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매몰비용

 

합리적 선택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비용의 개념으로 매몰비용(sunk cost)이란 것이 있다. 매몰비용이란 일단 지출된 뒤에는 어떤 선택을 하든 다시 회수할 수 없는 성격을 가진 비용을 뜻한다. 예를 들어 박샛별 씨가 음식점을 새로 열면서, 내부장식을 하고 개업광고 전단을 만드는 데 각각 5백만 원과 3백만 원의 경비를 지출했다고 하자. 이와 같은 성격의 경비는 한번 지출하면 그만이라서 박 씨가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다시 회수할 수 없다. 이런 성격을 갖는 비용을 매몰비용이라고 부르는데, 가라앉아 묻혀 버리기 때문에 도로 찾을 수 없다는 뜻에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일단 지출된 매몰비용은 철저하게 잊어버리는 것이 합리적 선택의 요령이다. 다시 말해 과거는 과거로 돌려야 하며, 그것이 미래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일이 생겨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매몰비용의 성격을 갖는 비용을 지출해 놓고 미련을 버리지 못해 비합리적 선택에 이르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일단 지출된 다음에는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회수할 수 없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들인 돈이 아깝다는 생각에서 뒤에 후회할 일을 하고 마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다.
 

우리말에 “본전을 뽑아야 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비합리적인 태도의 전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싼 돈을 내고 음악회에 간 사람이 연주가 무척 시시하다고 느끼면서도 자리를 뜨지 않는 것이 그 좋은 예다. 시시한 연주를 참고 듣느니 집에 가서 비디오나 보는 것이 훨씬 더 낮다고 생각하면서도 본전을 뽑기 위해 계속 앉아 잇는 것은 결코 합리적인 행동이 아니다. 참을성을 발휘해 자리를 지키고 앉아 있다고 입장권을 사기 위해 지불한 돈을 되돌려 주는 것도 아니다. 아무리 비싼 돈을 내고 입장권을 샀다 해도 그것은 이미 버려진 돈일 뿐이다. 그렇다면 연주가 무척 시시하다는 것을 발견한 순간 자리를 뜨는 것이 최선의 선택임이 분명하다.

 

- 이준구 <새열린경제학> 중에서

 

----------------------------------------------------------------------------------------------------------------------

 

들인 돈 아깝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그 돈이 매몰비용은 아닐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기회비용을 따져 봐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4개월 동안 수강하면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있다고 해 보자. 자격증도 하나 딸 수 있다고 하자. 하지만 한 달 수강해 보니 기대와는 사뭇 다르다. 그 자격증이라는 게 4개월치 수강료와 공부하느라 든 시간에 비해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하다. 그 돈과 시간이면 다른 걸 할 수도 있다. 이왕 한 달 공들였으니 3개월 마저 돈과 노력을 들여야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