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변호사 대랍니다
- dure79
- 04/21
-
- 이제는 령토팽창이 아니라 ...
- dure79
- 04/18
-
- 미국의 무모한 허세성무력시...
- dure79
- 04/18
-
- 《공동》의 간판은 전쟁국가...
- dure79
- 04/12
-
- 미일한의 시대착오적인 《비...
- dure79
- 04/09
3229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이것이 정확한 이름이 아닌가요 ?
------------------------------------------
사스 , 신종플루 , 메르스 , 지카 바이러스도 미제가 조작한 것으로 보임 .
19 가 붙는 것은 , 앞으로도 미제가 계속 조작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
미제의 의도에 따라 치사율도 조작할 것으로 판단됨
----------------------------------------------
살인마 미제 트럼프 !
출처: https://isogai.kr/1191 [고관절 바로잡기]
~요원이 손에 조작 바이러스를 묻혀 신천지의 사람들이 많이 잡는 곳에 발라놨을 것으로 추측됨 . 요원은 손을 비눗물로 닦아버리면 무사함 .
민주당의 뛰어난 방역노력으로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자 , 확대시킬 필요성이 제기됨 .
그 목적은 사람들의 분노를 민주당에 쏠리게 하여 , 도로 박근혜당을 집권시켜 점령과 분단을 영원히 이어가는 것
-------------------------------------------------------------
악마 미제 , 트럼프 !
출처: https://isogai.kr/1190 [고관절 바로잡기]
~
유전자변형생물체 개발 및 실험과 이중용도 연구 안전관리 제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물안전평가과
유민수, 신행섭, 강연호*
*교신저자: slowpc@korea.kr, 043-719-8040
Abstract
Dual-use research of concern and genetically modified experiment management policy in Korea
Yu minsu, Shin Haeng-Seop, Kang Yeon-Ho
Division of Biosafety Evaluation and Control, KNIH, KCDC
Background: Recent emerging biotechnologies such as synthetic biology are mak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easily and accurately at a low cost. However these new biotechnologies have generated dual-use research of concern (DURC) between technology development and bioterrorism resulting in changes in the global governance of security.
Current status: New technologies may be used to develop new diseases or produce pathogens as weapons. The WHO and US have been leading the response to the DURC issue and the BWC, UNESCO, and Europe have also shown interest in these issues. Howev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eral laws for DURC has not yet been achieved. The Republic of Korea manages this problems by law.
Future perspective: DURC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as a core concept in the security for new biotechnolog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developing autonomous institutional policies for biosafety management systems.
들어가는 말
지난 50여 년간 생명공학기술은 크게 성장하여 사회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의료분야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생명공학기술은 인류의 생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생물무기를 만드는데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생명공학기술은 ‘발전’과 ‘테러’라는 이중용도 연구(Dual-use research of concern, DURC)의 딜레마에 놓이게 되었다[1].
이중용도(Dual-use)란 용어는 본래 군사적 연구에 민간 지식을 적용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으로, 민간과 군대 간의 기술 이전에 대한 논의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사례가 점차 증가하였다. 최근 이 용어는 수출통제체제 이행을 위한 수출통제법과 같은 군축⋅비확산(Non-proliferation legislation)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첨단 기술이나 지식이 평화로운 응용 목적이 아닌 생물학적/화학적/핵물리학적 무기의 불법 생산을 위해 악용 될 수 있다는 문제를 다루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군축⋅비확산 분야(주석1)에는 제네바 의정서(1925), 핵확산금지조약(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1970), 생물무기금지조약(Biological and Toxin Weapons Convention, BWC)(1972), 화학무기금지협약(Chemical Weapons Convention on non-proliferation of nuclear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 CWC)(1997)이 있다(Figure 1).
외교・안보 영역에서 생명공학 신기술 분야는 위협 전달 경로(Generation method), 위협의 행위자(Threat body)와 대응주체(Response body), 관련 거버넌스에 따라 Table 1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3].
이 중 감염병 분야의 안보적 위협은 글로벌 거버넌스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최근에 생물보안에 대한 이슈를 다루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발간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미국은 WHO와 별도로 안보 관점에서 감염병 대응을 위해 2014년 ʻ글로벌 보건안보 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ʼ을 발족시키기도 하였다.
