competed with the handloom weavers for the common market and the raw material base. The establishment of textile mills in Lancashire and later in India deprived the Indian weaver both of the market and the raw material. When the American cotton supply to the English textile industry was disturbed by the American civil war, the famous cotton famine of 1890s broke out and the English instantly reacted by grabbing the cotton in India. The cotton famine was transferred to India.
A government survey of 1884 gives the following picture of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clothing:
“It is evident that the whole population must be far nearer a state of pristine nudity than ever before. Every poor person stints himself to an inconceivable degree in his clothing and every purpose to which cotton is applied. He wears his turban and breach cloth to rags, dispenses with his body clothing and denies himself of his annual renewal of his scanty suit”
There was also a devastating impact of the new textile mills opened in Indian on the handloom weavers.
“The growth of the industry began to impinge on the handloom industry…. This incursion of mills into areas hitherto considered the special reserves of the handloom industry had a many sided effect…and led to unprecedented worsening of the conditions of the handloom weavers…Actual unemployment was seen as in the statistics of idle handlooms; this was estimated at 13% in 1940 by the fact finding committee (of Handlooms and mills)
Gandhi’s critique of the industrialisation of India on the western model was based on his perception of the poverty, dispossession and destruction of livelihoods, which resulted from it.
‘Why must India become industrial in the western sense?’, Gandhi has asked ‘what is good for one nation situated in one condition is not necessarily good for another differently situated. One mans’ food is often another man’s poison… Mechanization is good when hands are too few for the work intended to be accomplished. It is an evil where there are more hands than required for the work, as is the case in India.
It was to regenerate livelihoods in India that Gandhi thought of the spinning wheel as a symbol of liberations and a tool for development in that period of early industrialisation. However, the hunger of mills for raw-material and markets was the reason for a new poverty, created by the destruction of livelihoods either by diverting land and biomass from local subsistence to the factory, or by displacing local production through the market.
Gandhi had said that ‘anything that millions can do together, becomes charged with unique power’. The spinning wheel had become a symbol of such power. ‘The wheel as such is lifeless, but when I invest it with symbolism, it becomes a living thing for me.’
When Gandhi described the Charkha in 1908, in Hind Swaraj as a panacea for the growing pauperism of India, he had never seen a spinning wheel. Even in 1915, when he returned to India from South Africa, he had not actually seen a spinning wheel. But he saw an essential element of freedom from colonialism in discarding the use of mill woven cloth. He set up handlooms in the Satyagraha Ashram at Sabarmati, but could not find a spinning wheel or a spinner, who were normally women. In 1917, Gandhi’s disciple Ganga behn Majumdar started a search for the spinning wheel, and found one in Vijapur in the Baroda State. Quite a few people there had spinning wheels in their homes, but had long since consigned them to the lofts as useless lumbers. They now pulled them out, and soon Vijapur Khadi gained a name for itself. And Khadi and the spinning wheel rapidly become the symbol for India’s independence movement.
The spinning wheel symbolized a technology that conserves resources, people’s livelihoods and people’s control over their livelihoods. In contrast to the imperialism of the British textile industry, not labour displacing. It needed people’s hands and minds, instead of treating them as surplus, or as mere inputs into an industrial process. This critical mixture of decentralization, livelihood generation, resource conservation and strengthening of self-reliance were essential to undo the waste of centralization, livelihood destruction, resource depletion and crea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dependence that had been engendered by the industrialisation associated with colonialism.
Gandhi’s spinning wheel is a challenge to notions of progress and obsolescence that arise form absolutions and false universalism in concepts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bsolescence and waste are social constructs that have both a political and ecological component. Politically, the notion of obsolescence gets rid of people’s control over their lives and livelihoods by defining productive work as unproductive and removing people’s control over production in the name of progress. It would rather waste hands then waste time. Ecologically, too obsolescence destroys the regenerative capacity of nature by substituting manufactured uniformity in place of nature’s diversity. This induced dispensability of poorer people on the one hand and diversity on the other constitutes if the political ecolog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guided by narrow and reductionist notions of productivity. Parochial notions o productivity, perceived as universal, rob people of control over their means of reproducing life and rob nature of her capacity to regenerate diversity.
Extracted from: Dr. Vandana Shiva’s The Violence of the Green Revolution
In September 2003, the WTO Talks in Cancun collapsed. Cotton was at the core of the breakdown.
While free trade had been sold as producing a “level playing field’, the rules of WTO were in fact rules of forced trade which forced Third World countries to open their markets to dumping by removing trade barriers while the rich countries subsidies kept increasing, artificially lowering prices and thus destroying the livelihoods of peasants.
Four tiny countries – Benin, Burkina Faso, Chad and Mali made cotton subsidies the main issue in Cancun. The US is subsidizing its 20000 agribusiness farms up to $4 billion, and dumping cotton on world markets. According to the World Bank 15 million growers of cotton in African countries are losing $ 250 million each year due to the false law prices of US cotton. In 2001, the cost of cotton in US was $ 0.9313 / bushel, and the export price was $ 0.39 68/ bushels, a dumping of 57%. From 1995 to 2001, dumping jumped form 17% to 57% in the case of cotton.
As the African countries said at a press conference in Cancun:
“Africans came to Cancun hoping for solutions to the problems faced by some 15 millions cotton producers.
African cotton producers received good words. But 24 hours before the end of the Ministerial Conference, the countries which submitted the Cotton Initiative did not receive a response to their problems.
They had been told “trade not aid…”
The cost of cotton production in Western and Central Africa is among the lowest in the world. But producers cannot anymore live with their earnings and they could be excluded from the world market to the benefit of producers with higher productions costs receiving massive subsidies.
Cancun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for lifting millions of people out of poverty and, at the same time, bringing coherence between the aid and trade policies of industrialized countries. But no solutions has been found yet because the interest of a few. Have to be preserved.
If Africans leave Cancun without practical results, they may not return because so much efforts have led to so little.”
The fact that a Korean farmer Lee Kyung Nee had taken his life in Cancun, showed that trade negotiations in WTO have laterally become a life and death matter for millions. As Lee had stated:
“My warning goes to all citizens that human being are in an endangered situation that encontroll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a small number of big WTO members/ officials are leading an undesirable globalisation of inhumane, environment distorting, farmer killing and undemocratic. It should be stopped immediately otherwise the false logic of neoliberalism will perish the diversities of agriculture and prove disastrous to all human beings”.
On 10th Sept, Lee climbed the barricades with his banner which read “WTO kills farmers” and ended his life.
Seeds of Suicide
Suicides among Indian farmers began in 1997, when global corporations like Monsanto started to buy up Indian seed companies and sell hybrid and genetically engineered seeds. The epidemic of suicides fast spread in Warengal in Andhra Pradesh and Bhatinda in Punjab where the new cotton seeds spread. In Warangal, cotton jumped form 0 hectares – 1986 to nearly a 100000 hectors in 1997, displacing diversity of jowar, bajra, green gram, red gram, house gram, black gram, sesame, groundnut. Hybrid cotton us the most pesticide intensive crop. The Bhopal factory of Union Carbide, which killed 3000 people in 1984 and has killed 30000 since then made “carboryl” a pesticide, used primarily cotton.
B Ramanamma belongs to Gangapur village in Jadcherla in Mehboobnagar District of Andhra Pradesh. She and her husband cultivated 20 acres of leased land. Taken in by the marketing hype of seed companies, they replaced paddy with cotton. This proved beneficial at the beginning, but demanded intensive irrigation, for which they took a loan of Rs.50000. the subsequent crops failed. Burdened with loans and accumulating interests Ramanamma’s husband consumed pesticide and committed suicide. Ramanamma and her son are today working as construction workers in order to survive.
Kottula Yakayya, of village Samudrala in Staton Chanpur Mandal committed suicide in 1999. His family owns 4 acres of land. On 2 acres of land chilies were sown and remaining two acres cotton was frown. Last year for cultivating cotton he burrowed as sum of Rs.25,000/- on loan basis. With interest it totaled to Rs.60,000/-. Moneylenders started pestering him for payment of their interest. Not getting proper price for the cotton in market and unable to know how to clear the heavy debt, the farmer got agitated and consumed insecticide and committed suicide.
Pacchikeyala Kameshware Rao of Akinepalli village of Mangapeta Mandal, unable to bear the financial problems committed suicide same year. Insects intensely attacked the cotton crop cultivated by him. Use of many insecticides could not stop the spread of insects. Due to this the crop got completely destroyed. Due to lack of advice from the scientists and agricultural officers he got completely disillusioned and consumed poison in the form of insecticides and committed suicide.
There are may cased of suicide where the lack of scientific advice by the concerned agricultural departments led to suicides of Indala Ayilayya, Malotu Danja, Tallapalli Lakshamayya, Pentala Odelu.
More the 25000 Indian peasants have committed suicide over the past 6 years.
In 2002, Monsanto manipulated a clearance for its genetically engineered BT cotton.
Bt. Toxins are a family of related molecules produced in nature by a soil bacterium, Bacillus thruigniensis (Bt.) Farmers and gardeners have used natural Bt. As an organic pesticide for more than 50 years. Bt. genes are now being genetically engineered into crops so that the plant produces toxins throughout most of its life.
Genetically engineered Bt. crops are being offered as a sustainable pest control strategy. However, the Bt. crops are neither ecological nor sustainable. They are not ecological because internalizing toxin production in plants is not a toxic free strategy – it merely makes toxics internal to plants rather than applied externally. The ecological impacts of this strategy of internalizing toxics have not been looked at, though indications are emerging that genetically engineered Bt. is harmful to beneficial insects such as bees and ladybirds.
The Bt. crop strategy is not a sustainable method for pest control because Bt. plants release toxins continuously. Constant long-term exposure of pest populations to Bt. encourages survival of individual pests that are genetically resistant to the toxin. As Margaret Mellon and Jane Rissler of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state in their report “Now or Never”.
Over many generations, the proportion of resistant individuals in pest populations can increase, reducing the efficacy of the Bt. toxin as pesticide. If resistance evolves, Bt. toxins will cease to be effective both for the users of the new transgenic plants and those who have relied on Bt. sprays for decades. Scientists have estimated that widespread use of Bt. crops could lead to the loss of Bt’s efficacy against certain pest populations in as far as two to five years (Fred and Bruce, 1998).
