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20/10/26

이제 10월 말인데, 벌써 성탄절 생각을 문득 한다. 어려서부터 가장 따뜻했던 기억은 성탄절이었던 것 같다. 운 좋게도 그 외진 시골에서 마침 유일하게 교회가 있었던 동네에 살았던 덕분에 어린 시절부터 일상 안에 늘 교회가 있었다. 적어도 유년시절의 교회는 늘 따뜻했다.

중졸과 초졸 부모를 둔게 행운이었을까. 우리 남매는 그래도 그 시골에서 상대적으로 지적인 문화 안에서 성장했다(?). 왜냐하면 그 시절 우리 동네에도 적잖은 동학들이 학교를 다니지 못한 부모 밑에서 성장했기도 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우리 집은 문화적 수준이 높았다. 그런데 좀더 특기할 만한 사실이 있다. 아마도 농민운동하신다고 맺은 인연 때문이었을까. 1990년 전후 그 시절 우리 집에 한동안 <한겨레 신문>이 배달되곤 했다. 물론 우리 집엔 <조선일보>와 <농민신문>도 배달되었다. 그 시골에서 <한겨레 신문> 지국을 맡았던 선친의 절친이었던 아저씨는 안타깝게도 얼마후 병으로 돌아가셨다. 선친은 그 이후 좀더 보수적 방향으로 선회했다. 어느덧 <한겨레신문>을 볼 수 없게 되었다. 가장 친한 친구를 잃은 것과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 아저씨가 30대 초반에 돌아가셨고, 선친은 40대 후반에 세상을 떴다. 그 사이 이런 이야기를 물어볼 기회는 없었다. 나는 바빴고, 아버지는 힘들었다.

어쨌든 그나마 그런 영향하에 있어서였던지, 나와 형제 자매들은 시골에서 이른바 '수재'로 통했다. 확실히 어려서부터 아버지가 보고난 신문이 늘 우리 주변에 있었다. 읽을 수 있는 것이 많지는 않았지만, 티비로 보고 지나치는 것과 달리 신문에 실린 글자들은 한번 눈길을 주면 뇌리에 남았던 것 같다. 당시 가까운 친척 어르신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대학을 나오신 분이 우리집에 오시면, 늘 우리를 옆에 두고 우리 부모에게 우리들더러 천재는 아니지만 수재라고 치켜세우곤 했다. 물론 그 이후의 경과를 보면 그 말씀은 격려의 차원일 뿐이었다. 사실 그 시골에선 나의 친구들 가운데에도 담배 따는 시기가 되면 학교를 못 나오는 경우들이 종종 있었다. 물론 나도 우리도 종종 또는 일상적으로 여러가지 노동에 참여했었다. 박사까지 학위를 받은 입장에서 보면 물론 기이하기도 하다. 그런데 어머니의 고생을 생각하면 쉽지 않지만, 그래도 그나마 나는 상대적으로 '유복'한 유년을 보낸 셈이다.

암튼, 난 적어도 당시에는 교회에서도 전도사님들에게 큰 사랑와 기대를 받았던 것 같다. 그런 와중에 아마도 1988년 즈음일까? 성탄절 이브 이른바 '문학의 밤'이 우리 교회에서도 열렸다. '문학의 밤'은 내 기억에 사실상 동네 잔치와 비슷했다. 게다가 동네의 범위를 많이 넓혀야 했다. 사실상 시골에서는 거의 유일하면서 동시에 가장 품격있는 인문 행사라고 할까.

당시에 마침 나와 같은 '국민학교' 학생들이 배우로 참여하는 성극이 연출되었고, 나는 주인공을 맡았다. 지금 기억나는 것은 당시 모티브가 국회청문회에 기반한다는 것이었다. 마침 그해 광주5.18 청문회가 있었고, 나는 고등학교 누나들이 만들어준 성극의 주인공으로 '노무현' 의원의 역할을 맡았던 것이다. 성극의 구성은 전혀 기억나지 않지만, 지금까지도 인상깊었던 건 당시 아무도 넥타이를 매줄 사람이 없었는데, 막 중학교에 들어간 누나가 '가정' 시간에 배워서 아버지 넥타이를 가져다 나에게 매줬다는 것이다. 기억이 명확치 않지만 누나는 아마 그 '문학의 밤'의 사회를 봤을 것이다.

