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인권 및 '정체성identity' 담론은 사실은 '인간'을 여러 차원에서 나누어 놓고 결국 통합하지 못하면서, 결국은 '인간'을 이론적 차원에서 '죽은 인간'으로 내버려 놓았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론적 실천이 바로 '현대성'의 식민주의적 수용의 결과인 듯 싶다. 현대성에서 비롯된 '민주'의 문제와 관련해서 '과학'의 문제도 이렇게 제기된다. 여러 가지 권리와 정체성에 따라 '인간'을 분해해 보는 '이론'적 시도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현실에서 인간은 그렇게 분해된 채로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은 '현실'의 실천에 결합될 때 하나의 '통합' 과정을 겪어야 했던 것이다. 사회'를 인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회를 여러 차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사회 또한 역사를 가지는 이상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이기 때문에, 결국 개별적 분석은 통합의 과정을 겪어야만 의미 있는 해석으로 제시될 수 있다. 결국 '통합'의 기준에 대한 물음에서 우리는 '역사'의 위상을 논의하게 된다. 지식담당자의 인식행위의 현대화는 대상에 대한 인식론적 분리를 실제적 분리로 착각하게 만들면서, 지식담당자와 대중 사이에 인식론적 격차가 심화된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우리 세대의 경우 역사를 삭제해버리면, 아주 쉽게 답을 얻게 될 것이다.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체계'라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손쉬운 보편-특수 분석 담론이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안에서 우리는 동력을 찾을 수 없다. 거기엔 사람도 역사도 없기 때문이다.
댓글 목록
藝術人生
관리 메뉴
본문
"시민"들의 평화와 질서 그리고 비폭력을 찬송하는 담론은 그동안 모순에 대한 저항을 무질서와 폭력으로 매도했던 억압적이고 차별적이며 진정으로 폭력적이었던 주류 식민주의적 자유주의 담론을 직접적으로 재생산 및 강화하는 것이다.처음부터 이 선은 명확히 그어져 있었다고 나는 보았는데 만약 그렇다면 이 상황을 마주하며 표출되는 변혁세력의 과잉된 주관적 희망은 성찰부재로 인한 어떤 관성의 표현이라는 점이 지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함이 당연하다. 이는 운동에 대한 직접적인 지도의 의미에서가 아니라 지식의 실천성의 복원이라는 맥락에서 제기되는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