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출근투쟁

5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05/21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 추진 비판(1)
    손을 내밀어 우리
  2. 2008/08/07
    출근투쟁 8월말까지 유보...
    손을 내밀어 우리
  3. 2008/08/05
    출근투쟁 68일째 풍경(2)
    손을 내밀어 우리
  4. 2008/07/11
    불볕더위와 출근투쟁 모습(8)
    손을 내밀어 우리
  5. 2008/05/31
    비오는 날, 출근투쟁 풍경
    손을 내밀어 우리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 추진 비판

미디어충청(cmedia.or.kr)에 기고한 글...

민영화가 만사형통이라고? 이명박 정부의 고질병!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 추진 비판

2009-05-20 16시05분 이성우


조장(助長): 급하게 서두르다가 일을 망친다
조장(助長)이라는 말이 있다. 사전적으로는 힘을 도와서 더 자라게 한다는 의미이지만,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쓴다. 원래 발묘조장(拔苗助長)이라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중국 송(宋)나라에 어리석은 농부가 있었다. 모내기를 하고 나서 벼가 잘 자라고 있는지 궁금해서 논에 나갔다. 다른 사람의 벼보다 덜 자란 것 같았다. 농부는 궁리 끝에 벼의 순을 잡아 빼올렸다. 집에 와서 식구들에게 벼의 순을 빼서 더 자라게 했노라고 얘기했다. 식구들이 기겁하여 논에 달려가 보니 벼는 이미 하얗게 말라 죽었다.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상(上)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그러니까 이 말은 ‘급하게 서두르다가 오히려 일을 망친다’는 뜻이다.

GLP시험기관: 안전성평가연구소의 기능과 역할
안전성평가연구소(Korea Institute of Toxicology, KIT)는 지식경제부 산하 산업기술연구회에 속한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서, ‘안전성평가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관련 분야 전문 시험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보건향상과 인류복지 증대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2002년 1월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센터를 모태로 하여 설립되었다. ‘안전성평가연구’라는 것은 ‘신약이나 화학물질 등이 인간의 건강이나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비임상적인 방법으로 시험 또는 연구하는 분야’로 풀어쓸 수 있다.

그래도 여전히 일반인들은 안전성평가연구소가 하는 일을 정확히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좀 더 쉽게 안전성평가연구소에서 하는 일을 간추려 보자.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신약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을 찾아내고 그 약효와 독성 등을 검증해야 한다. 미생물, 세포, 동물(쥐, 개, 원숭이 등)을 이용해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약효와 독성을 평가하는 시험을 비임상시험이라고 한다. 비임상시험은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하기 전에 약효와 독성을 파악하기 때문에 신약개발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바로 비임상시험을 전문으로 하는 유일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또 신약 후보물질은 아니지만 새로운 농약이나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시험 등 안전성평가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한 가지 더 알아둘 것이 있다. 안전성평가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GLP(Good Laboratory Practices, 우수실험실운영기준)를 준수해야 한다. GLP는 의약품, 농약, 화학물질 등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실시하는 각종 시험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운영체계, 인원, 장비 및 시설)을 규정함으로써 전반적인 시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말한다. GLP기준을 충족하는 시험기관이 되려면 상당한 시설투자와 전문인력 양성과 운영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아직은 갈 길이 멀다: 안전성평가연구소의 현실
정부가 2001년 12월 안전성평가연구소를 설립한 것은 비록 늦었지만 GLP 시험기관의 중요성을 인정한 것이다. 지난 7년간 정부는 안전성평가연구소에 1천여억원의 연구자금을 지원해 왔다.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일본의 공인 GLP 적격시험기관, OECD 회원국 간 안전성 시험자료 인정기관, AAALAC Intl(국제실험동물관리인증협회)의 아시아 최초 적격시험기관 인증 등을 잇달아 받으며 국제적 안전성시험연구기관으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안전성평가연구소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 2006년 현재 국내에서 개발하고 있는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안전성평가시험의 82.5%가 해외 시험기관에 위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안전성평가연구소는 2005년 미국 FDA의 사찰을 받았으나 아직 보류 중이다(PENDING). 국제적인 GLP수탁기관만 보더라도 미국 80여개, 일본 40여개, 유럽 20여개 등이 존재하지만 국내에는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국내 전체 인력을 다 합쳐도 기껏 700여명으로, 미국의 코반스(9,000명)나 찰스리버(8,500명)의 7-8% 수준이다.