물론 이 기억은 한동안 잊고 지내다 대만 유학을 하면서 다시 생각해냈던 것이었다. 물론 당연히 노무현과 같은 정치인들과는 거리를 두던 시기다. 그렇지만 대만 유학시절 노무현의 자살 소식을 접하며 먹먹했던 기억은 지금도 선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中文簡歷

 

2020.4

延光錫 연광석

YEON GWANG-SEOK

Email: gsyeon@gmail.com

國立交通大學亞太文化研究室研究員

 

學歷

國立交通大學社會與文化研究所博士(文化研究),2009.9-2016.6

私立世新大學社會發展研究所碩士(社會學),2007.9-2009.8

韓國外國語大學中文系學士,1997.3-2004.8

 

經歷

國立交通大學文化研究國際中心博士後研究員,2018.7-

北韓研究大學(首爾)研究教授,2017.3-2018.3

美國哥倫比亞大學(紐約)人類學系訪問研究員,2016.10-2017.2

韓國聖公會大學中國學系兼任講師,2015.3-2016.8

韓國聖公會大學東亞研究所研究員,2014.9-2015.8

韓國現代集團Hyundai Logistics海運營業部社員,2004.5-2007.1

 

獲獎紀錄

《思想的分斷:陳映真與朴玄埰》被選為《亞洲週刊》2019年十大好書(《亞洲週刊》第34卷03期,2020.1.19)

國立交通大學Golden Bamboo Scholarship,2012.9-2013.8

台灣政府獎學金(博士),2009.9-2012.8

台灣政府獎學金(碩士),2007.9-2009.8

 

研究專長及興趣

去殖民主義思想、東亞知識思想運動、東亞當代思想史、兩岸與兩韓相互比較參照

 

一、學術著作

 

(一)學位論文

(中)延光錫(2016年6月)《朴玄埰思想的當代意義:以陳映真文學爲參照點》,新竹:國立交通大學社會與文化研究所博士論文(指導教授:陳光興,口試委員:王曉明、李政勳、陳信行、藍弘岳)。

(中)延光錫(2009年7月)《移工運動形成與工運中的民族主義論述:韓國和台灣之比較》,台北,私立世新大學社會發展研究所碩士論文(指導教授:陳信行)。

 

(二)專書

(中)延光錫(2019年7月),《思想的分斷:陳映真與朴玄埰》,台社論壇書系32,台北:台灣社會研究雜志社。

(韓)延光錫(2018年6月),《사상의 분단: 아시아를 방법으로 박현채를 다시읽다[思想的分斷:以亞洲作為方法,重讀朴玄埰]》,首爾:Narumbooks。

 

(三)期刊論文

(中)延光錫(2019),〈東亞去殖民主義思想的系譜與朴玄埰的民族主義論〉,《台灣社會研究季刊》第113期,頁167-194。[TSSCI]

(英)Gwang-Seok, YEON(2017),“A Regional Reference to Chen Yingzhen's Literature: A Perspective from Korea,” Frontiers of Literary Studies in China, 2017, 11(4): 637-665. (trans. by Liu Yi-hung) [SCOPUS]

(韓)延光錫(2017),〈남한 신식민/분단 체제와 ‘민주수업’의 불가능성[南韓新殖民/分斷體制與「民主課」的不可能性]〉,《文化研究》5(2),頁130-147。

(中)延光錫(2017),〈南韓新殖民/分斷體制與「民主課」的不可能性〉,《熱風學術(網刊)6》,頁115-123。

(韓)延光錫(2017),〈진영진 문학사상이 분단 한국에 주는 참조적 의의[陳映真文學對南韓的參照意義]〉,《中國現代文學》第80號,頁21-48。[KCI]