The primary justification for the genetic engineering of Bt. into crops is that this will reduce the use of insecticides. One of the Monsanto brochures had a picture of a few worms and stated, “You will see these in your cotton and that’s O.K. Don’t spray”. However, in Texas, Monsanto faces a lawsuit filed by 25 farmers over Bt. cotton planted on 18,000 acres which suffered cotton boll worm damage and on which farmers had to use pesticides in spite of corporate propaganda that genetic engineering meant an end to the pesticide era. In 1996, 2 million acres in the US were planted with Monsanto’s Bt. transgenic cotton called Bollgard, which had genes from the bacteria Bacillus thuringensis (Bt). The genetically engineered cotton generates a natural toxin to kill caterpillars of their pest: cotton bollworm, tobacco budworm and pink bollworm.
However, cotton bollworms were found to have infested thousands of acres planted with the new breed of cotton in Texas. Not only did the genetically engineered cotton not survive cotton bollworm attack, there are also fears that the strategy will create super bugs by inducing Bt – resistance in pests. The question is not whether super-pests will be created, but when they will become dominant. The fact that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EPA) of the US requires refugia of non-engineered crops to be planted near the engineered crops reflects the reality of the creation of resistant strains of insects.
The widespread use of Bt. containing crops could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nsect pest resistance to Bt., which is used for organic pest control.
Extracted from: Seeds of Suicide
Instead of less pesticide use, genetically engineered BT cotton used more pesticides, and as the Indian experience shows, gives lower yields. Instead of 1500 kg, BT cotton gave 200 kg/acre as the average. Instead of Rs.10000 addition incomes, farmers lost Rs.6400/ acre. Besides pushing farmers to debt and suicide Monsanto’s BT cotton is contaminating the environment and creating inhuman health risks. These risks are un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alternative – organic cotton.
Organic cotton frees the environment and our bodies of pesticide pollution, frees farmers of debt and slavery. Cotton can still be a fibre of freedom. But we will first have to free cotton of corporate control, of toxics, and of false and forced trade rules.
Campaign:
Join the movement to get Agriculture out of WTO and create a fair trade agreement.
Demand an attend to cotton subsides to US agribusiness.
Boycott Monsanto’s BT cotton and clothing made from it. Demand GMO free, Monsanto free cotton from your clothing stores.
Support the promotion of organic cotton in the Third World.
Support fare trade in organic cotton.
from Guardian
http://education.guardian.co.uk/higher/sciences/story/0,12243,975737,00.html
Scientists develop GM 'protato' to feed India's poorest children
John Vidal
Thursday June 12, 2003
The Guardian
The Indian government raised the global biotechnology stakes yesterday by saying it intended to feed "nutritionally enhanced" GM potatoes to poor children as early as next year. But objectors claimed that the plan, which relies on the potatoes being scientifically approved, was risky and naive, and would barely impact on malnutrition
Scientists claim the controversial potato, known as the "protato", contains at least a third more protein than normal tubers, and that it holds "high-quality nutrients".
It has been created by the addition of a gene called AmA1 taken from the amaranth plant, which is native to South America and sold widely in western healthfood stores.
The extra gene is said to give ordinary potatoes 30%-50% more protein, as well as substantial amounts of the amino acids lysine and methionine. The transgenic plant, developed by a team of scientists led by Asis Datta, who also leads the review committee on genetic modification in the Indian government's biotechnology department, is now in its third year of field trials and could be approved within six months.
Yesterday the head of the biotechnology department, Manju Sharma, said the protato would be given free to millions of poor children to try to reduce malnutrition in the country.
Dr Sharma said she planned to incorporate the vegetable into the government's free, midday meal programme for schools. "There has been a serious concern that malnutrition is one of the reasons for the blindness, the vitamin A deficiency, the protein deficiency. So it is really a very important global concern, particularly in the developing world," she told the BBC yesterday.
But critics reacted by saying there were other conventionally grown foods with far higher nutritional values which could more easily and cheaply enrich the diets of malnourished children.
Leading Indian food analyst Devinder Sharma dismissed the GM potato as "another magic bullet from the trashcan of biotechnology industry". He argued that protein could be better provided by the pulses used traditionally in India. "What this country needs is pulses. They contain 20%-26% proteins... this potato has 2.5% protein. Please tell me which one is better."
Pulses
Greenpeace campaigners dismissed the protato as an advertisement for biotechnology. "Years were spent in a lab trying to lever protein into potatoes, while cheap, protein-rich pulses grow abundantly all over India," one said. "It makes you wonder what problem the scientists were trying to solve."
New Delhi is committed to tackling serious malnutrition rates among the poor, but it is also believed to have one eye on the £116bn global potato market. India exports 18,000 tonnes of potatoes to 29 countries, including European states, and is the main provider of seed potatoes to Bangladesh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f, as expected, the protato is approved by Christmas, India will have won the race to develop the first "functional" GM food. British, American and Australian researchers are all working on a range of other vegetables that the industry claims could counter malnutrition and illness. More than 600 million people worldwide are thought to be malnourished.
The GM innovations include vegetables and fruit that could stimulate the immune system, and rice modified to carry extra iron and vitamins. But despite promises that these foods were to have been available some years ago, most are at least five years away from the market.
일다에서 퍼왔습니다
-----------------------
6,70년대 가족계획의 실체를 보자 박정희 경제발전논리와 여성 재생산권-1 이진옥 기자 2004-08-08 18:17:15 <출산과 피임, 임신중절, 가족계획과 관련된 이슈들은 여성의 몸과 성에 대한 권리와 건강권, 재생산권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선 근대화 정책이나 경제성장 논리에 가려져 제대로 논의되지 못해왔다. 일다에서는 1960~1970년대 국가주도의 가족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여성들의 이해관계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2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주> 최근 가족 해체, 출산율 저하를 국가적 위기로 간주하고 대안을 마련하려는 논의를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2002년 한국의 출산율 1.17은 그 동안 무시해 왔던 여성이 경제활동 여건을 보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법제 마련에 대한 논의를 끌어냈다. 한편 한국의 출산율 저하 현상을 ‘여성이 몸으로 저항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낙태 용인되는 한국은 여성의 재생산권 보호국? 미국 부시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세계에 끼친 많은 해악 중 하나는 낙태를 허용하는 국가와, 이와 관련된 단체들에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는 점이다. 이는 1960년대부터 시작해 낙태 합법화를 위한 투쟁으로 상징된 여성 건강권 운동(women’s health movements)이 성취한 여성 재생산권의 선택 범위를 제한하며, 다시금 이 문제를 수 십년 뒤의 상황으로 후퇴시키는 것과 다름 없는 조치였다. 그렇다면 낙태가 용인될 뿐 아니라 권장되는 면까지 있는 한국은 여성의 재생산권을 보호하는 국가라고 볼 수 있는가? 1994년에 출판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폴란드와 함께 낙태율 세계 최고 순위를 놓고 경쟁한 바 있고, 여태아 살해(femicide)로 인해 1979년 유엔에 의해 채택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제거를 위해 만들어진 협약(CEDAW: the Conventions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의 5항에 따라 인권침해 국가로 분류된 바 있다. 또한 원치 않는 임신으로 인한 미혼모의 증가나, ‘아기 파는 국가’로도 악명이 높은 한국을 여성의 재생산권 옹호국가로 볼 수는 없는 일이다. 한국의 가족계획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세계에서 성공적인 사례로 주목받아 왔다. 1960년 전체 출산율 6.0이 1990년에 1.5으로 감소한 것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다. 1993년 가족계획에 투자된 세계 각국의 정부 노력 평가에서 한국은 중국 다음으로 2순위를 차지했다. 이는 출산력 감소가 단지 경제성장이 가져다 주는 사회 변동의 결과로 나타났다기보다, 출산력 통제를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정희의 경제발전 논리로 출발한 산아제한 정책 출산력을 감소시키려는 본격적인 노력은 박정희 정권에 들어서면서 ‘인구 증가가 가난의 핵심적 이유’라는 맬서스의 진단을 수용하고, 인구정책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국책사업에 통합시키면서 시작된다. 이는 박정희가 쿠데타로 획득한 정권이 정치적 정당성을 세우고자 한 발전주의 논리에서 산아제한이 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정희 정권은 이전에 피임약과 피임도구의 수입을 금지했던 법을 1961년에 폐지했고, 그 이듬해에 보건사회부 관할 하에 가족계획사업을 추진했으며, 민간단체인 대한가족계획협회 또한 보건사회부 관리 하에 두었다. 1961년에서 1979년까지 박정희 정권 하의 가족계획 변모를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가족계획 초기에는 전국의 보건소에 가족계획 요원들을 파견하여 의식향상 캠페인을 하고 경구피임약을 보급했다. 1964년에는 자궁 내 피임기구(IUD)를 도입했으며, 주로 간호사와 조산사로 구성된 가족계획 현장요원 수를 늘려 읍과 읍 단위의 1천473개 부설 보건소에 파견하고 외진 곳까지 미칠 수 있는 기동팀을 구성했다. 1968년에는 스웨덴 국제 개발국이 경구 피임약을 공급하고, 미국 국제개발처에서 상당한 자금을 지원한 것을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가족계획어머니회를 조직했다. 이는 한국이 세계인구개발전략의 수혜자라는 것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한국여성들이 스웨덴이 ‘덤핑’한,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피임약의 수령인이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1973년엔 여성이나 태아가 치명적인 건강 상태에서는 임신중절을 허용하는 모자보건법이 통과되었고, 이후에는 병원 프로젝트, 산업단지 프로젝트, 도시빈민 프로젝트, 인구교육 프로젝트 등 국가 사업에 여성불임을 포함했다. 1976년에는 두 명 이하의 자녀를 가진 가족들에게는 소득세를 면제하거나, 불임술을 시행한 가족에게는 공공주택 우선권을 주는 등 적극적 사회조치(incentives/disincentives)가 도입됐다. 강요에 의한 불임 등 몸에 대한 통제권 잃어 이러한 정책들은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이 끝날 때까지 인구증가율 2.9%에서 2.5%로, 제2차 5개년 계획(1967~1971)이 끝날 때까지는 2.0%로 내리겠다는 목표 설정 하에 도입된 것이다. 수치 달성의 임무가 할당된 가족계획 사업에서 여성의 몸과 출산에 대한 여성 개개인의 권리가 고려되었을 리 만무하다. 특히, 적극적 사회조치의 도입으로 불임수술 수용자 수가 1974년 3만5천에서 1977년 23만5천으로, 단 3년 동안 7배로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 자녀 출산 후 불임술을 하면 국가의료원에서 그 자녀 출산비용을 무료화했고, 불임을 한 부부에겐 주택융자의 우선권이 주어졌다. 뿐만 아니라 빈민에게는 무료로 불임술이 시술됐고 현금으로 보조금이 제공됐다. 남성이 불임을 택하면 예비군 훈련 면제의 특혜를 제공해, 불임술을 받은 남성의 70%가 민방위 훈련 장소에서 그것을 결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임사업은 주로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어, 불임을 택한 여성의 수가 남성의 수에 비해 3배가 훨씬 넘어섰다. 조형 교수(이화여대 사회학과)는 연구를 통해 일부 농촌여성들은 자신의 몸에 피임용 자궁 내 고리(loop)를 이식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으며, 그들이 이웃이나 방문하는 가족계획요원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강요 받았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임신중절은 한국가족계획연구원으로부터 급격한 출산감소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주된 피임수단으로 인지되기까지 했다. 또한 월경규제(menstrual regulation)라는 일종의 임신중절이 임신 8주 미만의 여성에게 권장됐다. 결과적으로 박정희 정권의 말기인 1979년에는 전체 출산율과 낙태율이 2.9로 같은 수치를 기록하게 된다. 이는 법적으로 낙태가 악화된 건강상태의 여성에게 제한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낙태가 불법적으로 시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계획 둘러싼 국가의 이해와 여성의 이해 이 같은 사실들은 국가가 어떻게 여성의 몸에 직접적으로 관여해왔는지 보여준다. 이는 발전주의 국가가 단지 수출지향 산업에 젊은 여성노동자들을 저임금으로 착취하는 방식뿐 아니라, 강제적인 수단을 이용해 여성의 출산력을 통제, 조작함으로써 경제성장에 이용했음을 의미한다. 한편, 여기서 또 하나의 질문을 던져본다면 여성 또한 스스로 출산력 통제의 수단을 획득하게 되길 바라지 않았는가 하는 점이다. ‘피임의 선택권’을 갖는 것은 한편으로는 여성들의 오래된 염원이었기 때문이다. 피임도구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그것을 활용하게 된 것은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국가의 이해였지만, 또한 여성의 이해이기도 했다. 1977년의 가족법 개정과 “아들 딸 구별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표어는, 남아선호사상을 산아제한의 걸림돌로 진단하고 개선해보려는 정부의 실천적 제스처로 이해할 수도 있다. 우리는 이들 간의 차이와 연관성을 규명해야만 한국사회의 여성 재생산권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 기사 예고: 가족계획어머니회의 활동과 그 의의>
▲ 지난 7월 28일 방송회관에서 열린 '소출력 라디오방송 도입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 |
ⓒ2004 최혜민 |
ⓒ2004 최혜민 |
웰빙이 밉다
- 매닉
요즘에는 상품에 ‘웰빙’이라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물건을 찾아보기가 힘들 지경이다.