반면에 국내 연구개발비가 늘어나고 신약 등 신물질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어서 국내 GLP 시험기관의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GLP시험의 시장 규모는 2007년 기준으로 3조원에 달하고 연평균 12.6%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국내 시장 규모는 1700억원에 달하고 연평균 34%의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무지와 비전문성: 갑작스런 민영화 논란
이러한 상황에서 지식경제부가 갑작스럽게 안전성평가연구소에 대한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어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크게 충격을 받고 있다. 2008년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KAIST의 강제통합을 추진하다가 중단한 이후 전체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지배구조를 개편하는 것은 2010년까지의 중장기과제로 연구하기로 했는데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민영화는 그러한 정부의 기존 방침과 어긋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안전성평가연구소가 설립 당시부터 민간 GLP시험기관으로 발전한다는 전제를 갖고 출범했기 때문에 민영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민영화 문제는 특정한 기관의 입장보다 앞서서 그것과 관련한 정부의 정책에 부합하는지 우선 검토해야 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차세대 동력산업으로서의 보건산업의 핵심으로 GLP시험기관을 주목하고 있는 반면 지식경제부는 국제적 수준의 유일한 GLP시험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를 민영화하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정부 부처끼리 엇박자를 내고 있다. 아직까지 GLP시험기관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마스터플랜조차 발표된 적이 없다. 지식경제부가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중장기 발전전망을 세우는 것을 갖고 고민하지 않고 민영화를 전제로 한 연구용역을 의뢰한 것 자체가 자신들의 GLP시험기관에 대한 무지와 비전문성을 실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가 당장 민영화된다면 이미 국내 시장에서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세계적인 GLP수탁기관과 최근 중국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세계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중국 GLP기관에 의한 국내 시장의 잠식은 막을 수 없게 된다. 그것은 곧 정부가 지난 7년간 지원하여 성장해온 비임상시험분야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국제 경쟁에서의 탈락과 아울러 수천억대 외화유출의 가속화로 나타날 것이다.

과학기술노동자들, 투쟁을 시작하다
그러나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사용자들은 단계적이고 점진적 민영화를 주장하면서 사실상 정부의 민영화 추진을 방조하고 있다. 위기를 느낀 안전성평가연구소 종사자들이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강화를 위한 투쟁위원회(투쟁위원회, 위원장 김광한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한국화학연구원지부장)>를 구성하여 투쟁으로 나서기로 한 것은 때늦은 감은 있지만 정부와 사용자의 무능과 무책임한 행태가 촉발한 셈이다.

투쟁위원회는 5월 11일부터 출근투쟁을 시작했고, 5월 19일에는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기자회견과 겸하여 ‘안전성평가연구소 민영화 저지와 공공성 강화를 위한 투쟁위원회 출정식’을 개최하였다. 투쟁위원회는 지식경제부와 산업기술연구회가 GLP시험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독립법인화 추진 방향이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성 강화로 전환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신약개발 인프라 강화와 GLP시험 기술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국내 관련 산업에 대한 기술지원 역할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신약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GLP시험기관의 중요성을 아는 사람이라면, 지극히 당연한 요구를 현장의 과학기술노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외치고 있다. 그것을 외면하고 이미 결정된 방침이라는 이유만으로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민영화를 끝내 밀어붙인다면, 지식경제부는 글머리에 인용했던 발묘조장(拔苗助長)이라는 고사를 낳은 송나라 농부와 무엇이 다르랴. 한번 망친 농사는 내년 봄에 다시 시작할 수 있지만 한번 망친 과학기술정책은 10년, 20년을 노력해도 만회할 길이 없다는 사실이 더욱 끔찍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출근투쟁 8월말까지 유보...