(中)延光錫(2016),〈重新尋找新殖民分斷體制下生活的智慧〉,《人間思想》第十二期,頁50-58。

(中)延光錫(2013),〈二二八、五一八與六四:冷戰與失語〉,《人間思想》第五期,頁224-231。

(中)延光錫(2013),〈錢理群的「另一種歷史書寫」〉,《人間思想》第二期,頁284-298。

(中)延光錫(2012),〈朴玄埰先生的思想特徵:以「民族民眾論」爲主〉,《區域:亞洲研究論叢》第二輯,清華大學人文與社會高等研究中心(北京),頁226-245。

 

(四)書評/劇評/影評

(中)延光錫(2020),〈《寄生蟲》的韓國性與普世性〉,《亞洲週刊》,2020年07期(2020/2/23),頁46。

(中)延光錫(2020),〈傳染病毒是政治與社會的試金石:評金琸桓《我要活下去:韓國MERS風暴裡的人們》〉,《閱讀誌》,2020年2月5日(https://www.openbook.org.tw/article/p-63238?fbclid=IwAR0ae3bOj-DKzlCJThjbYUZYa6BtHObZW2LGwOIDWX328ot-o-7n0VF3Hk4

(中)延光錫(2014),〈化歷史為力量:閱讀《無悔—陳明忠回憶錄》〉,《人間思想》第七/八期,頁342-345。

(韓)延光錫(2014),〈'역사를 감당한다는 것'──『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백영서 지음/창비/2013)」[如何承擔歷史──《橫觀東亞:從核心現場重思東亞歷史》(白永瑞著/創作與批評/2013)],《黃海文化》,第82號,頁 401-411。

(韓)延光錫(2013),〈유럽의 자기 반성인가, 아니면 또 다른 유럽중심주의인가?──『중국은 무엇을 생각하는가』(마크 레너드 지음/장영희 옮김/돌베개/2011)[歐洲的自我反省,或是另一種歐洲中心主義?──What Does China Think?(Mark Leonard著/張榮熙譯/石枕/2011)]〉,Aporia Review of Books, Vol.1, No.1,2013年9月。(http://aporia.co.kr/bbs/board.php?bo_table=rpb_community&wr_id=32).

(中)延光錫(2013),〈聽《安蒂岡妮》訴說歷史性:尋找新的語言以及烏托邦〉,《牯嶺街小劇場文化報》No. 33,頁4-5,原收於《苦勞網》公共論壇,2013年9月18日。

(中)延光錫(2012),〈重返馬克思和恩格斯的當前思考──《破門而入》(汪立峽/唐山/2012)〉,《破報》2012.12.27。(轉載於《立報》、《人文與社會》,《苦勞網》等)。

 

(五)研討會論文

(中)延光錫(2019),〈作為文學的他者之經濟(學):胡秋原與朴玄埰的相互參照〉,(2019年9月7日,台灣國立清華大學),亞太文化研究中心「文學論戰與記憶政治:亞際視野」國際研討會。

(英)Gwang-Seok, YEON(2019), “Inter-referencing between Taiwan and South Korea’s decolonial economic thoughts in the 1970s: HU Qiu-Yuan and PARK Hyun-Chae,” Aug. 1st, 2019, Inter-Asia Cultural Studies Conference, Silliman University, Dumaguete, Philippines.

(中)延光錫(2019),〈21世紀去殖民主義思想運動的再出發:以東亞的思想系譜與朴玄埰的民族主義論為線索〉,(2019年3月9日,台灣國立交通大學),台灣文化研究學會20週年年會。

(中)延光錫(2019),〈南韓民族/民眾文學論戰:以白樂晴與朴玄埰的爭論為例〉,(2019年3月10日,台灣國立交通大學),台灣文化研究學會20週年年會。

(韓)延光錫(2018),〈동아시아 탈식민주의 사상의 계보와 박현채의 민족주의론[東亞去殖民主義思想的系譜與朴玄埰的民族主義論]〉,(2018年11月29日,光州五一八紀念文化中心),韓國五一八基金會國際學術大會。

(中)延光錫(2018),〈東亞去殖民主義思想的系譜與朴玄埰的民族主義論〉,(2018年11月17-18日,上海華東師範大學),亞洲馬克思主義傳播研究所揭牌儀式暨第一届「亞洲馬克思主義傳播」學術研討會。