웰빙푸드, 웰빙 아파트, 심지어 웰빙 바캉스까지 떡 하니 한 상업 잡지의 섹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심지어 건강에 좋지 않기로 유명한 각종 페스트푸드점들도 호밀빵이니, 유기농이니 하며 상품의 가격을 올리고 있다.
한번은 캐나다 친구와 어느 유명한 패스트푸드 햄버거집에 들어갔는데, 계산대에서 이 친구가 어이없다는 듯이 마구 웃는 것이었다.
왜 그러냐고 물으니까 “그린 포크”라는 문구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글로 직역하면 “푸른 돼지고기”라는 뜻인데, 싱싱한 고기라는 뜻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웬걸, 반대로 “상한 돼지고기”라는 뜻이란다.
가끔 피자매연대 활동을 하면서 대안생리대를 웰빙쇼핑몰에서 팔지 않겠느냐, 대량생산하지 않겠는냐하는 제의를 받곤 한다.
이럴 때마다 마구 짜증이 나고 괜시리 사람들이 미워진다.
여성의 몸이 상품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시작한 대안생리대 운동을 다시 상품으로 포장하려는 상술이 미워서다.
그러니까 대부분의 웰빙 상품이라는 게 그동안 일궈왔던 여러 가지 생태운동과 환경운동들의 성과를 돈과 시장체계가 가져 가버리는 게 아닐까 싶다.
가져가는 건 좋은데, 원래 하나인 것을 마구 쪼개고 쪼개진 일부를 떼어다가 전부인 양 얘기하는 게 더 밉다.
가령 대안생리대의 경우에는 대안생리대운동이 기반하고 있는 여러 가지 맥락들이 있다.
일회용생리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나무를 벌목해 펄프를 만들고, 그 펄프를 엄청난 양의 물을 이용해 가공하고, 화학약품처리를 하고, 표백하고, 상품으로 생산하고, 소비자인 여성들이 사용하고, 휴지통에 버린다.
이렇게 자원을 대량채취해서 대량생산하고 그것을 대량소비하고 대량폐기하는 과정에서 그 굽이굽이 마다 발생하는 엄청난 환경파괴와 착취와 억압이 있다.
대량채취는 이른바 선진 산업국들인 북의 국가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못산다는 남의 국가들에서 행해진다.
제3세계 민중과 여성들이 자급자족하며 살아온 숲이 펄프 목재를 위한 플랜테이션이 되어버리면서 공장 같은 농장의 일용직 노동자가 되거나 도시로 떠나 슬럼가를 전전하게 된다.
기업과 정부는 이런 것을 바로 “개발”이란 이름으로 포장하며 자기들 배불리기에 바쁘다.
북의 소비자들이 깔끔하게 포장되어 나온 일회용생리대를 보며 그 속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환경파괴와 착취의 비용을 생각할 리 만무하다.
그만큼 “그들”과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또 서로 찢어져 있다.
웰빙상품이 된 면생리대가 미운 것은 이런 얘기들은 다 지워버리고 그저 “내 몸”에 좋으니까, “우리 환경”에 좋으니까 사서 쓴다는 생각만 심어주기 때문이다.
내 몸에 좋은 거, 우리 환경에 좋은 거까지는 좋다. 하지만 내 몸 아닌 거, 우리 환경 아닌 거에는 굉장히 무관심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
어느 생리대 회사는 마치 순면감촉과 똑같다는 일회용생리대를 내놓았는데, 이 회사의 모토는 “우리강산 푸르게”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결국엔 남의 강산을 파괴해서 우리강산 푸르게 하자는 논리밖에는 안되지 않나 싶다.
“웰빙”이 내 건강이랑 남의 건강을 찢어놓는 식으로 모든 강산을 “우리 강산”과 “남의 강산”으로 찢어놓는 거, 바로 이런 게 미운 거다.
또, 어머니나 할머니에게서 물려받거나 혹은 자신이 직접 창안한 알록달록한 아이디어들을 공유하면서 만들어낸 갖가지 생리대를, 상품이 될 만 하니까, 마치 개인 소유인 양 가져다 특허니 실용신안이니 하는 독점권을 낸다.
이런 식으로 대안 운동이 웰빙 상품이 되면, 어설픈 바느질이나마 찢어졌던 조각들을 연결하려 했던 풀뿌리들의 노력이 또 다시 독점되고, 또 다시 생산과 소비로 찢어진다.
또 한가지 미운 게 있다.
‘웰빙’자만 들어가면 다들 왜 이렇게 비싼 건지.
쇼핑몰에서 파는 면생리대는 보통 10000원에서 30000원을 호가한다.
7-8개 세트를 모두 장만하려면 비싼 것은 30만원 이상 줘야 한다.
슈퍼마켓에 가면 유기농 원료를 이용한 것은 다른 것에 비해 두, 세배가 값이 더 나간다.
웰빙은 확실히 2000원 하는 콩기름 대신 8000원 하는 올리브유를 선뜻 집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만은 틀림없는 듯 하다.
동시에 여태껏 일반적으로 먹어온 콩기름은 콜레스테롤 덩어리가 되고, 돈 없는 사람들의 먹거리로 ‘전락’한다.
굳이 웰빙을 예로 들지 않아도,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는 물을 사먹기 시작해서 지금은 먹는 물 하면 사먹는 생수를 떠올리게 되었다.
또 언제부터인가 에어컨을 켜지 않으면 여름을 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우리 어머니 세대만 해도 의례 광목이나 옥양목으로 만들어오던 생리대가 새하얀 일회용생리대로 바뀌었다.
예전에는 사지 않았던 것들을 지금은 일상적으로 사서 먹고 쓰고 버리고 있는 것의 목록은 아마도 끝이 없을 것이다.
원래 우리 모두의 것이었던 깨끗한 물, 깨끗한 공기, 맑은 숲이 파괴되고 그 자리에 포장된 물, 포장된 공기, 포장된 숲의 향기가 팔리고 있다.
우리 것이 오염되니까 남의 것을 쓰려다 보니, 그것 마저 망가지고 파괴되어 신음을 한다.
물이 그렇고, 시골이 그렇고, 제3세계의 자연과 민중의 삶이 그렇다.
작년 여름 휴가 때 이 지긋지긋한 도시의 여름을 탈출하고자 부안에 간 적이 있다.
부안은 핵폐기장 건설 반대로 한창 달아올라 있었다.
정부가 핵발전소와 핵폐기장을 건설하면서 선전하는 문구는 ‘깨끗한 에너지’라는 것이다.
요즘 유행어로 말하면 ‘웰빙에너지’쯤 되겠다.
근데 문제는 도시 사람들에게나 웰빙이지, 막상 핵발전소나 핵폐기장이 세워지는 지역의 주민들에게는 심각한 생존권과 생활권의 위협이라는 거다.
좀 어려운 말로 정리하자면 환경파괴의 비용을 지역과 외부로 떠넘기면서 계속 에어콘화, 자동차화, 도시화, 산업화하겠다는 거다.
이런 개발 욕망의 이면에는 개발이 파괴한 깨끗한 공기, 물, 자연을 바라는 욕망 또한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웰빙”이란 자동차를 타면서 깨끗한 공기를 원하고, 에어콘을 틀면서 깨끗한 에너지를 원하는 이 도시인들의 정신분열증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한편, “웰빙”이라는 말을 따지고 보면 정말 좋은 말이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사는 게 웰빙 아닌가?
그렇다면 내가 그렇게 웰빙을 미워할 이유는 없는 거다.
아마도 내가 미워하는 이유는 그 속에 분리와 차별 숨어 있기 때문일 거다.
지금의 웰빙은 소비만 웰빙이다.
돈 있는 사람들만 건강하게 행복하게 잘 살자는 거다.
하지만 돈으로 아무리 웰빙을 사도 그건 진짜가 아니라 모사품이라는 데 사람들은 곧 허탈해질 것이다.
