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월간 레디앙> 기고 - 쓴소리

 

인터넷 신문 <레디앙>은 주주와 후원회원에게 <월간 레디앙>을 제공한단다. 창간 한 달이 넘어 첫 호를 발행할 모양이다. 나에게 '쓴소리'를 부탁했다. 쓰고 나서 다시 보니... 참 '쓴소리'답다. 에휴~. 난 왜 쓰는 글이 다 이럴까...

 

=================================================

 

<레디앙>의 기사 하나하나는 다른 인터넷 신문의 기사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기사의 질은 언론사의 생명이기는 하지만 후발 주자로서 이것에만 승부를 걸 수는 없다. <레디앙>은 ‘열정과 진보 그리고 유혹의 미디어’라는 타이틀로 출발하였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인상적인 흐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제 창간한지 한 달 남짓인 신문에 이걸 요구하는 게 무리라면, 자기의 색깔을 만들어가는 모양새가 맥이 없다고 하겠다. 결국 기획이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자기색이 명쾌하지 않으니 좋은 기사들로 채워졌다 하더라도 산란(散亂)하는 듯하다. 혹은 빈곳이 많아 보인다. 그래서 안정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는 다른 말로 신뢰감일 수 있다.


나는 진보언론사의 기획은 의제를 발굴․형성하기 위한 모색이라 생각한다. 민주노동당의 활동을 전하는 소식이 많다는 것만으로는 나쁠 게 없지만 자칫 ‘정치계’ 소식의 ‘진보버전’으로 고착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결과적으로는 진보정당의 주장과 활동을 전하게 된다 하더라도 그 주장과 활동이 있을 수밖에 없는 한국 사회의 단면을 사전에 면밀히 보도하지 않는다면 ‘사건소식지’, 그것도 진보정당의 소식지가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평택 대추리의 투쟁 보도는 군 투입 이후 민주노동당의 반응에 집중되어 있다. 진보언론이라면 이같은 한국사회의 처절할 단면에 대해서는, 문제의 발생과 전개, 이해당사자들의 행동 분석을 그 갈등의 시간만큼 기사들로 쌓아놓을 수 있어야 한다. 보수언론이 외면하는 또는 왜곡하는 작은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다. 사후 보도에 앞서 사전 기획이 빛나는 <레디앙>을 바란다. 한 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이 자신의 역사를 읽게 될 때 <레디앙>의 유혹은 강렬해질 것이다.


<월간 레디앙>의 원고인 이 글은 원고마감 시간이 다 되어서 청탁을 받은 글이다. 이런 일을 당하니. 괜한 비약일지는 모르겠으나, 기획만큼이나 운영의 불안함이 느껴진다. 푼돈 주주인 주제라 약간은 민망한 마음으로 ‘쓴소리’를 끄적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