(中)延光錫(2018),〈民族文學的民眾性,還是民眾文學的民族性?:試論1980年代南韓民族民衆文學論戰〉,(2018年10月4日,台灣清華大學人社院),「記憶政治的對話」工作坊《亞際社會的文學論戰:民族文學與鄉土文學》。

(韓)延光錫(2018),〈진영진 문학 사상이 한반도 분단에 주는 참조 의의[陳映真文學思想對韓半島分斷的參照意義]〉,(2018年4月27日,韓國翰林大學),翰林大學日本學研究所32次工作坊。

(韓)延光錫(2017),〈신식민/분단체제와 박현채의 문학 콤플렉스[新殖民/分斷體制與朴玄埰的文學情結]〉,(2017年12月22日,韓國北韓研究大學),忠南大學/北韓研究大學共同學術會議。

(韓)延光錫(2017),〈경제학자의 탈식민주의적 문학 사유: 민족경제론자 박현채의 문학콤플렉스를 중심으로[經濟學者的去殖民主義文學思考:以民族經濟論者朴玄埰的文學情結爲例]〉,(2017年9月29日,韓國西江大學),韓國文化社會學會討論會。

(韓)延光錫(2017),〈남한 신식민/분단체제와 ‘민주수업’의 불가능성[南韓新殖民/分斷體制與「民主課」的不可能性]〉,(2017年8月28,韓國北韓研究大學),韓國政治資訊學會/北韓研究大學共同學術會議。

(中)延光錫(2017),〈經濟學者的去殖民文學思考—以南韓民族經濟論者朴玄埰的文學情結爲例〉,(2017年8月5日,北京鑫海錦江大酒店),「轉折的時代——40、50年代之交的漢語文學」中國社科院文學研究所國際研討會。

(英)Gwang-Seok, YEON(2017), “Thinking on the New Direction of ‘Inter-Asia’—Through the Conjuncture of Bandung 60,” Jul. 28, 2017, Inter-Asia Cultural Studies Conference, Sungkonghoe Univ., Seoul, Korea.

(英)Gwang-Seok, YEON(2017), “A Reflection on the Inter-Asia Intellectual Movement: Bandung as a New Momentum,” Jan. 16, 2017, Summer School of Sam Moyo African Institute for Agrarian Studies, Harare, Zimbabwe.

(韓)延光錫(2016),〈신식민성과 중국 문화대혁명[新殖民性與中國文化大革命]〉,(2016年5月27日,韓國成均館大學),成均中國研究所「中國文化大革命50周年研討會」。

(韓)延光錫(2016),〈다시 新殖民-分斷體制를 살아가는 智慧를 찾아서[重新尋找新殖民/分斷下生活的智慧]〉,(2016年1月29日,韓國聖公會大學),聖公會大學勞動史研究中心特別論壇。

(韓)延光錫(2014),〈진영진 문학의 탈식민주의 실천[陳映真文學的去殖民實踐]〉,(2014年10月14日,韓國仁川大學),韓國現代中國學會秋季學術大會。

(中)延光錫(2012),〈錢理群的「另一種歷史書寫」〉,(2012年6月10日,香港嶺南大學),《歷史敘述與文學敘述 ──以中國當代文學史的研究與書寫為討論中心》討論會。

 

(六)演講

(韓)延光錫(2019),〈인터아시아 문화연구와 ‘아시아를 방법으로’[亞際文化研究與「亞洲做為方法」]〉,(2019年12月13日,韓國首爾西江大學)全球在地政治思想研究所12月專家演講。

(中)延光錫(2019),〈韓國電影與當代歷史的去歷史化:1980、1987、1997〉,(2019年11月28日,台灣淡江大學中文系),國外教授來訪學術演講計畫。

(中)延光錫(2019),〈「亞洲作為方法」的實踐、困境與出路:以台韓相互參照為例〉,(2019年5月18日,台灣東海大學),東海「相思林之約」演講。

(中)延光錫(2018),〈分斷體制與南韓社會性質論〉,(2018年10月23日,國立清華大學人社院),文學與文化系列演講108。

(韓)延光錫(2016),〈21세기 대만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21世紀台灣對我們意味著什麼?]〉,(2016年8月6日,忠北沃川),社會變革勞動者黨政治營演講。