진정한 웰빙이란, 돈없고 빽없고 힘없는 사람들도 함께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때 가능해지는 거다.
그러니까 자동차, 에어콘 쓰지 말고, 개발과 산업화를 포기하고, 그렇다고 애꿎은 시골이나 지역을 건들지 말고, 도시 스스로가 갱생해야 할 일이다.
최근 일산 풍동에 다녀온 적이 있다.
현재 풍동에는 여남은 명의 철거촌 주민들이 용역깡패들의 침탈에 맞서 투쟁하고 있다.
폭격기가 쓸고 간 자리처럼 폐허가 된 동네의 한 가운데에는 주민들이 연립주택을 개조해 만든 골리앗이 홀로 솟아있었다.
내가 간 날에는 몇 명의 젊은 사람들이 무너진 담벼락과 건물 더미에 벽화를 그리고 있었다.
얼마 전에는 인터넷에서 그곳에서 상추 모종을 심는 사진도 보았다.
그러고 보니 이거야말로 웰빙이 아닐까 싶다.
돈 없는 사람들의 주거권을 파괴해가며 이윤을 추구하려는 사람들에 대항해서 우리들의 권리를 탈환하고자 맞서는 진짜 웰빙운동이 아닌가?
7월 25일 아나키 여름 토론회 후기
약 15명 정도가 모여 쌍문동 인포샵에서 즐겁고 영양가 토실토실한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먼저 이번 발표자인 Nevin이 저번에 요약해서 올린 Food Not Bomb에 관련해서 발표를 하고 중간중간 질의 응답하는 식으로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Nevin은 학교에서 평화학을 전공하고 마틴 루터킹과 간디 등 비폭력주의자들의 사상과 아나키즘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고 합니다. 푸드 낫 밤에는 지속적으로 상근 맴버로서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여러 활동에 참여해봤다고 하네요. 통역은 조약골이 수고해주었습니다. 다음은 매닉이 기록한 내용입니다.
발표내용 중 몇몇 인상적인 내용을 적어보면,
- 처음에는 반핵 시위 참가자를 위해 배급을 했지만 나중에는 노숙자 등 배고픈 사람들에게 배급하는 걸로 점점 그 포커스가 "not bomb"에서 "food"로 옮겨졌다.
- 푸드 낫 밤의 원리를 "적극적 비폭력"이라고 말하며, 투쟁도 하지만 투쟁보다는 새로운 대안 사회를 만드는 데 주안점을 둔다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 회비를 걷는다거나, 돈을 기부 받지는 않는다고 해요. 또 주류 언론들과는 거의 접촉을 안하고 주로 독립언론들과 연대한다고 하네요.
질문과 대답
*푸드낫 밤이 베지테리어니즘(Vegetarianism)과 베거니즘(Veganism)을 지향한다고 했는데, 베거니즘은 무엇인가?
전자는 계란, 우유 등 낙농제품, 생선을 먹기도 하지만, 후자는 사탕, 빵 등도 먹지 않는 보다 철저한 채식주의자들이다. 젤라틴이나 이스트같은 동물성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네빈 자신도 미국에 있을 때에는 베건이였지만 한국에 와서는 어쩔 수 없이 동물성을 먹어야 했다고... 덧붙여, 푸드 낫 밤이 베지테리어니즘을 지향하는 것은 1) 동물에 대한 폭력 부정 2) 동물을 대량으로 사육하는 시스템이 유발하는 환경오염, 또 엄청난 양의 사료로 쓰이는 음식들을 배고픈 사람들이 충분히 먹고도 남는다는 점 때문이랍니다.
*"푸드낫 밤은 라이프스타일보다는 개인의 참여에 보다 가치를 부여한다."라는 대목이 있는데, 여기서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건 무슨 의미인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나 이념, 문화, 환경 등과는 상관없이 참여하고 싶은 모두에게 오픈되어 있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쟤는 조선일보만 읽는 꼴보수인데, 같이 활동을 할 수 없다, 얘는 게스만 입고 스타벅스 가서 커피마시는 애 같은데, 같이 하긴 좀 거시기하다" 이런 생각은 개개인들이 가질 수 있지만 그렇다고 참여하려는 사람을 막을 수는 없다는 거 같아요. 저번에 "조갑제가 와도 밥해 줄수 있다" 제목의 투밥 관련 기사가 생각나네요.
* 만장일치로 의사결정을 한다고 했는데, 조직의 구성인원이 많아지면 만장일치라는 게 또 하나의 강요나 억압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시간이 얼마 안 남아서 결정해야 하는데, 나 혼자 계속 반대해온 경우 다른 사람들에게 미안해서 어쩔 수 없이 찬성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 않은가?
푸드 낫 밤은 지역마다 작은 그룹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고, 시스템이 일단 갖춰지면 의사결정 과정이 보다 간단해진다고 해요. 뿐만 아니라 웬만한 의사결정들은 개개인의 자율과 의지에 맡긴다고 하는군요. 또 구체적인 사안마다 다양한 의사결정 방식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 다른 종교나 시민 자선단체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자선단체는 노숙자들에게 무료음식을 제공하는 데 "조건"을 단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특정 쉼터에 하루 혹은 이틀을 묵어야 한다든지, 교회에 나와야 한다든지, 성경공부를 해야한다든지 등등. 푸드 낫 밤은 그런 조건이 없는 대신 보다 친숙하게 그들의 삶에 다가가려고 노력한답니다. 푸드 낫 밤의 활동, 식재료를 마련하는 일, 음식을 장만하는 일, 배급하는 일, 설거지를 하는 일, 의사결정 등을 함께 하기도 하면서 노숙자를 시혜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똑같은 주체로 보고 그들에게 음식을 찾는 법, 음식을 조리하는 법, 얻은 음식을 함께 나누는 법을 알려준다고 하네요. Empowerment! 다시 말해 뭔가 준 다고 해도 "힘을 주는 것"이 관건이라는군요.
*미국의 푸드 낫 밤의 활동을 보면, 그냥 길거리나 공원에서 음식을 직접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특정 쉼터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왜 그런 건가?
쉼터와 연계를 맺으면 보다 쉽게 식재료를 기부 받을 수 있답니다. 낯선 단체에서 나와서 식재료를 기부하라고 하면 상인들이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네요. 그래서 좀 이름난 자선단체나 쉼터의 이름을 살짝 갖다 붙이면 기부가 잘 이루어진답니다. 나중에 푸드 낫 밤이 일정 궤도에 올라서고 인지도를 얻으면 이런 구라를 칠 필요가 없어진답니다. 또 쉼터 등에는 음식준비 시설이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고 하네요. 한편 필리핀의 푸드낫 밤의 경우에는 멤버들이 할 수 있는 만큼만 준비해서 활동을 한답니다. 무리하게 기부를 받지 않고 얻을 수 있는 만큼만 얻어서 준비를 한 대요. 이점에서는 투밥과 좀 비슷하다는 얘기가 있었고요.
* 어떻게 음식이 필요한 사람들을 만나는가?
미국같은 경우는 정해진 장소에 정규적인 배급 시간을 정해서, 사람들이 알아서 찾아오게 끔 한답니다. 찌라시등을 뿌리기도 하고요. 반면 필리핀에서는 스퀏커뮤니티나 빈민가, 배고픈 지역이 이곳 저곳에 널려있기 때문에 "음식 왔어요"하고 소리만 지르면 애들이 막 뛰어 나와 쫓아다닌다고 하네요.
*유기농을 어떻게 확보하는가?
모든 식재료가 유기농이기는 힘들지만, 유기농상점이나 지역 농산물 상회 등에서 재료를 구입하려고 노력한다고 합니다. 대규모 상업, 수출농작물에 대해 반대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듯...
발표와 질의 응답이 끝나고 나서 투쟁과 밥 활동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주로 투쟁과 밥과 푸드 낫 밤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얘기했습니다.
다른점
1. 식재료를 구하는 방식. 푸드낫밤이 식재료를 기부받는 대신에 투쟁과 밥은 돈을 기부받아 식재료를 산다. 남아도는 음식을 나누자는 측면에서는 푸드낫밤이 더 급진적인 듯.
2. 이주노동자 명동 농성단과 연대하는 투밥은 농성단원들이 원하는 고기를 요리해줘야 할 경우가 많다. 반면 푸드 낫 밤은 연대의 대상이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의도하는 대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고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고기의 나쁜 점과 채식의 장점을 홍보한다.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투쟁과 밥의 한계'로 흘러왔습니다.
1. 식사준비만으로도 너무 빠듯하다, 각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지와 여력이 더 이상 없는 듯이 보인다. 왜 그럴까?
2. 그 이유는 아마도 이주노동자 명동 농성단이라는 특정한 하나의 조직하고만 연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명동농성단에서는 때론 투밥이 할 수 있는 것 이상의 것을 요구하기도 하고, 기존 노동자 투쟁과 연대의 스타일을 고수하는 측면도 있다. 예를 들어, 식사를 하고 나면 정리집회를 해야 하고, 정리 집회를 할 때는 "대표"의 연대발언을 해야하는 식이다. 그러한 틀들이 답답하고, 또 의사소통하기가 힘들다. 투밥이 이주노동자와 이주노동자 아닌 사람들의 연대의 통로가 되긴 했지만 결국에는 투밥의 활동이 새로운 투쟁이나 활동에 대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기존의 농성단 틀에만 매몰되어 매너리즘에 빠지고 말았다.
3. 투밥은 강한 조직화보다는 개개인의 자발과 자연스러움에 더 가치를 둔다는 얘기가 나왔다. 이에 대해 기본적인 조직화를 무시했기 때문에, 지속성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활동이 일회적이고 겉도는 듯 하다, 무언가에 천착하거나 넓혀나가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보다 강력하게 조직화를 했더라면 오히려 지속성을 막았을 것이다. 강요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즐겁게 참여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4. 투밥의 경우에는 한 두 사람에게 책임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푸드낫밤의 경우는 이럴 때 어떻게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네빈이 대답.