합성생물학과 같은 생명공학 신기술은 유전자 재조합을 보다 쉽고 정확하고 저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우려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다양한 이슈로 논의되었으며, ‘글로벌 위험 보고서 2016’에서 생명공학기술의 이중용도 위험성을 강조하는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생명공학의 이중용도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국제기구 및 해외의 시각을 소개한 후 우리나라의 이중용도 연구를 관리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 실험에 대한 개발실험 승인’제도의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몸 말
1) 생물학적 이중용도 연구 우려 사례
오늘날 급속도로 발전한 생명공학 신기술을 통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를 조작하여 손쉽게 새로운 질병을 개발하거나 무기로 활용도가 높은 병원균 생산이 용이한 수준에 이르렀다[4]. 이러한 위험은 의도적으로 또는 비의도적으로 발생한다.
가. 유전자변형 엑트로메리아 바이러스 연구사례
1998년 호주의 과학자 Ronald J. Jackson과 lan Ramshaw는 설치류 매개 질병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쥐를 불임상태로 유도하여 개체군의 수를 줄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쥐(Mice)에 경미한 감염을 일으키는 엑트로메리아 바이러스(Ectromelia virus)에 쥐의 난각단백질(egg shell protein) Zona pellucida sperm-binding protein 3(ZP3)을 도입하는 유전자변형(Living Modified, LM)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들은 LM 바이러스에 감염된 암컷 쥐의 난소와 난자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켜 불임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연구결과, 일부 쥐 계통에만 잘 작동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모든 쥐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ZP3 대신 면역 조절제인 인터루킨-4(IL-4)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엑트로메리아 바이러스에 대신 삽입하여 실험하였다. 그러나 이 LM 바이러스는 모든 쥐를 죽게 할 정도로 치명적이었으며[5], 백신 접종을 받은 쥐 조차도 LM 바이러스에 의해 죽었다[6]. 엑트로메리아 바이러스는 Pox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마우스에서 피부병변과 일반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mousepox 원인균으로, 이 연구 결과가 사람에게 감염을 유발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의 병독성을 높여 백신조차 무력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결국 연구가 중단되었다[5].
나. 독감 균주 재현 연구사례
2005년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연구진은 1918년 스페인 독감의 대유행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당시 독감 유행주로부터 유전물질 샘플을 수집하여 “1918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H1N1)”를 재현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1억 명의 사상자를 냈던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이 밝혀지면 생물학적 무기로 개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등 논란이 발생하였다.
다. 포유류 공기전파 LM H5N1 바이러스 연구사례
2012년 Nature 및 Science 저널에 포유류에서 H5N1 바이러스의 전염 가능성에 관한 두 가지 연구가 보고되었다. 고위험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A virus H5N1)는 조류 사이에서만 전염 될 수 있지만, 과다 노출될 경우 간혹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가 감염 될 수 있다. 이러한 H5N1이 돌연변이 되어 포유류 사이에서 전염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기능획득(Gain-of-Function, GOF) 실험을 페렛(ferrets)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H5N1 바이러스가 포유류에게 공기로 전파될 수 있도록 변형되었다는 결과를 얻었지만 그 과정은 달랐다[7, 8].
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의 Ron Fouchier 팀은 야생형 H5N1 변종에 유전자변형을 실시한 후 페렛에 연속적으로 계대하여, 포유류에 공기로 전파되는 LM 바이러스를 만들었다[7]. 비슷한 시기에 미국 위스콘신-메디슨 의대의 Yoshihiro Kawaoka 팀도 H5N1-H1N1 키메라 바이러스를 만들고, 여기에 특정 유전자를 추가하여 공기로 전파되는 LM 바이러스를 만들었다[8]. 이러한 LM H5N1 바이러스 연구결과가 발표되면, 제작된 인체감염성 인플루엔자 병원체가 테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본 연구는 원래 평화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실에서 인간에게 전파 될 수 있는 LM 바이러스가 만들어지면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어 생물보안 측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이에 미국의 생물보안 국가과학자문위원회(National Science Advisory Board for Biosecurity, NSABB)에서는 중요한 사항을 논문에 게재하지 않도록 권고하기도 하였다.
라. 신종 보툴리눔 균주 분리 연구사례
2014년,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새로운 독소 유전자(H형)를 가진 Clostridium botulinum균 분리에 관한 논문발표가 있었다[9]. 이 세균은 환자로부터 분리된 자연 균주이며 유전자 재조합 생물체는 아니었지만 해독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유전자 염기서열 결과 없이 발표되었으며, 해독제가 개발된 이후 해당 염기서열이 공개되었다[10, 11]. 이렇게 유전자변형생물체가 아닌 새로운 야생주(wild type)의 위해여부에 따른 논문의 공개범위에 대한 적절성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12].