노동조합은 어제(8/5) 생공투 정례회의를 갖고 KAIST 앞 출근투쟁을 8월말까지 잠정 유보하는 등 8월 투쟁계획을 심의, 결정하였습니다. 결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공투 결정사항

1. 노동조합은 KAIST 서남표 총장에게 공문을 보내어, 통합을 배제하는 두 기관의 발전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할 것을 주문하고, 이러한 입장을 우리 노동조합과의 면담이나 공문을 통해서 8월 27일까지 밝혀줄 것을 요구하기로 한다.

2. 서남표 총장이 8월 27일까지 아무런 회신이 없거나 통합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9월 1일부터 출근투쟁을 재개한다.

3. 교과부는 강제통합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해서 밝히고 있는데, 생명연-KAIST 통합에 대한 방침이 있는지 공문과 면담 요구를 통해서 확인하도록 한다. 교과부의 전향적인 입장이 확인될 때까지는 교과부 앞 1인 시위는 지속한다.

4. 그 밖에 연구원측이 요청하고 있는 연구원 내외부에 설치된 유인물 등 통합반대 운동의 잠정 중단의 건은 노동조합이 이미 요청한 보충교섭을 통해서 연구원측과 충분히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에 판단하도록 한다.

5. 생공투 속보는 계속 발행한다. 다만, 그동안 조합원들이 식당 출입구에서 대대적으로 배포하는 방식을 8월에는 한시적으로 변경하여, 노동조합 전임자들을 중심으로 식당 안에서 조용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이번 결정의 배경과 의미

노동조합의 이러한 결정은 외형적으로는 8월 5일자로 접수된 연구원측의 협조요청 공문에 대한 토론의 결과로 나온 것이지만, 기실은 통합논란이 소강국면을 지속하는 가운데 정부의 구체적인 계획이 드러나게 될 9월 이후를 대비하여 투쟁의 전열을 가다듬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미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지금으로서는 투쟁을 완전히 끝내는 것은 섣부르다는 것이 노동조합의 판단입니다. 노동조합은 8월 하순까지 그동안의 투쟁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한편, 새 원장 취임과 출연(연)에 대한 구조조정 등 앞으로 변화하는 내외부 정세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력을 유지하고 보강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어제 날짜 생공투 속보 66호에서 일부 퍼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출근투쟁 68일째 풍경

 

자전거를 타고 KAIST 정문으로 오는 길에 소담스럽게 핀 나팔꽃무리를 만났습니다. 코스모스가 봄에도 피는 하 수상한 세상인데, 제 철에 피는 꽃을 만나니 절로 기분이 상큼하고 가벼워집니다.

어제 아침에 TV에서 들었던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이 불현 듯 떠오릅니다. 무슨 법칙이냐구요? ‘서로 모르는 두 사람이 6단계만 거치면 아는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오래 전부터 회자되던 이 법칙이 최근에 메신저에서도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2006년 6월 인터넷 메신저 사용자 1억 8,000만명이 한달간 대화한 기록 300억건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무작위로 추출한 한 쌍의 사람들이 평균 6.6명을 거치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미국처럼 넓은 땅덩어리에서 그러하다면 이 좁은 한반도에서는 6.6명까지 갈 것도 없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긴 사돈의 팔촌만 거치면 다 아는 공동체 사회가 우리 옛 모습이었습니다. “너는 아비도 없냐?”고 묻자 “없다!”하고 칼을 휘두르는 무정한 도시의 뒷골목 풍경을 떠올리면 참 비감한 생각까지 듭니다.

구태여 도시의 뒷골목을 들먹일 것도 없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관료들이나 KAIST의 서남표 총장, 장순흥 부총장이나 우리 연구소 직원들이나, 몇 명만 거치면 아는 관계로 맺어질텐데 투쟁 100일이 넘도록 제대로 소통이 되지 않는 것을 보십시오.