만약 7명이 있는데, 3명이 더 일을 많이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활동 역량에 맞게 활동을 축소한다. 일을 더 열심히 해보자는 의지가 있을 경우에는 보다 합리적으로 일이 할당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푸드낫 밤의 구성원들은 "누군가를 위해 무엇을 해준다"라는 생각으로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내 먹거리를 만드는 데, 함께 만들어 먹자"는 개념으로 푸드낫 밤 활동을 일상화하고 있다. 무언가를 해준다는 생각을 할 때는 일이 점점 힘들어지고 지겨워지지만, 내 걸 내가 먹는다는 생각으로 하면 그건 바로 자연스런 내 삶의 일부가 된다. (이 대목은 매우 새겨 들을만 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했습니다. 결국은 내 삶이 자연스럽게 그들과 스며들어야 한다는 얘기 같아요. 그 일은 내가 가진 특권, 소비패턴, 생활패턴 등을 전반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힘들 것 같다는 생각도 언뜻 들더군요. 좀 어려워 보이지만, 당장 다 바꾸는 게 아니라 조금씩 한가지씩만 바꾸면 될 것 같기도 해요^^)
이후... 기록자 매닉이 자리를 뜬 관계로 그 뒤에 어떤 논의들이 오갔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약골이 신곡 발표회가 있었지 않았나 싶은데요, 혹시 끝까지 남았던 사람은 이어서 정리해주면 고맙겠습니다. 또 정리가 안된 부분 있으면 보충들 해주세요.
*주제발표 : 전세계적 무료급식운동인 Food Not Bomb 소개
발표자: Nevin
*공동토론 : 한국에서의 무료급식운동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Food Not Bomb에 비춰본 [투쟁과 밥], 지금까지의 활동 성과와 한
계, 앞으로의 방향
날짜: 7월 18일 (일요일) 3시
장소: 인포샵(카페 가디스)
오는 길 : 수도권 지하철 4호선 쌍문역에서 내려서 2번출구로 나옵니다.
마을 버스 05번, 06번을 타고 두번째 정거장인 '북부농협'에서
내려 10미터 정도 가던 방향으로 올라오면 보이는 4층건물의
2층(가디스)입니다.
전화: 02-991-5020
홈페이지: anarchy.gg.gg (또는 anarclan.net의 아나클랜 게시판을 참조)
토론방식: 3 ~ 4시 - 발제자의 주제발표와 그에 관한 질의 응답 및 토론
4 ~ 5시 - 공통주제에 대한 공동토론
(발표자 Nevin의 발제 요약문입니다.)
“Food Not Bombs(폭탄대신 음식을)”이란 무엇인가?
푸드 낫 밤은 반핵 활동가 그룹에 의해 1980년 메사추세츠의 캠브리지에서 처음으로 결성되었다. 푸드 낫 밤은 대외적으로 아나키스트 조직은 아니지만 아나키즘의 원리에 의해 조직되었고, 그 안에서 많은 아나키스트들이 활동하고 있다. 푸드 낫 밤은 비폭력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지도자도 없고 모든 구성원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푸드 낫 밤은 가난과 노숙의 문제, 식량 분배와 낭비의 문제에 주로 관심을 기울인다. 더 나아가서 환경운동이나 수감자 지원 단체와 같은 다양한 정치, 사회적 활동 그룹들과 폭넓게 연대하고 있다. 푸드 낫 밤은 미국에서 처음 시작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유럽,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에서도 푸드 낫 밤을 찾을 수 있다.
왜 푸드 낫 밤이 필요한가?
* Food Not Bomb 은 “우리의 돈이 폭탄을 만드는 데 쓰일 것이 아니라 음식을 공급하는 데 쓰여야 한다.”는 의미를 구현하고자 한다.
* 우리는 필요 없이 많은 음식을 낭비하는 경제 체제에 살고 있다. 이 낭비된 음식들이 배고픈 많은 사람들에게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경제체제 속에서 우리는 음식이 어떻게 생산되는지 또 어떻게 공급되는 지에 대해서 민주적인 발언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 푸드 낫 밤은 채식주의(배지테리어니즘 + 배거니즘)와 지역적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공급을 장려한다.
* 푸드 낫 밤은 사회 변혁에 앞장서는 다양한 급진적인 운동들을 지원한다.
역사
푸드 낫 밤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역사를 간단하게 언급해 보면,
* 미국에서 반핵 시위 때 처음 출현했다. 1930년대 스타일의 빈민 무료 급식소를 연상시키는 음식배급을 시작했다.
* 냉전 기간 동안 반핵운동을 지원했다.
* 점차로 노숙과 가난의 문제에 포커스를 맞추기 시작했고, Homes Not Jails(감옥대신 집을)과 같은 새로운 그룹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 푸드 낫 밤은 점점 더해가는 정부의 탄압과 폭력에 직면하고 있다.
조직화
푸드 낫 밤이 조직되는 원리와 그 정치학에 관한 고찰
푸드 낫 밤은 비폭력 원리를 채용한다. 폭력에 저항하기 위한 최선의 정치적 선택은 적극적인 비폭력밖에 없다는 것이 모든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바다.
활동: 시위와 여타 활동들
음식 준비: 채식과 유기농
* 푸드 낫 밤 활동에는 다양한 수준의 참여가 가능하다. 조직은 외형적 라이프스타일 보다는 개인의 참여에 보다 가치를 부여한다.
* 푸드 낫 밤은 조직의 외부와 내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억압과 차별, 예를 들어, 인종차별, 계급차별, 성차별, 동성애차별 등을 없애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 푸드 낫 밤은 모든 사람들의 의사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의사결정 방식을 채택한다.
* 푸드 낫 밤은 활동가이든 노숙자이든 간에 모든 활동을 최대한 개인들의 역량과 자율에 맡기려고 노력한다.
그룹의 출발
아래 내용은 미국에서 푸드 낫 밤이 어떻게 결성되고 운영되는지에 관한 지침이다. 실제로 그룹이 결성되고 운영되는 방식은 그 지역의 상황과 요구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모든 일을 한 번에 이루려고 하기보다, 지역적 상황과 목표에 맞춰 일을 진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1. 전화나 우편 연락처를 정한다. 개인의 사적인 주소보다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든다.
2. 단체의 존재를 알리고 참여자들을 모으기 위해 전단지 등을 돌린다.
3. 이동을 위해 차량을 준비한다.
4. 식재료들을 구한다: 협동조합, 건강식품점, 빵집 등의 사람들에게 쉼터와 무료음식배급소의 취지를 설명하고 음식이나 식재료 기부를 부탁한다. 정규적으로 재료를 가져갈 날짜를 잡는다.
5. 쉼터와 배급소에 음식을 배급한다. 사전에 쉼터와 배급소에 대한 정보를 잘 알아두고 배급 스케줄을 짜서 정해진 시간에 배급할 수 있도록 한다.
6. 한번 이런 정규적인 음식 배급 시스템이 돌아가게 되면 공원이나 길거리 노숙자들에게 직접 음식을 나누어줄 수 있게 된다. 또 각종 연대 집회 참가자들에게도 나누어줄 수 있다.
7. 음식이 충분해지면 특정 지역에 정규적인 배급이 가능해진다. 이런 정규적인 배급을 통해 활동가와 노숙자들의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해지고, 노숙자들로 하여금 음식 준비와 배급 과정에 직접 참여하게 할 수 있다.
8. 이런 기본적인 시스템이 갖춰지면, 주방과 공동 회합 장소 등 공간 활용 문제가 부각되고, 음식을 준비하는 것 외에 소식지 만드는 활동과 같이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폭넓게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가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활동들은 점차 조금씩 넓혀나간다.
필리핀에서의 푸드 낫 밤
* 펑크 씬과 결합해서 자선 콘서트를 열어 주방기구와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살 돈을 마련한다.
* 시장을 돌아다니며 음식과 식재료 기부를 받는다.
* 주로 스쿼팅 공동체의 도움을 받아 장소를 빌어 요리를 한다.
* 개인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히치하이킹을 하거나 공공교통을 이용한다.
* 무료급식소에 배급하지 않고 곧바로 공원이나 스쿼팅 공동체에 배급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야기들 외에도 미국과 필리핀에서 어떻게 푸드 낫 밤 활동에 참여했는지 개인적인 체험에 대해서도 얘기하고 싶다. 비록 푸드 낫 밤의 상근 멤버로 지속적으로 활동하지는 못했지만 시카고, 뉴욕, 보스톤, 워싱턴, 필리핀에서 시위와 주간배급 등에 참여한 경험이 많다. 이상은 내가 이야기할 내용의 요약이다. 이번 아나키여름 모임에서는 모이는 분들의 주요 관심 부분에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나누면 정말 신날 것 같다.
푸드 낫 밤에 관련해서 두 가지 좋은 자료가 있는데, www.foodnotbombs.net 과 C.T. Butler와 Keith McHenery가 쓴 The Food Not Bombs Handbook이 있다.
Peace, nevin
아낰
초근대적 욕망 또한 근대를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반응들이라는 겁니다. 이런 명제로 부터 출발 하셨군요. 이것이 현대성의 착오로 봐야지요. 우리의 입장으로 미 개발단계의 혹은 자본주의를 통과하지 않은 지역을 분석하는 착오를 법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이 명제가 갔는 근대화 혹은 자본주의를 모든 나라들을 통과하여야 한다라는 명제로 오인 될 때가 있었지요. 아나키들 내부에서는 이러한 착오가 덜합니다만 푸르동이나 로버트 오엔 생시몽으로 대표되는 공상적인 사회주의자들은 곧 바로 꼼을 구현하려고 했기 떄문에 별문제는 없으나 마르크스주의자들 특히 ㅅ비에트 맑시즘과 중국 등지의 맑시즘은 생산력의 충분한 발전 이후에 가능한 꼼이라는 명제에 중독되어 있었던 듯 합니다. 근대성을 통과하여야만 근대성의 착오를 안다라는 말 또한 경험주의적인 오류라고 봐야 겠지요. 룰라정부 역시 이러한 근대성의 착오에 빠진 듯 하며 전 사회적인 탈근대의 노선을 보여주지 않고 있는 듯 합니다. 지속가능한 생태공동체적인 사회발전 모댈 말이지요. 그것이 이 노동자 출신으로 구성된 정부의 한계라고 보고요. 동시에 각계 각지의 자치주의적 발전과 차별철폐 근대성이라는 개발주의적 착오의 철폐 및 자본주의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길에 대한 모색 또한 부족하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부분은 쿠바의 몰락 이후의 풀뿌리들의 자발전인 삶에의 추구에서 부터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고요. 사파티스타의 봉기 또한 이러한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니다. 그러니 사파티스타 역시 분리 독립과 상대적인 자본주의 시장으로 부터의 독립이라는 조건 속에서의 생태사회로의 전망에 대한 부득히한 접근 정도로 봐야 하겠지요. 이것은 반군 정부의 주도라고 보다는 신자쥬주의 세계 질서라는 세계 시장으로 부터의 상대적 격리 속에서 풀뿌리들 스스로의 삶의 선택 방식이였다라는 객관적 조건의 무의식적 강제로 부터의 풀뿌리적 의식화의 과정으로 부터 나온 것이라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공상적 사회주의자로부터의 그 뿌리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태 공동체와 히피 공동체에 이르기까지의 엘리트에 의한 위로부터의 대안 사회발전 모델이 있다고 봅니다. 이 둘중에 어떤 것이 바람직하냐는 선험적인 판단이나 도덕적이 가치가 개입된 판단을 별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보지요. 둘다 우리에게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니 흔히 레디컬한 그룹들에게는 사파티스타와 쿠바의 벌전 모델에 더 집착하는 경향이 있지 않은가 합니다. 그런데 이 모댈에 집착하다가 보면 플연적으로 민중 봉기와 지배계급과의 충돌이라는 모델이 나오는데 꼭 그 모델만이 전일 적인 방식일 것이다라는 생각 또한 문제가 많다고 봐야지요. 이것은 한 문제를 풀기 위한 단일 공식만이 유일한 해법이다라고 생각하는 경향이라고 봐야 할 듯합니다.