(韓)延光錫(2015),〈타이완을 아시나요 [認識台灣嗎?]〉, (2015年11月2日,首爾民族統一運動本部),「尋找東亞和平」系列演講之二。[http://www.krhana.org/html/notice.html?uid=103; http://blog.krhana.org/307]

(韓)延光錫(2015),〈홍콩, 이중 식민의 특수성과 한국 [香港雙重殖民的特殊性與韓國]〉,(2015年2月24日,真世界研究所),真世界研究所每週討論會。[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category1=38&nid=98794]

 

(七)座談

(中)新書座談〈思想的分斷(討論會)〉,(2019年11月19日,香港Art and Culture Outreach|艺鵠 ),與談人:陳錦輝、黃杰。

(中)台灣社會研究學會新書座談《思想的分斷:陳映真與朴玄埰》,(2019年10月27日,高雄師範大學),與談人:張立本、姜亞築。

(中)新書座談〈想‧想看《思想的分斷:陳映真與朴玄埰》〉,(2019年8月10日,台北流民棧),與談人:陳信行、王墨林。

 

 

二、翻譯著作

(一)單行本

──中韓:單獨翻譯4卷本、共同翻譯2卷本;韓中:單獨翻譯2卷本

(韓中)2020,申榮福,《話語──申榮福的最後一門課[담론: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延光錫譯,新竹:交通大學出版社。(即將出刊)

(中韓)2018,呂途,《중국 신노동자의 미래: 변화하는 농민공의 문화와 운명 [中國新工人:文化與命運]》,首爾:Narumbooks。

(中韓)2017,呂途,《중국 신노동자의 형성: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길을 찾는 사람들 [中國新工人:迷失與崛起]》, 延光錫等四人共譯, 首爾:Narumbooks。

(中韓)2015,曹征路,《민주 수업[民主課]》,延光錫譯,首爾:Narumbooks。

(中韓)2014,錢理群等,《전리군과의 대화[與錢理群對話]》,延光錫編譯,首爾:Hanul Publishing Company。

(韓中)2014,白承旭,《文革的政治與困境:陳伯達與「造反」的時代[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延光錫譯,新竹:交通大學出版社。

(中韓)2012,錢理群,《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1949~2009: 다르게 쓴 역사 (상/하)》[毛澤東時代與後毛澤東時代1949-2009: 另一種歷史書寫(上/下)]》,延光錫譯,首爾:Hanul Publishing Company。

 

(二)單篇文章

(中韓)2016,陳光興與白元淡對談,〈중국과 비중국 [中國與非中國]〉,《黃海文化》第92號,頁12-52。

(中韓)2016,嚴海蓉、沙伯力,〈홍콩 본토화와 메뚜기론: 신 세기의 우익 포퓰리즘 [香港的本土派和「蝗虫論」: 新世紀的右翼民粹主義],《黃海文化》,第92號,頁106-141。

(中韓)2016,陳信行,〈대만정부의 '비중국 요인' 조절과 양대국 사이의 '신남향 정책'」 [台灣政府的「非中國因素」調控與兩大之間的「新南向 政策」]〉,《黃海文化》第92號,頁86-105。

(中韓)2016,陳光興,〈반둥/제3세계 기행노트 [「萬隆/第三世界六十 年」行走筆記]〉,《黃海文化》第90號,頁247-280。

(中韓)2015,曹征路與白元淡對談,〈민주수업의 문화대혁명 성찰과 그 후 [民主課的文革反思與其後]〉,《中國現代文學》,第75號,頁267-290。

(韓中)2015,白元淡,〈1960-70年代亞洲的不結盟/第三世界運動和民族•民眾概念的創新〉,《人間思想》,第11期(2015年冬季號),頁46-95。

(韓中)2014,宋竟東,〈我不是韓國人〉,《苦勞網》,2014年7月9日。[http://www.coolloud.org.tw/node/79270]