이중용도 연구로 간주되는 민감한 생물학적 결과의 공개발표는 여전히 중요한 쟁점이며 국가 규칙 및 지침에 의해 다루어져야 하는 사안으로 여러 국가에서 검토되고 있다[13].
2) 해외의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시각
생명공학(Life science or biotechnology) 기술발전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연구가 이중용도 연구에 해당되는지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현재 세계적으로 생명공학기술의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WHO에서는 기능획득(GOF) 연구부분에서 윤리적, 사회적, 과학적, 보안 및 안전성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회원국의 참여가 저조하여 좀 더 명확하고 폭 넓은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생물무기금지조약에서 이중용도라는 용어는 2008년 당사국회의 보고서에서 처음 나타난 이후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왔다. 2012년에서 2014년의 생산적인 논의 이후 2015년에는 관심이 좀 줄었고, 2016년 제8차 평가회의에서는 최소한의 역할만 하였다. 일부 개발도상국들은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논의가 과학기술의 이중 용도성을 이유로 정보 및 기술교류를 저해하려는 시도로 보고 있어 논의의 진전에 있어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는 이중용도 연구에 대해 인식은 하고 있으나, 생명윤리 문제에 집중하는 조직의 특성과 자금 조달 문제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14].
유럽의 경우, 법률에 따라 이중적 사용 가능성이 있는 기술(연구)을 통제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는 이중용도 연구결과 게재 및 연구내용의 전자적 전달도구(팩스, 전화, 전자우편) 등이 포함된다[15].
네덜란드 정부에서는 Ron Fouchier 교수의 H5N1 바이러스 연구와 관련하여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감시, 정보공유 및 보안기준 등 생물보안을 위해 관련법을 강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미국 정부에서는 1994년에 간주수출(주석2) 규정(Deemed exports regulation)을 마련하여 수출관리규정 적용대상 기술의 공개를 통제하였으며 2001년 편지봉투 탄저균 테러 이후 생물보안정책을 강화하여, 정부에서 투자하거나 수행하고 있는 고위험병원체 및 독소와 관련된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정기적인 감시정책을 운영하고 있다[16]. 이 정책은 지식과 정보, 제품 및 기술의 오용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이중용도 연구의 감시정책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국 국립연구위원회(National Research Council)의 Fink 보고서(2004년)에서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우려되는 이중용도 연구의 7가지 예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17].
• 백신을 효과 없게 만드는 방법(How to render a vaccine ineffective)
• 치료에 유용한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에 내성 부여 방법(How to confer resistance to therapeutically useful antibiotics or antiviral agents)
• 병원균의 독력을 높이거나 비병원체에 독력 부여 방법(How to enhance the virulence of a pathogen or render a non-pathogen virulent)
• 병원체의 전파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방법(How to increase the transmissibility of a pathogen)
• 병원균의 숙주 범위 변경 방법(How to alter the host range of a pathogen)
• 진단/검출기법의 회피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How to enable the evasion of diagnostic/detection modalities)
• 생물학적 제제 또는 독소의 무기화 방법(How to enable the weaponization of a biological agent or toxin)
미국 정부에서 2001년 설립한 NSABB(고위험병원체 생물보안 관리에 대한 연방 자문기구)는 생명과학 이중용도 연구의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초안을 2007년에 발표하였고, 다양한 이중용도 이슈에 관련한 지침과 이중용도 연구 감시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총괄적인 연방정책이나 법률에 의한 제도화는 이루지 못하고 있다[18].
3)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생물체 개발실험 안전관리 정책과 이중용도 연구 관리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변형생물체법)이 시행됨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생명공학기술의 이중용도 연구를 통제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와 ‘국가승인’제도를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는 「생명공학육성법」에 의한 국가적인 생물공학기술 이용 장려와 유전자변형생물체법에 의한 안전관리의 접점인 1997년부터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실험을 위해성에 따라 기관신고, 기관승인, 국가승인으로 구분하였고, 기관생물안전위원회(Institutional Biosafety Committee, IBC)의 승인 및 신고 또는 질병관리본부의 승인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1997년 당시, IBC 설치는 권고사항이었으나 2008년에는 생물안전 3등급 이상의 실험실을 설치한 연구기관에서는 의무로 변경되었고, 2014년에는 생물안전 2등급 이상의 실험실을 설치한 연구기관까지 의무사항이 확대되었다. IBC는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을 기관 내부에서 심사하고 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기관 차원에서 생물안전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안전관리체계의 핵심기구로 운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중용도 연구의 기관 차원의 관리가 가능해졌다.