둘째는 관심의 전환점에 대한 지나친 폄하 경향에 대한 지저을 하고 싶습니다. 초근대성 혹은 탈근대적인 경향으라는 이른반 포스트 모던한 관신의 전향성으로 나타나는 각각의 문화현상이 이미 자본에 포섭되어 있으며 무의미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은 우리에게 아무런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 청교도적인 편협성만을 강화시키는 결과라고 봐야 겠지요. 이 문제는 군중적인 관심의 전환과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제기를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라는 긍정적인 면과 자본에 종속되어 있다라는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변증법적 인식이 가반하여야 하고 그 인식에 기초하여 이 종속적인 부분을 어떠한 방식으로 비 종속적인 단계로 까지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수행되어야 한다라는 지점에서 별반의 이견이 없으리라고 봅니다.
다시마라자면 탈근대적인 관심사에 기반한 상업화는 그 자체로는 한계를 지니나 의미가 있다는 사싱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탈근대적 혹은 탈자본주의 적인 해법 찾기가 라다크 등지의 외지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와 의미 해석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 의미해석 속에서의 20세기를 주도 했던 바로 그 생산력론에 대한 극복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는 점에서 흔히 러시아로부터 수입되 근대화는 필연적으로 거쳐야 할 역사적인 사명이나 임무로 보는 것에 대한 오류 정정이 이루어졌다는 점 또한 주목하여야 할 듯합니다. 매닉은 이 부분에서 모호한 입장을 띠고 있지 않난 하는 생각이지요.
그러므로 생산력주의라는 근대성의 착오를 일으켰던 바로 그 주술로부터 에코 토피아가 제시한 대안사회적 전망으로의 시급한 입장 전환들이 탈근대적인 진보운동들 내에 자리 잡아야 하지 않을까요. 저는 그것이 생태적 가치에 기반한 자립과 자치의 전망이자 도시화 산업화등 이른바 필연이라고 생각되었던 사회발전의 모델로 부터의 탈피라는 생각을 하지요. 그 리고 그 과정에서의 중앙권력과 다국적 기업 그리고 자국의 거대산업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결국 이는 도시기반의 전략 전술로부터 농촌 공동체 지향 혹은 소규모의 촌락 규모의 꼼적 전망에 기반한 전략과 전술이라는 근본적인 실천 전략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하지요. 여기서 사파티스타나 생태공동체들의 탈주와 전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부터의 독립 및 자립과 자치의 선언 그리고 이 자립 자치를 지키기위한 전민의 무장 및 민병대화라는 전략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횡설 수설한 듯 하군요 이만 줄입니다.
매닉
아낰님, 현실에 있어 어떠한 공동체 혹은 사회가 근대성을 통과하지 않았나요? 한번 예를 들어주시면 고맙겠어요.
제가 비판하려고 했던 대목은 "자본의 이동의 자유만큼의 이주노동자의 이주의 자유를 보장하라는 말은 먼가 근대성의 함정에 빠지고 마는 것이라고 봅니다." "이주노동자의 문제 또한 돈을 위해 이주할 것이 아닌 자신의 공동체를 어떻게 다져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가치 이전이 필요하다고 보지요." 이 부분입니다.
북이 남의 부분적 면모나 이미지를 빌어 와, 나름의 근대성에 대한 대안적 모델을 구축할 수도 있고 거기에서 뭔가를 배울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북이 스스로 구축한 대안적 모델을 그 남에 대고 너희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면 좀 "주제'넘는 짓이 아닐까 하는 우려죠. 좀더 설명하면, 산업화된 국가의 지식인 혹은 활동가들이 이런 저러한 근대성을 겪고 그것에 대한 반성 혹은 대안으로 쿠바나 사파티스타 같은 제 3세계의 공동체운동을 찾습니다. 이거 봐라! 생산력중심, 시장중심의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보다 자급적인 공동체는 가능하다! 그러한 모델을 구축하고 자기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 봅니다. 하지만 그걸 남에게 제시할 때는 보야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모델을 "북"의 입장과 맥락에서 만들어진 그야말로 북의, 북에 의한, 북을 위한 모델일 것입니다. 남이 만약 그 모델을 받아들인다면 그건 아마 다른 계기와 다른 차원일 것입니다. 그 계기가 무엇인가요, 그 차원이 무엇인가요? 또 그 모델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 차원과 계기는 무엇일까요? 그걸 물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는 오히려 아낰님의 글쓰기가 더 당위론적이라고 느낀 겁니다.
"자본의 이동의 자유만큼의 이주노동자의 이주의 자유를 보장하라는 말은 먼가 근대성의 함정에 빠지고 마는 것이라고 봅니다."
신자유주의라는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으로 뿌리뽑힌 그들의 이주는 결과이지 근대성의 원인이 아니죠. 하지만 아낰의 글에서 풍겨지는 뉘앙스는 그들의 이주가 뿌리뽑힘과 근대성의 원인인양 역전된 듯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걸 기반으로 후man같은 사람은 이주노동자들의 이주가 한국노동자의 삶을 뿌리뽑고 있는 원인이라고 왜곡하고 있고요.
제 생각에 이런 오류는 나와 그들이 다르다는 것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지 않고 내린 결론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이주노동자 합법화를 위한 모임 stopcrackdown.net에서 아낰과 매닉의 "근대성" 에 관한 대화이다. 후man이라는 이주노동자 안티사이트에서 온 사람이 어떻게 하면 논리를 이주노동자 강제추방 지지쪽으로 몰고갈까 하는 매우 나이브한 방해로 중간중간 끊기긴 했지만, 나름대로 나에겐 중요한 대화였다.
---------------------------------------------------------------------------------------
아낰의 글
저는 일단은 이주노동자의 소득 증진이라는 측면에서의 한시적인 무역을 생각하지만 장기적으로 그것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것 또나 지적하고 싶습니다. 당장 군단위만해도 자립할 수 있다고 보거든요. 군단위의 인구 약 5000에서 2만먕 정도의 인구면 충분히 자립적이고 자치적인 공동체를 만들수 있다더군요. 그리고 외국에서 혹시나 웹을 통해서 아는 친구가 자신이 만든 공예품을 선물한다면 그건 무역이라기 보다는 기부행위라고 봐야 겠지요. 그게 가장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하지요. 그것은 전지구적인 네트워크의 구추과 지역적인 행동이라고 말하는 거 같기도 합니다. 이탈리아나 중국 대리의 값비산 대리석들이 이 자그마한 공동체에 필요하지 않다고 보지요. 그보다는 공동체 근교의 산에서 나오는 황토가 훨신 집짖기에 좋은 소재이고 아름답기 까지 합니다. 모두가 대리석을 선호하는 건 곧 다양성을 훼손하는 일은 아닐까요. 그리고 적송은 예전부터 궁궐의 소재로 스였지만 요즘은 수입산 미송이 대체로 건축 자제로 쓰이나 봅니다. 이또한 문제라고 봐야지요. 다른예는 국게 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칼로리 량은 놀랍게도 서사모아 인은 섭취했다고 하지만 유럽의 빈민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도 있습니다. 그러니 문명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발전해 왔는가에 관해서 다시한번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자동차를 타고 멀리 간다는 것 만큼이나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 자건거를 타고 갈 수 있는 거리에서 보여주는 미세한 세계의 다양성을 발견하는 것 또한 즐거운 일이기도 하지요. 머 잘아시리라 생각하지만 근대성이 가져다 준 가치나 고대부터의 상업주의가 가져다 준 이른바 계량적 합리성의 가치에 대한 재고를 해볼 필요 또한 있지 않을까요. 그러니 이주노동자의 문제 또한 돈을 위해 이주할 것이 아닌 자신의 공동체를 어떻게 다져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가치 이전이 필요하다고 보지요. 자본의 이동의 자유 만큼의 이주노동자의 이주의 자유를 보장하라라는 말은 먼가 근대성의 함정에 빠지고 마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예는 사빠티스타가 왜 원시림으로 들어가서 자립과 자치를 선언하고 그것을 반대하는 맥시코 정부와 싸웠는지에 대한 일고찰을 하시면 쉽게 이해하리라고 봅니다.