(中韓)2014,孫歌,〈'이념'으로서의 평화와 '사상'으로서의 평화 [作為 理念的和平與作為思想的和平]〉,《黃海文化》第83號,頁119-129。

(中韓)2014,錢理群,〈문혁의 질문과 그 복잡성을 마주하며[面對文革 問題與文革複雜性]〉,《黃海文化》,第83號,頁223-235 [中文 收錄於《人間思想》第五期(2013冬季號),頁289-296]。

(中韓)2014,錢理群,〈꿈과 같은 인생[人生如夢]〉,收錄於延光錫編譯的《전리군과의 대화[與錢理群對話]》(Hanul Publishing Company,2014)。

(中韓)2013,藍適齊,〈‘반공’의 희망에서 망각된 전쟁으로: 대만의 한국전쟁 기억 [從「反共」的希望到被遺忘的戰爭:台灣的韓戰 記憶]〉,收錄於白元淡等著,《한국전쟁과 냉전 아시아의 탄생 [韓國戰爭與冷戰亞洲的誕生]》(文化科學社,2013)。

(韓中)2013,《生活》雜誌專訪白樂晴,〈民主的定義〉,《生活》雜誌2013年3月號(總88期)。

(韓中)2012,白樂晴,〈2013年體制與變革性中道主義〉,《人間思想》第二期,頁4-20。

 

(三)劇本翻譯(未出刊)

(中韓)2017/2018,王墨林,《脫北者》,窮劇場和Shiim劇團共同製作作品劇本。

(中韓)2013,王墨林,《安蒂岡妮》,2013年牯嶺街小劇場年度作品劇本。

(中韓)2013,鐘喬,《天堂酒館》,2013年差事劇團年度作品劇本。

 

三、規劃與組織國際學術會議

《亞洲社會主義工作坊:香港/台灣》(韓國聖公會大學東亞研究所,2015.2.27),全場企劃與中韓同步翻譯。

《2015國際羅莎盧森堡學會:亞洲社會主義與歐洲社會主義》(韓國聖公會大學東亞研究所,2015.11.27-28),全場企劃、〈亞洲社會主義〉單元組織與現場中韓翻譯。

 

四、教學經驗

1. 中國與世界 | 韓國聖公會大學中文系,2015年春季,3學分

2. 中文初級會話 | 韓國聖公會大學中文系,2015年秋季,2學分

3. 中級中文 | 韓國聖公會大學中文系,2016年春季,2學分

4. 初級中文 | 韓國聖公會大學中文系,2016年春季,2學分

 

五、社會服務

2016年3-7月,韓國Hydis工會與台灣永豐餘集團勞資協商勞方翻譯。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0/02/20

http://news.tf.co.kr/read/ptoday/1780819.htm

文대통령 "코로나19 머지않아 종식…경제 회복 노력할 때"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0969

文대통령 "코로나19 피해, 메르스보다 체감…정상 복귀해 달라"

 


결국 자유주의 정치, 즉 선거가 청와대 및 여당의 사태인식을 왜곡시키면서 상황을 엄중하게 만들고 있는 듯 하다. 아주 짧은 한 달도 못되는 시간 동안 중국과 일본의 상황에 대해 비난과 조롱을 양산했던 이들은 지금 상황이 난감할지 모르겠지만, 내가 보기엔 남한의 문제 또한 못지 않게 심각하다. 중국과 일본의 문제도 엄중하지만 각자 성격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자신의 우위를 중심으로 한 절대적 비교는 현실 인식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매주 발표되는 지지율에 일희일비하는 권력의 기본 속성에다 두달 앞으로 다가온 총선의 압력이 더해지면서 본래 일정하게 정치권력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했던 방역체계가 조금씩 권력의 입김을 받았다는 추측을 해볼 수 있다. 좀더 적극적인 방역태세로의 전환이 지체된 맥락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대통령은 바로 3일전 위와 같은 발언을 대놓고 하니 대중속의 혼란은 가중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사후적인 판단이지만, 의학계의 경고를 무시하고 폭풍 전야의 고요함을 눈부신 정권의 성과로 치장하고자 싶은 욕망이 단기간에 코노라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는 식의 대통령의 발언으로 표현된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