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번역과 관련한 가설적 연구 주제 하나.

첫 번째 번역 작품은 중국어를 한국어로 옮긴 것이었고, 학술적이면서도 개체의 삶의 체험이 복잡하게 얽힌 서술이었다.

 

두 번째 번역 작품은 대만에서 곧 출판될 예정인데, 한국어를 중국어로 옮긴 것이고, 매우 이론적인 저작이다.

 

세 번째 번역 작품은 내년 상반기에 번역에 착수할 예정인데, 중국어를 한국으로 옮기게 되고, 문학성이 매우 풍부한 소설이다.

 

세 작품 모두 관통하는 제재는 중국의 현당대 역사, 특히 '문화대혁명'이다. 공통의 제재는 방법/형식이라는 핵심적 문제로 진입하는 매개를 제공해준다.

 

늘 예기치 않게 우연적으로 기회는 주어지는데, 이와 같은 '번역'의 경험은 나에게 '글쓰기의 방법'에 대한 고민을 던져 준다. 물론 나는 이 고민을 받아 안을 고민을 하고 있기는 했다. 첫 번역 작품이 주는 곤혹감 때문이었다.

 

역사적 전변기에 지식인, 즉 번역자에게 요구되는 임무는 무엇일까? 추상적이지만, 내가 보기에 그것은 변혁적 실천에 불가결한 언어의 번혁일 듯 싶다. 언어의 변혁은 동시에 지식의 변혁이고, 나아가 지식을 매개로한 주체의 변혁이기도 하다.

 

그래서 역사적 단계를 설정하여, 현대성, 식민, 냉전 등 그 시간과 구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고민하면서, 먼저 제기할 문제로 사고되는 것이 바로 '번역' 문제이다. 탈중국화(탈한자화)와 현대화(식민/냉전 하의 친일/친미/친서방)는 어떤 의미에서 아주 강하게 '번역'과 지식생산의 변혁을 전제로 했다는 가설도 가능하다. 아마도 그러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추적하기 위해서는 <식민/제국적 현대성과 역사적 번역실천>이라는 과제로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탈중국화와 현대화의 과정에서 '중국'이 어떻게 타자화되어 번역되었는지를 추적하는 일은 매우 흥미로울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