질병관리본부의 승인은 일반적으로 ‘국가승인’으로 불리며, 승인내용으로는 미확인 생물체 이용, 단백성 독소유전자 이용, 약제내성 유전자 이용, 국가관리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전자를 이용하는 유전자 재조합 실험을 하는 경우로 제한된다. 이 제도는 위해 가능성이 큰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실험의 국가적 안전관리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IBC의 심사결과를 제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각 기관의 IBC에서 수집된 정보가 질병관리본부로 보고되며, 국가 차원에서 이중용도 연구의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는 실험에 적절한 밀폐수준과 실험실 생물안전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병원체의 위해성을 감염성, 독성, 심각성, 치료가능성 등에 따라 국제적으로 4단계로 구분한 병원체 위험군을 고려하여 취급가능 실험실 생물안전등급이 결정된다. 그러나 유전자 재조합 실험은 실험 생물체에 대한 의도적/비의도적 기능획득(GOF) 돌연변이나 기능손실(Loss-of-Function, LOF) 돌연변이를 유발하기에 병원체 위해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병원체 위험군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실험 생물체가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영향을 받아 주요 특징을 획득하거나 상실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상당하는 실험실 생물안전등급도 변경된다. 이에 2014년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 및 심사체계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체계적인 유전자변형생물체 개발실험 안전관리 정책을 이행하고 있다.
하지만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를 통해 이중용도 연구에 대한 안전관리 측면의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오용, 악용될 수 있는 이중용도 기술 등 민감한 정보에 대한 보안관리, 실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배경과 보안평가, 실험결과를 공개하기에 앞서 민감한 방법론 삭제 권고 등을 위한 보안위협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국가예산으로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국가 핵심기술이나 산업통상자원부의 「대외무역법」에 따른 수출허가 등의 제한이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는 보안과제로 분류하고 있다. 보안과제의 연구개발 결과는 정해진 기간 동안 공개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며, 보안과제의 연구내용과 관련하여 외국기관에 방문하거나 방문을 받을 경우 방문계획에 대한 사항을 중앙행정기관과 국가정보원에 사전에 통보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맺는 말
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생물보안 위험들은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며, 전통적인 보안(Traditional security)의 발상과 개념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새로운 안보 이슈는 거시적 차원의 문제이며 과학․기술․지식․정보 집약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3]. 특히 합성생물학 등 생명공학 신기술과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유전자 재조합을 쉽고 정확하고 저렴하게 만들고 있다. 이 상황에서 이중용도 연구는 ‘기술발전’과 ‘생물테러’라는 딜레마에 놓인 생명공학기술의 역할을 자리매김하는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실험실 생물보안은 IBC 설치가 의무화된 2014년 이후, IBC가 기관 차원의 자율적 생물안전 확보체계의 핵심기구로 기능하면서 기관 차원의 이중용도 연구 관리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위해성 평가’와 ‘국가승인’제도를 통해 각 IBC의 정보가 질병관리본부로 수집되므로 국가 차원의 이중용도 연구 관리가 이루어진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자율적 안전관리’를 이행하기 위한 역량 개발과 제도적 토대 마련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실험실 생물안전관리는 1차적으로 실험시설에서 병원체의 접촉․노출․이동․확산 경로에 대한 위해성 제어 및 차단을 위한 밀폐형 구조형태의 유지․제어를 확보하면서, 기관생물안전관리책임자(Institutional Biosafety Officer, IBO) 등에 의해 안전관리 현황을 상시적으로 점검(Monitoring)하는 정보교환체계를 구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교환체계의 중심에는 생물안전정보를 문서화하도록 유도하는 위해성 평가서의 작성과 활용이 필수적이다.
즉, 연구책임자가 실험실의 위해요소에 대한 사전 유해인자 위험분석 또는 실험의 위해성 평가를 통한 위해성 평가서를 IBC에 제출하면, IBC는 전문적인 자문을 통해 보완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결과 위해성 평가서의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청자에게 해당 내용을 보완하게 하고, 보완사항이 없을 경우 심사결과서를 발급한다. 심사결과서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실험의 심사결과를 승인, 불승인, 조건부승인으로 발급하는데, 이때 불승인 및 조건부승인의 경우 해당 사유를 통지하여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IBC에서는 기관 내 위해성관리 항목을 기관 내 생물안전 관리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위해성 평가서와 심사서를 바탕으로 IBO 및 연구책임자와의 회의 및 논의를 통해, 확인된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이행한다. 그리고 개선 결과는 차후 유전자변형생물체 실험신청서에 반영되어 관계중앙행정기관에 보고된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에 대한 문서는 기관 내 구성원이 공유함으로써 생물안전 관련 이해관계자의 지식이 점진적으로 진화되도록 하는 구조로 생물안전 정책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자율적 생물안전 관리시스템의 순환체계 내에서 생물보안(Biosecurity)에 대한 논의를 함께 규정함으로써 진화하는 안보 위협들에 대한 사항을 검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안보 분야의 이슈별 위협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고 구체적인 대응방식 모색이 용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율적 생물안전 관리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연구기관이 생물보안 관리정책을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신행섭. 2012. 이중적 사용 가능성이 있는 연구에 대한 고찰. 주간 건강과 질병. 5(35): 656-662. 질병관리본부.
