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동영.손학규 대표는 ‘제3지대통합의 묘수’를 발휘할 것인가? 그들은 지금 ‘새로운 길’을 향한 정치실험 기에 놓여 있다. 제3지대의 야당 통합에 대해 바라보는 시각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의원 수 1.2위를 다투는 거대 정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 소극적이었거나 아예 반대를 일삼아왔다. 그런데 처음 구상하던 연동형 비례대표제에서 많이 후퇴한 것이긴 하지만 일단 국회를 통과하고 나자 자유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염치 불구하고 위성정당 창당을 거론하고 있다. 정당마다 계산법이 다르고 21대 총선을 준비하는 방식은 다를 것이다. 그렇더라도 어느 정당이든 덩치를 키우고 조직을 정비하여 새로운 정치구조에 부응하고 싶은 입장은 마찬가지 일것다. 제3지대에서의 야권통합 문제도 이 같은 맥락이다.

이중 가장 주목을 해야 할 사람은 단연 민주평화당의 정동영 대표와 바른미래당의 손학규 대표라 하겠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대표에 대해서는 길게 얘기할 것 까지는 없겠다. 다만 그들이 1~2년 사이에 겪은 아픔이나 당이 처한 상황이 매우 유사한 데서 공통점 몇 가지를 짚어본다.

먼저 손학규 대표다. 손 대표는 취임한지 얼마 안 된 시점부터 당 대표 사퇴 요구를 받아온 처지였다. 헌데  바른당의 유승민 계는 당을 떠나 이미 새보수당을 차렸고, 미국에서 온 안철수 계 역시 1월 29일 탈당을 결행하고서 2월 2일 신당 추진 계획을 발표하는 것으로 결말이 났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바른미래당에 남아 있는 사람들 역시 “이대로는 안 된다”라며 지도부 교체 요구를 강하게 압박하고 나선 상황이다. 이에 손 대표는 31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호남계 의원들과 오찬을 갖고 소속 의원들에게 대표직 사퇴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는 30일 "다당제 시대를 이끌 제3의 축이 필요하다"면서 “국민이 만들어준 국민의당을 지키지 못한 점에 대해 통렬히 반성하고, 분열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호남 민심에 석고대죄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를 전제로 개혁 야당 정체성, 분권형 개헌, 연동형 비례제 완성을 통합의 3원칙으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해 민주평화당을 탈당하여 대안신당을 창당한 대안신당 파들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의 합당을 주장하고 나선데 대한 또는 야권 분열에 책임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갈하는 사자후라 할 수 있다.

위에서 보듯 정동영 대표와 손학규 대표는 본의 아니게 당을 흔드는 세력들에게 시달려왔고, 이 결과 분당 세력들에 의해 당이 쪼개지는 아픔을 겪었으며 오랫동안 탈당세력들에게 시달려온 처지다. 또한 이 둘은 2007년도 제17대 대선 때 대통합민주신당의 후보 자리를 놓고 겨룬 사이로서 연배로는 손학규 대표가 높지만 둘 다 정치계 원로급에 이른 사람이다. 이제는 명실공히 제3지대 야권통합을 책임지고 성사시켜야 할 책무가 있다 하겠다.

지난 2년여를 돌아보더라도 두 사람은 연동형비례대표제를 두고 공조와 결속을 과시하며 매번 같은 목소리를 내왔다. 이런 두 당의 지도자가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힘을 합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통과시킨 마당에 다시 한 번 ‘제3지대 야권통합’을 이뤄낸다면 대한민국의 정치사에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기게 될 것이다.

지대한 소명의식이 요구된다. 거침없는 결기가 필요한 마당이다. “이일은 나 아니면 안 된다”라는 불퇴전의 각오로 덤벼들어 정동영. 손학규 두 대표는 사금파리처럼 예리한 정치력을 발휘해 주기를 바란다. 야권통합의 쾌거를 이뤄 역사의 장에 그 이름을 새기고 말고는 둘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본다.

*글쓴이/박정례 선임기자.르포작가.칼럼니스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0/02/04 10:41 2020/02/04 10:41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8434pjr/trackback/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