매닉
그리고 아낰,
"자본의 이동의 자유 만큼의 이주노동자의 이주의 자유를 보장하라라는 말은 먼가 근대성의 함정에 빠지고 마는 것이라고 봅니다" 이말은 "함정"이라는 말의 어감밖에는 느낄 게 없군요. 함정이 아니라 근대성을 어쩔 수 없이 "통과"하는 겁니다. 지금 아낰의 입장도 '근대화'를 통과하는 과정속에서 나온 거라는 거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아낰
매닉 맑시즘적인 착오를 범하고 있군요. 결국 매닉 또한 생산력론에 빠지고 만 것입니다. 러시아에서 있었던 논쟁이자 맑스를 고민으로 몰아 넣었던 논쟁이 하나 있었다고 합니다. 맑스의 만년에 러시아의 혁명가들이 맑스를 찾아와서 이렇게 물었다고 하더군요. 과연 러시아 처럼 생산력이 낮은 나라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과연 일어날 수 있습니까. 그에 대해서 맑스는 명쾌한 해답을 내리지 못했다고 합니다. 엥겔스는 여전히 사민주의적인 방식으로의길을 모색햤던 것 같고요. 카우츠키와 플라하노프 역시 이러한 엥겔스의 길을 따라 던 듯 합니다. 단지 레닌과 트로츠키 만이 다른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지요. 이른 바 약한고리론이라는 것을 매닉 또한 잘 알고 있으리라고 봅니다. 어째거나 인구의 90%가 농민인 러시아에서 소비에트 연방이 만들어 지고야 말았지요. 그리고 레닌은 급격한 국유화를 시작하였나 봅니다. 그리고 레닌은 포디즘에 대한 사회주의적 이용가능성과 집단적인 생산의 전망을 내놓을 뿐 아니라 컨베이어 시스템을 대거 도입했나 봅니다. 화폐관계는 잠깐 폐지 되었다가 다시 복구 되었나 보고요. 그리고 생필품에 대한 배급경제와 무상의료 무상교육이 시작되었나 봅니다. 멸령경제가 시작되었던 것이지요. 전국적 단위의 생산 소비 교환 분배 관계에서의 러시아 공산당은 무소불위의 권위와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 또한 잘 아실 것이리라고 봅니다. 자 러시아는 다른 길을 갔지요. 관료 독점의 길 말이지요. 그리고 이 관료들은 근대화를 서구자본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 았난 봅니다. 이 방식은 제3세계 국가 즉 개발 도상국가가 공통적으로 취한 방식 즉 국가 주도형의 개발론으로 안착되기 시작했지요. 물론 이 과정에서의 부패는 만연한 사회문제가 되었으며 러시아에서 또한 관료의 부패는 똑 같은 사회문제로 대두 되었던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점에서 이 관료들의 부패와 공산당의 이념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는 마지막 케인즈주의의 개발 독재의 시험장이라고 하는 중국 관료 들의 부패상을 보면 쉽게 이해되시리라고 봅니다. 이들 제3세계의 주변부 국가 종속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 혹은 약한 고리에 걸려 있는 국가들은 공히 중화학 공업 우선 정책과 군비 강화정책을 쓴것 또한 잘 아시리라고 봅니다. 북한의 강성대국이라는 구호는 이러한 구사회주의권의 관료들의 의지를 잘 나타내는 것이라고 봅니다. 자 여기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과연 산업화가 안되었다면 그것이 필연적인 통과의례라는 당대의 생산력론이라는 시각을 넘어 섰다면 과연 러시아등의 민중들은 지금과 같은 모습이였을까. 그것인 브레즈네프 체제가 더 이상 지탱할 수 없는 것이 되고 나서 고르바초프에게서 터 져 나옵니다. 인류의 공동의 과제를 당파성 보다 우선시 한다는 것이지요. 결국 기후 온난화 숲의 파괴 등의 생태 환경의 문제를 당파성 보다 우선시 하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라는 사회정의의 구현이라는 공동의 과제를 우선시 한다는 선언으로 외현되기도 하였지요. 마르크스가 만년에 미르라는 러시아의농업 공동체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보였다는 사실은 매닉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봅니다. 과연 러시아가 국가 관료 당관료 중심의 사회주의 종주국을 향한 혹은 사회주의적 패권주의를 향한 근대화 산업화를 하지 않고 미르 식의 공동체적 발전과 지금의 생태 공동체적인 발전의 길을 갔다면 하는 역사적인 가정을 들어 봅시다. 지나친 권력과 생산수단에의 국가 독점의 길이 아닌 지역의 자립 기반의 강화민 소비에트 연방 내의 모든 민족의 자립 기반의 강화 쪽으로 길을 걸어 갔다고 생각해 봅시다. 중국의 대약진 운동에서의 이러한 시도가 있었던 듯 합니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은 다른 형태의 개발주의 성장지상주의의 길을 가고 있으며 세계의 패권을 향한 길을 가고 있습니다. 동북 공정은 이러한중국 공산당의 야심을 단적으로 드러낸 것이기도 하고 티벳 문제나 대만문제 신장의 문제 등등은 이러한 중국 공산당의 야심을 보여주고 잇는데 러시아 공산당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북한의 그것과도 다르지 않습니다. 다음 시도는 유로 꼬뮤니즘인데 이른바 68 혁명의 공장 점거 운동 풀뿌리 자치 운동 지역 공동체 운동 탈국가적이자 탈 자본주의적이니 자립 자치의 운동 등등을 들수가 있고요. 그 다음 이러한 새로운 길을 가는 것은 인도이 소공동체들 ,일본 유럽등지의 소 공동체운동들 ,그리고 사파티스타라고 하는 자립 자치를 지향하는 인디오 공동체 운동들, 한국의 두레마을 가나안 농군학교들의 공동체운동 녹색대학 한녹 복구회 한살림등의 생태 공동체 운동들, 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들 운동들은 전반적으로 근대화 성장과 개발 독재라는 생산력 우선주의적인 등소평과 스탈린의 태도를 극복한 운동들이며 이른바 근본 생태주의 심층 생태주의적인 운동들이라고 봐야 맞을 것이겠지요. 적어도 한국에서는 그러한 운동들이 주류를 이루는 것 같지요.
각설하고 근대성은 통과의례가 아니다라는 점은 맑스이 자본론에서의 원시적 축적 본원적인 축적이라는 챕터만 보셔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지요. 그것은 핸리 5세의 유민법이라는 폭력적인 입법의 결과이며 엔클로져라는 자본의 폭력적인 방식의 결과이자 일본의 식민지에서의 곡물 수탈이라는 폭력적이 수탈의 결과이지 절대 목가적인 결과가 아니라는 것 또한 잘 아실 것이리라고 봅니다. 이것은 경제 외적 강제로 부터 경제 내적 강제로의 전화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슬럼은 근대화의 결과이지 애초부터 슬럼으로 사람들이 모여든 것은 아니지요. 이 과정에서는 소농 혹은 채집 경제에 종사하는 이들에 대한 일종의 소외와 열등감의 조장이라는 기독교과 근대 교육 및 미디어의 선동의 결과라는 것 또한 잘 아실 것입니다.
매닉 또 하나는 생태적으로만 봐도 근대화는 통과의뢰이다라는 생각은 위험한 발상입니다. 그 발상이 제국주의의 식민지 수탈을 정당화 시키는 꼴이 되고 마는 것이니다. 러시아와 똑같이 식민지 국가는 생산력이 충분히 발전 할때까지 제국주의의 수탈이라는 지옥을 견뎌야 한다는 맨새비키류의 오류에 빠지고 마는 것이기도하지요. 붕면 공동체적 자립의 길이나 농업 기반으 강화와 경공업 생필품 위주의 자립적 발전의 갈과 가내수공업 및 소농 기반의 경제발전 전략이라는 가능성에 대한 포기로 다가 오는 것이기도 하지요. 이들 작은 것들은 아래로 부터의 전통적인 상호부조의 경제 사회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천 년 동안 이어온 바로 이러한 경제 사회적인 공조의 시스템을 깬 것이 서구자본주의라는 것은 이미 오래된 미래 라다크에서 들어 났고 네루의 세계사 편력에서 또한 뱅갈 문제를 이야기 한 부분에서도 나옵니다. 그것은 간디의 스와힐리 운동의 이론적인 정식화로 이어진 것이라고 봐야 할 듯하고 이는 비동맹국가 라는 수평적인 국제연대의 결과로 나타 나기도 하였답니다.
매닉의 통과의례라는 근대화에 대한 숙명론은 정부로 들어 가자 마자 곧바로 자본의 먹이가 되어 버린 낼슨 만댈라와 룰라의 길을 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러하기에 저는 국가 단위의 운동 보다는 지역 공동체 단위의 꼬뮨적인 지향성 대항 국가나 대안 국가적인 지역 공동체적인 발상으로 부터 출발하여야 하며 이것은 곧 바로 꼬뮨적인 체제나 시스템으로 전화하지 않고서는 싶게 자본의 먹이가 될 것이며 다수의 미시적 저항단위의 수평적인 연대라는 공동체적인 길을 가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공동체를 향한 게릴라적인 길 기동전이라는 방식이라고 말하고 싶다는 것이지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인 각성되 다중이지요.
그러니 꼬뮨을 향한 투쟁은 자치투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며 경제투쟁에서 단련되 부위들은 빠르게 이 다수의 자치 투쟁의 단위로의 결합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 점에서 한국와 외국노동자간의 구분은 없어 진다고 봅니다만..
매닉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말한 "통과"의 의미는, "통과의례"라거나 "통과해야한다"의 당위론이 아니었습니다. 현실이 그렇다는 것이었고, 모든 이즘이든 근대에 태어난 이즘은 근대화에 어떠한 방식으로든 "반응"한 이즘들, 근대에 대한 이즘들이라는 맥락에서 그렇습니다. 그것이 적극적으로 근대를 끌어안든, 끌어안고 싸우든, 밀쳐내든, 도망치든... 말입니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며 전 지구가 겪게 되는 근대화, 산업화, 식민화, 서구화의 과정 그리고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의 후기 자본주의 혹은 전지구적 자본주의... 이러한 자본주의의 고도화에 이르면 더 이상 식민지 아닌 것이 없고, 더 이상 "자연"이라 부를만한 것도 없어지게 됩니다. 심지어 우리의 몸과 정신 하나 하나 까지 쪼개고 수량화되어 시장경제 체제의 판매/구매 단위가 됩니다. 그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소외되지 않은 어떤 삶을 원하게 되고, "어머니 자연"과의 합일감을 얻기 원합니다. 이러한 욕망이 때로는 상품화되어, 동남아 관광, 오지 탐험과 같은 관광 상품이 되어 더욱더 자연과 환경을 파괴하는 악순환을 낳기도 하고, 또 스스로 생태적인 삶을 일궈 나가는 귀농공동체가 생기고 거기에 기반하여 저항이 자라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초근대적 욕망 또한 근대를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반응들이라는 겁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반응의 총체를 일컬어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합니다만, 근대 이후, 혹은 근대를 뛰어넘고자 하는 욕망을 기술하려는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대부분 근대 재해석에 뛰어듭디다. 그러나 대부분의 포스트모더니스트들도 서구, 도시, 백인, 산업화된 나라 출신이며 그들이 몸담고 있는 경제, 문화, 사회 체제를 재현 혹은 대변한다는 한계, 혹은 의도적인 정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이 초근대성을 서술하며 빌려오고 있는(혹은 전유하는) 각종 비근대적 이미지, 요소들은 그들 자신의 초근대적 욕망의 거울에 굴절되기 마련입니다. 그러한 굴절이 꼭 나쁜 거라고는 볼 수 없다고 봅니다. 그들 자신의의 정치적, 문화적 지형에서 생겨난 산물로써 때로는 해방담론으로도 기능하니까요. 예를 들어, 유럽에서의 마오이즘이 그렇고 아나키스트 씬에서의 사파티스타 민중봉기가 그렇습니다.