2. Angela Cirigliano, Orlando Cenciarelli, Andrea Malizia, Carlo Bellecci, Pasquale Gaudio, Michele Lioj, Teresa Rinaldi. 2017. Biological Dual-Use Research and Synthetic Biology of Yeast.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23: 365-374.
3. 한성구, 장승동, 김현철. 2016. 바이오안보(Biosecurity)의 부상과 과학기술 정책방향 – 보건안보와 식량안보를 중심으로. Issue Paper 2015-15. 한국과학기술평가원
4.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2010. Understanding Biosecurity: Protecting Against the Misuse of Science in Today's World. NAS.
5. Franziska Oeschger, Ursula Jenal. 2017. Misuse potential and biosecurity in life sciences research : A discussion basis for scientists on how to address the dual use dilemma of biological research. Swiss Academies of Arts and Sciences.
6. Jackson RJ et al. 2001. Expression of mouse interleukin-4 by a recombinant ectromelia virus suppresses cytolytic lymphocyte responses and overcomes genetic resistance to mousepox. J Virol 75: 1205–10.
7. Herfst, S., Schrauwen, E. J., Linster, M., Chutinimitkul, S., de Wit, E., Munster, V. J., et al. (2012). Airborne transmission of influenza A/H5N1 virus between ferrets. Science, 336(6088), 1534–1541.
8. Imai, M., Watanabe, T., Hatta, M., Das, S. C., Ozawa, M., Shinya, K., et al. (2012). Experimental adaptation of an influenza H5 HA confers respiratory droplet transmission to a reassortant H5 HA/H1N1 virus in ferrets. Nature, 486(7403), 420–428.
9. Hooper, D. C., & Hirsch, M. S. (2014). Novel Clostridium botulinum toxin and dual use research of concern issue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9(2), 167.
10. Barash, J. R., & Arnon, S. S. (2014). A novel strain of Clostridium botulinum that produces type B and type H botulinum toxin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9(2), 183–191.
11. Dover, N., Barash, J. R., Hill, K. K., Xie, G., & Arnon, S. S. (2014).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otulinum neurotoxin type H gen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9(2), 192–202.
12. Enserink, M. (2015). As new botulism threat implodes, more questions. Science, 347(6225), 934–935.
13. Suk, J. E., Zmorzynska, A., Hunger, I., Biederbick, W., Sasse, J., Maidhof, H., & Semenza, J. C. (2011). Dual-use research and technological diffusion: Reconsidering the bioterrorism threat spectrum. PLoS Pathogens, 7(1), e1001253.
14. Piers D Millett. 2017. Gaps in the International Governance of Dual-Use Research of Concern. Committee on Science, Technology, and Law 2nd Meeting;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15. EU. 2011. The dual-use export control system of the European Union: ensuring security and competitiveness in a changing world, EUROPEAN COMMISSION, Brussels, 30.6.2011, COM(2011) 393 final.
16. NIH. 2012 .United States Government Policy for Oversight of Life Sciences Dual Use Research of Concern. NIH. 29 Mar. 2012.
17. Miller, S., Selgelid, M. J. 2007. Ethical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the dual-use dilemma in the biological scienc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13(4): 523–580.
18. WHO. 2016. Joint External Evalua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주석1) 군축이라는 용어는 이미 만들어진 무기를 감축 또는 폐기시킨다는 의미이며, 비확산은 폐기는 하지 않고 어떠한 무기의 확산(한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전파되거나, 무기의 성능과 질이 향상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의미임. 제네바 의정서, NPT, CWC, BWC 모두 비확산체제의 개념뿐만 아니라, 이보다 폭넓은 군축의 개념과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주석2) 간주수출(Deemed export) : 기술자료 등을 미국에 있는 외국인에게 공개(release)하는 행위를, 그 외국인의 모국으로 수출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 간주수출은 기업에 의한 외국국적 보유자의 고용, 타사의 외국국적 종업원과의 협업 또는 기업 방문·연수로 방문한 외국적보유자에 대한 기술 제공 시 항상 일어날 수 있음.