얼마 전에 속보에 소개한 적이 있지만, 출연(연)에 대한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이 일방적이고, 비민주적이고, 졸속적이며, 폐쇄적이라고 여기는 연구원들이 90%나 되는데, 정부는 왜 아무런 느낌도 없고 응답도 없는지, 답답하기 짝이 없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도 나팔꽃을 만난 듯이 환하게 웃을 수 있고 말하지 않더라도 교감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라는 노래도 있지만, 이즈음의 출근투쟁을 통해서 우리는 꽃같은 사람들을 만납니다. 얘기를 나누지 않아도, 서로의 생각을 애써 확인하지 않아도, 서 있는 그 자리에서 서로에게 주는 느낌이 꽃처럼 아니 꽃보다 진한 감동을 줍니다. 우리 투쟁이 어떤 결말로 끝날지는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투쟁의 시기에 만난 동지들 한사람 한사람에 대한 좋은 느낌은 오래도록 여운을 남길 것입니다.

오현우, 김지훈, 이종우, 한영칠, 김석원, 조인묵, 김미선, 고애숙, 이정희, 정선경, 박용권, 김은아, 김건래, 정원중, 배종옥, 이강현, 김대겸, 이성우, 김병혁, 박미진, 이재상, 이문수, 김형열, 흐엉(Vietnam), 김두영, 민성란, 황규섭(KAIST노조), 정상철(〃), 오늘 아침을 함께 한, 멋진 동지들입니다. 짝짝 짝짝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불볕더위와 출근투쟁 모습



아침부터 쨍쨍한 뙤약볕입니다. “조합원들이 쓰러지면 어쩌지요?” 하고 KAIST 김세동 위원장이 아침인사를 합니다. 폭염 속에 국토대장정을 강행하다가 6명이 열사병으로 쓰러지고 여대생 1명이 숨졌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듣고 하는 말입니다.

시판되는 자외선 차단제(선크림)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도리어 피부에 해롭다는, 미국의 비영리 환경연구단체가 시행한 연구결과가 전해진 것도 하필이면 오늘입니다. 대부분의 선크림이 ‘멜라닌 색소를 증가시키고 주름을 유발하는 UVA(파장 350nm 이상)’의 차단 기능이 부족하고, ‘피부에 화상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UVB(파장 350nm 이하)’와 UVA를 모두 차단하면서 화학물질이 최소한으로 들어간 제품은 조사대상 중 1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이를 어쩐답니까?-.-

아침 시간이라서 그래도 좀 낫겠거니 하면서 KAIST 정문 앞에 오늘도 플랭카드를 펼칩니다. 평소에는 선캡을 잘 쓰지 않던 사람들도 오늘은 꼼짝없이 선캡을 집어 들어 금세 바닥이 났습니다. 선캡을 쓰고서도 목덜미로 파고드는 따가운 햇살을 어쩔 도리가 없습니다. 어떤 조합원은 모자를 벗어들고 부채질을 하느라 여념이 없고, 어떤 조합원은 출근투쟁할 때마다 꿋꿋이 입고 버티었던 실험복을 벗어서 내려놓았고, 어떤 조합원은 모자 대신에 피켓으로 얼굴과 머리를 모두 가리고, 어떤 조합원은 찌는 더위에 땀과 큰 숨을 번갈아 내밀며 옷깃을 적시고, 아침부터 모두들 더위와 전쟁을 치렀습니다. 아직 출근시간도 되지 않았는데 말이지요.

겉으로 보기에는 파랗기만 한 7월의 하늘 아래 함께 열기를 이겨낸 오현우, 정원중, 김지훈, 이종우, 김정희, 배경숙, 조인묵, 한영칠, 김은아, 정선경, 배종옥, 김기철, 전미희, 이성우, 조혜선, 박용권, 김미선, 고애숙, 이정희, 민성란, 박미진, 이재상, 김대겸, 손덕, 민태규, 김현순, 신기선, 이문수, 이시원, 이문재, 김세동(KAIST노조), 이봉기(〃), 정상철(〃), 반헌호(선급지부장) 동지들, 고맙습니다. 누구 말마따나, 투쟁 물품으로 삿갓이나 양산이라도 준비해야 할 듯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비오는 날, 출근투쟁 풍경

손을 내밀어 우리님의 [두 갈래 길 앞에서] 에 관련된 글.

 

 

3월 28일, 처연하게 비가 내리던 날 아침 출근길,

KAIST 정문에서 출근투쟁을 하러 나온 조합원과 직원들이 170여명인가 그랬다.

그 날 우리 조합원이 찍은 사진...

클릭하면 조금은 크게 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