예전에 명성 들머리에서 보았던 다큐멘터리에서 이주노동자 한 명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이 분이 말하길, 한국 사람은 "방글라데시에는 TV도 없는 줄 안다."고 하며 우릴 바본인줄 안다라고 한탄합디다. 또 예전에 네셔널 지오그라피에서 봤던 자연 다큐였는데, 너무 아름다운 남미의 정글, 그 속에서 낚시를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꿈과 같은 광경이었습니다. 이 다큐는 분명 미국과 유럽 그리고 몇몇 '선진' 산업국들의 시청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겠지요. 다큐 말미에 그곳 어린 아이와의 인터뷰 씬이 잠깐 나오더군요. 커서도 계속 이곳에서 살고 싶냐는 질문에, 아이는 아버지는 그러길 바라시지만, 여기는 너무 지겹고 도시에서 살고 싶다고 대답하더군요. 초근대적 욕망으로 접근하고 있는 카메라의 시선이 바로 근대적 욕망을 캡쳐합니다. 대안달거리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근대를 통과한 여성들에게 대안달거리대는 "대안"입니다.
마리아 미즈같은 에코페미니스트에 따르면 근대화를 통한 따라잡기 개발의 신화는 시골/도시, 여성/남성, 유색인/백인, 남/북을 분리 지배하기 위한 백인 남성의 지배전략이라고 진단합니다. 왼쪽이 오른쪽을 왜 따라잡을 수 없는지, 또 왜 따라잡으려고 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 지를 조목조목 따집니다.(<에코페미니즘>참조) 동시에 북의 초근대적 욕망이 어떻게 남에 투사되고, 그곳을 파괴하고 착취하는 지를 보여주며, 초근대적 욕망은 자기 안에서 먼저 이루라고 조언을 하더군요. 그러니까 초근대적 욕망이 근대적 욕망같이 외부 식민지로 모든 비용을 전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자동차를 타고 멀리 간다는 것만큼이나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 자전거를 타고 갈 수 있는 거리에서 보여주는 미세한 세계의 다양성을 발견하는 것 또한 즐거운 일이기도 하지요."
위와 같은 즐거움은 초근대적 욕망의 일례일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욕망이 자전거 등을 개조해서 만든 택시나, 한국에서 수입한 다 낡아버린 중고 버스 등을 털털거리며 타고 다녔던, 혹은 차가 없어 웬만한 거리는 매일 걸어서 다니던 이주민에게는 어떠한 울림을 가질 지는 미지수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떤 이주노동자들이 "돈을 벌기 위해"(안티들은 '황금에 눈이 어두웠다'는 표현을 쓰더군요) 이주하기도 하지만, 이미 자국에서 초국적 자본에 의해 삶의 뿌리가 뽑혔기 때문에 오기도 합니다. 돌아가지 않는 게 아니라, 돌아 갈 수 없어서 있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여기 스탑크랙다운 사람들은 이주노동자운동을 단순히 노동운동의 차원이 아니라 전세계적인 반자본주의 차원에서 바라보려고 하는 겁니다.
제 얘기가 맑스주의에서 나온 건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맑스는 "모든 사람은 모든 사람에 대해 죄가 있다"는 명제를 잊지 않게 해주는 훌륭한 인식의 툴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안티이주노동자 사이트의 후man이라는 사람이 이주노동자 합법화 지지모임인 stopcrackdown.net에 반론한 글을 쇼르쏘띠가 제반론한 글.
후man: 그리고, 쇼님은 경쟁을 누가 인정하지 않는데요, 라고 하시는데, 쇼님의 경쟁을 인정하다는 일자리경쟁은 자국의 노동시장에 기존 있어왔던 일자리경쟁과 동일시 하여 외국인노동자도입이 외국인노동자 도입으로 인해 생긴 경쟁의 심각성을 희석 시키는 일자리 경쟁 인정 이다. 라고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07/15-12:20]-
----------------------------------------------------------
쇼르쏘띠:
님이 '희석시킨다'고 생각하시는 부분, 저는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는 부분의 가장 큰 차이의 원인은 바로 '국가'와 '국경'을 어떻게 보는가 입니다. 님은 국가와 국경을 절대불변의, 넘어서는 안 될 것으로 상정하고 계시고 저는 언젠간 없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 차이랄까요. 그렇기에 저는 자국 내에서 '새로이 창출되는 노동력'이나 외국에서 '새로이 유입되는 노동력'이 본질적으로는 같다고 생각하고, 님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이유는 역시나, '국경' 때문이죠.
제 글을 님이 해석한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님의 글을 해석해 본다면, 님의 글은 이주노동자라는 '새로이 유입된 노동력'의 특수성을 강조함으로써, 노동자들이 매순간 겪어야 하는 온갖 종류의 일자리경쟁 및 자본에 의해 새로이 창출되는 노동력과의 경쟁 전반을 희석시키고 계신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분명 국가와 국경의 역할이 큰 현대 사회에서 '이주노동자'는 조금 더 특별하게 느껴지는 노동자 그룹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우리 사회의 문제를 이주노동자들의 탓으로 돌리자 생각하고 이것저것 살펴보면, 당황스럽게도 우린 IMF 이전에도, IMF 직후에도, 극심한 실업문제와 생존경쟁을 벌여야 했었단 사실을 다시 인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예로 들었던 청소년 노동 역시, 90년대에 갑자기 대규모가 되었습니다. 패스트푸드점과 주유소의 노동은, 과외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소위 '명문'대학생도 아니고 육체적 힘을 쓸 수 있는 노동도 할 수 없는 여성 대학생들, 혹은 대학진학은 안 하고(혹은 못 하고) 고등학교 졸업한 뒤 취업을 못하는 20대 초반 여성들이, 전공책값 혹은 최소한의 용돈이라도 마련하기 위해 뛰어야 하는 마지막 일터였습니다. 사람들에게 강조가, 조명이 안 된 것뿐이에요.
지금 주유소나 패스트푸드점에 가 보세요. 과연 20대 초반의 여성이 얼마나 있는지... 그리고 시간당 보수가 유난히 낮고 노동강도도 그리 편하지 않은 그러한 곳의 아르바이트는, 여전히 최하위 시간당 보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대학 다닐 당시 교내 근로장학생 아르바이트는 시간당 3,300원, 근처 커피숍은 2,000원, 맥도널드는 1,200원이었습니다. 지금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여전히 가장 보수가 적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어 알고 있지요.) 이렇게 경쟁은 사회 모든 노동터에서 나타납니다. 그리고 끝없이, 새로운 집단의 노동력이 창출되고, 유입돼요.
이 모든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이주노동자는 안 된다, 라는 주장은 결국 국경과 국가의 강조를 근거로 듭니다. 그러나 저는 좌파라는 님의 포지션에서 국가와 국경이 계속해서 절대적인 무엇인 것처럼 강조되는 게 상당히 그로테스크합니다. 그리고 이주노동자들의 유입만을 강조함으로써, 원래 다양한 노동자 그룹간, 노-노간, 혹은 개인간에 별다른 일자리 경쟁과 마찰은 거의 없었다는 듯 희석되고 덮어지는 것도 상당히 문제라 생각해요.
한국에서 장애인들은 심지어 이동조차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버스도 지하철도,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엔 너무나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위험하기 때문이죠. 현재 장애인들의 노동은 매우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님들은, 이주노동자를 경쟁에서 쳐냈을 때 장애인의 노동이 확보될 수 있었다고 주장했죠. 단기적으로 그건 사실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대한민국 인구의 10%인 장애인들의 이동과 최소생존권, 그리고 노동권이 보장될 때, 여러분들은 또다시 장애인 노동자와 1:1 경쟁을 해야 합니다. 노동력은 그런 식으로 새로이 창출돼요. 그리고 자본이 원하는 것은, 이들 노동자 간의 적대입니다. 그리고 님들은 불과 3, 4년 후에, 님들이 이주노동자들을 몰아내자는 주장에 사용했던 그 똑같은 논리와 근거가 장애인들 몰아내자는 주장에 사용되는 것을 목격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님의 언어는 딱, 배제와 분할/지배의 논리이고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계속해서 '여성노동자'를 말씀드리지만, 새로이 여성노동자가 사회노동에 유입되었을 때에는 이주노동자 유입 때보다 훨씬 더 크고 노골적이고 본격적인 반발이 있었습니다. 벌써 인구가 '반'이니까요. (물론, 사실은 최하층의 여성노동자들은 그 전에도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그래서 지금도 좌파들 중 일부 페미포비아들은, 여성과 페미니스트는 자본의 앞잡이라고까지 얘기하면서 그 근거로 산업혁명 이후 자본가가 더 싸고 더 열심히 일하는 노동력을 요구했을 때 거기에 포섭된 인력이 바로 여성/어린이 인력이었다는 예를 들지요. 어떻습니까. 님들의 논리 및 주장과 너무나 판박이이지 않습니까? 그렇기에 저나 lovemind님이나, 님들이 '이주노동자 몰아내자'라는 주장을 할 적엔, 이미 '여성노동자 몰아내자' '장애인 노동자 몰아내자'라는 주장과 하등 다를 바 없으며, 이미 그러한 주장의 전초전에 발을 디뎠다고 지적을 하는 겁니다.
분노와 절박감은 당연한 겁니다. 이곳처럼, 가난할수록 살기 힘든 땅에선 더욱. 그런데 그 분노의 화살이 제대로 향해야 할 곳을 향하지 못했을 땐, 너 죽고 나 죽고 다른 사람도 다 죽여버리겠다는 얘기밖에 안 돼요. 그런데 왜 그래야 하죠? 정작 가난한 사람들 쥐어짜서 이득을 취하는 놈들은 따로 있는데 말입니다. 이주노동자들 쥐어짜고, 이주노동자들을 방패삼아 정착노동자들을 쥐어짜는 놈들은 따로 있는데 말입니다. 님들이나 이주노동자나 이주노동자 지지자들의 적은 같은데, 왜 우리끼리 싸워야 하지요?
댓글 목록
참조아
관리 메뉴
본문
저 자신을 다시 한번 반성하는 겸 해서, 이 글을 좀 퍼가고 싶습니다. 사람들과 대안생리대 얘기를 하며 바탕이 되어야 할 얘기를 죄다 빼먹고 겉핥기만 하고 있었더군요. 잘 읽었습니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