~
전체 > 뉴스 > 문화 > 문화일반
유전자로 무장한 ‘생물무기’
제344호
등록 : 2001-01-31 00:00
•
크게 작게
현실화되는 DNA 재조합 바이러스의 위험… 치명적인 파국 부를 가능성 높아
사진/유전자에 악성 바이러스를 손쉽게 끼워넣을 수 있다. 위의 녹색 부분이 운반체를 끼운 바이러스이다.
지난 70년대 중반 처음 DNA 재조합 기술이 실현되었을 때, 많은 분자생물학자들은 자신들이 만들어낸 기술에 스스로 놀랐다. DNA 재조합이란 말 그대로 한 생물의 DNA 일부를 잘라서 다른 생물의 DNA에 삽입하거나 접합하는 기술을 뜻한다. 당시 과학자들은 그 기술의 엄청난 힘을 감지하고 그 영향력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있기까지 일시적으로 실험을 중단하는 조처, 즉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다.
그뒤 25년 이상이 지난 오늘날 DNA 재조합 기술은 당시와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로 발전했고, 많은 나라들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견되는 이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여념이 없다. 그렇다면 그동안 기술발전과 함께 ‘판도라의 상자’, ‘호리병 속에 든 거인’ 등 무수한 별명을 얻은 DNA 재조합 기술의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그에 따른 조처는 이루어졌는가?
너무 성급하게 열린 판도라의 상자
영국에서 발간되는 과학잡지 <뉴 사이언티스트> 최근호의 보도 내용은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유전자 조작에 대해 우려했던 사태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등장이다.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과학자팀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자연상태에서 발견되는 어떤 바이러스보다도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만들어냈다.
오스트리아 국립대학의 이언 럼쇼(Ian Ramshaw)와 그의 동료는 페스트의 전염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쥐를 불임(不姙)으로 만드는 백신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쥐의 사지(四肢)에 손상을 일으키는 마우스팍스(mousepox) 바이러스에 인터루킨-4(IL-4)를 다량으로 생성하는 유전자를 삽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인터루킨이란 단백질의 일종으로 면역계통의 조정인자 역할을 한다. 그들이 이런 실험을 한 까닭은 쥐의 난자를 생성시키지 못하게 하는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여기에서 마우스팍스 바이러스는 단지 난자의 단백질을 옮겨주어 항체 반응을 촉발시키는 구실밖에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인터루킨-4 유전자를 삽입한 이유는 그 단백질이 항체 생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유전자 조작의 결과는 전혀 예상치 않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인터루킨-4 유전자가 삽입되어 유전자 조작된 바이러스가 쥐의 면역체계를 완전히 무력화시켰고, 결국 실험 대상이었던 쥐가 모두 몰살한 것이다. 문제는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 변형된 바이러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쥐들에게 백신을 주사했지만 백신 효과는 절반밖에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변형 바이러스가 테러집단 손에 들어간다면…
사진/유전자 구조와 움직임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에 의하면 이 바이러스는 인체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변형된 마우스팍스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감염되는 천연두의 사촌뻘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기술이 테러 집단이나 범죄자들의 손에 들어가게 되는 사태를 우려한다. 날로 발전하는 생물공학 기술 덕분에 과거에는 거대한 연구시설과 많은 인원을 필요로 했던 유전자 조작이 소수의 인원과 간단한 설비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점도 우려의 현실적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영국의 생물학자들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탄생하는 악성 바이러스가 백신을 무력화시키는 치명적인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을 두려워하고 있다.가령 사람의 인터루킨-4 유전자를 천연두 바이러스에 삽입시킬 경우 천연두로 인한 사망률이 급격하게 높아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는 현재 무수한 실험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실험에서 우연히 악성 변종 바이러스가 태어날 가능성이다. 특히 암과 같은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실험에서 예측하지 못한 사태로 사람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출현하게 된다면 인류 전체에 비극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더구나 예상치 못한 악성 바이러스의 등장이 여러 가지 이유로 보고되지 않고 은폐될 가능성도 높다. 관계자들이 자신의 연구소에서 악성 바이러스가 탄생했다는 소식이 나쁜 평판을 불러일으키고 급기야 연구비 지급 중단으로 이어지는 사태를 꺼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실 내에서의 조기발견이 중요
사진/유전자 조작된 바이러스는 생물체와 면역체계를 무력화시키기도 한다. 사진은 실험용 쥐들.
이번에 오스트레일리아 연구진에서 나타난 사례는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훨씬 더 심각한 사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관계자들은 수많은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를 일일이 감독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연구의 투명성을 높이고 엄격한 규제 장치를 도입하는 것 이외에 실험실에서 연구자들 스스로 예상치 못한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대처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고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수적이다. 실험실 내에서의 조기발견 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파국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실험을 직접 담당하는 연구자들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연구에 내포된 위험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받기 전에는 박사학위를 받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생물무기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런 조처는 과학 연구의 공유와 발표의 자유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강제성을 띠기 힘들 것이다. 이 문제처럼 타율적인 규제보다 연구자들 스스로의 노력이 중요한 경우는 없을 것이다.
김동광/ 과학평론가·과학세대 대표 kwahak@byulnow.com
출처: https://isogai.kr/1188 [고관절 바로잡기]
핵 - 석유 달러 붕괴 예정 = 미제 2 류 국가 , 세계 지배력 상실
제조업 부활은 개꿈
가만 있을 것인가 ?
------------------------------------------------------
추측
코로나에 에이즈 유전자를 삽입하여 초기 증상이 없게 만듦 . 전염 경로를 알 수 없게 되어 , 방어 불가능
미제의 앞 선 유전공학으로 백신 제조
누가 공격하는지도 모르는 세계 ,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동아시아에 백신 판매 . 구세주로서 등장
핵 석유 달러가 붕괴되어도 , 핵 석유 백신 달러로서 부활
달러 지배는 영원히 ...
* 남아있는 적이 극초음속 미사일 , 핵방공호 이북 . 이북만 감염시키면 , 백신으로 굴복시킬 수 있음 .
그래서 저를 감염시켜 방북시키려 한 것임
일제 세균전 부대
이를 빼앗아 기술 습득한 미제가 독립군 이북에 탄저병 공격
주한 미군의 세균전 부대 : 평택 험프리스 , 부산
탄저병 , 보톨리누스 ( 1 그램으로 몇 억명 죽인다네요 )
------------------------------------------------------------------------
그렇다면 , 위와 같은 추론이 가능함
02 사스 = 코로나 + 에볼라 보통으로 섞음 / 치사율 10 %
09 신종플루 = 독감 + 에볼라
15 메르스 = 코로나 + 에볼라 곱배기 / 치사율 40 %
19 코로나 = 코로나 + 에볼라 조금 + 에이즈 / 치사율 ? %
----------------------------------------------------------------------------
코로나는 1967 년 발견됨 . 별 독성이 없었는데 , 2002 사스부터 독성 강해짐 . 이유는 ?
바이러스 전염병 중 , 소화기가 손상되어 설사 증상이 있는 것은 에볼라가 유일 . 단지 독감에서는 어린이에게만 설사가 나타남 .
그렇다면 , 위와 같은 추론이 가능함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둘러싼 과학적 퍼즐들
둥위훙
2020년 2월 12일 업데이트: 2020년 2월 14일
공유
•LINKEDIN
•PINTEREST
•REDDIT
•TUMBLR
•STUMBLEUPON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의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중국 후베이성 전 지역과 저장성 주요 도시 세 곳이 격리됐다. 다른 나라에서는 자국민을 탈출시키고 중국행 항공편을 제한하고 있다. 빠른 전염 속도에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공중보건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바이러스의 발생과정, 사람 간 전염기간, 감염자에 대한 임상 관리 등 중국이 제공하는 정보가 제한돼 연구자들의 지식 역시 단편적이지만, 최근 연구 논문에 실린 과학자들의 발견을 아래에 정리했다.
란셋 게재 논문 “신종코로나, 자연적 발생 아닌 것 같다”
대부분 논문에 따르면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이하 신종코로나)는 가장 가깝다는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성이 88%에 그쳤다. 사스와는 79%, 메르스와는 50%였다.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루뤄젠 우한대 바이러스학 국가중점실험실 교수 등은 지난 1월 30일 국제 학술지 란쳇에 실린 논문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재조합은 아마도 이 바이러스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지난 1월 27일 그리스의 과학자 5명이 신종코로나의 유전자를 분석해 “유전자 거의 절반이 새로운 혈통에서 왔음을 보여준다. 사르베코바이러스(sarbecovirus)의 하위 유전체에 속하는 다른 바이러스들과 유전적으로 연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신종코로나가 “지금까지 발견된 다른 어떤 코로나바이러스에서도 보이지 않았던 특이한 중간 마디를 지니고 있다”며 새로운 형태의 코로나바이러스임을 시사했다.
또한 신종코로나가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의 자연적 돌연변이로 생겨났다는 기존 가설을 기각했다.
이 논문은 정식 학술지가 아닌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ixv)’에 발표됐으며, 동료리뷰(peer review)를 거치지 않은 초고다.
우한 코로나바이러스의 ‘퍼즐’ 조각들. 12시부터 시계방향으로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들과 유전적으로 멀다’ ‘바이러스 수용체(ACE2)의 세포침입력은 사스 바이러스와 유사’ ‘사이토카인 폭풍(면역체계 과민반응)’ ‘빠른 사람 간 전염 속도와 사망률’ ‘HIV 치료제 사용의 임상결과’ ‘스파이크 단백질의 변형에도 보존된 ACE2 수용체 침입력’ | 동위훙 박사
신종코로나 유전자 서열 분석…단기간에 하나의 원천에서 발생
신종코로나는 RNA(리보핵산)바이러스로 자연적인 돌연변이 가능성이 높다. 루 교수는 란쳇 논문에서 “코로나바이러스는 전형적인 RNA바이러스이며, 평균 진화율이 매년 사이트당 약 10-4 뉴클레오티드 치환으로 증식 주기마다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서로 다른 환자에게서 검출된 신종코로나의 유전자 서열이 99.9% 이상 동일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신종코로나가 단기간 내에 하나의 원천에서 나왔으며 비교적 빠르게 검출됐음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지난 1월 31일 미국 최고의학관(CMO) 존 코헨 박사는 ‘사이언스’ 기고문에서 “바이러스가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시간이 길수록, 더욱 많은 돌연변이를 일으켜 감염자마다 서로 다른 바이러스를 지니게 된다. 현재까지 공개된 신종코로나의 유전자 서열 분석결과를 보면, 최대 7개 뉴클레오티드 정도만 달라졌다. 이는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된 게 아주 최근에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어떤 동물에 의해 사람으로 옮겨졌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라고 했다.
신종코로나, 박쥐·화난수산시장 발생설로는 설명 어려워
루 교수 등은 바이러스의 자연적 숙주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초기 가설은 바이러스가 우한시의 화난(華南)수산시장에서 팔리는 박쥐를 통해 사람으로 옮겨졌다는 설이었다.
루 교수 등은 논문에서 “첫째, 바이러스 발생이 처음 보고된 2019년 12월 말에는 우한지역의 박쥐류가 대부분은 동면한다. 둘째, 화난수산시장에서는 박쥐가 팔리거나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육상동물들(마말 포함)이 거래되고 있었다. 셋째, 신종코로나는 가까운 박쥐 바이러스(SL-CoVZC45, SL-CoVZXC21)와 유전자 서열 동일성이 90% 미만이므로, 두 바이러스는 신종코로나의 직계 조상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신종코로나의 첫 숙주는 박쥐였을 수도 있지만, 사람에게 옮기기까지는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이 있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존 코헨 박사 역시 “우한 시장이 신종코로나의 초기 확산에는 역할을 한 것 같지만, 발생의 진원지라고 확신하기 어렵다”며 “초기 확진환자 41명 중 27명, 보고에 따라서는 26명은 우한 시장과 연결되지만 극초반 환자를 포함한 전체의 45%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는 사람으로의 감염이 다른 곳에서 시작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했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사스코로나, 스파이크 단백질에 ‘정밀한 변화’…감염력은 그대로
모든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 내에서만 생존할 수 있으며, 세포에 의존해서 증식한다. 따라서 모든 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에 있는 문(수용체)에 들어갈 수 있는 단백질(열쇠)이 필요하다. 세포에 결합하지 못한다면 바이러스는 혈액이나 조직액 속을 떠돌다가 인체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은 세포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으며, 기존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에 가시처럼 돋아난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간 세포의 ‘ACE2’ 수용체 결합시켜 인체에 침투한다. ACE2 수용체는 인체 세포에 다수 존재하며, 사스 바이러스는 특히 폐나 소장 상피 내벽에 있는 ACE2 수용체를 통해 침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루 교수 등의 란쳇 논문에서 신종코로나의 수용체 결합부위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밝혔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수용체 결합과 살아있는 숙주 타겟팅을 책임지는데, 루 교수 등의 분자 모델링 데이터에 따르면, 신종코로나는 수용체 결합부위에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있었음에도 ACE2 수용체 통해 숙주 세포로에 침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21일 중국과학원 상하이파스퇴르연구소, 우한대 바이러스학 국가중점실험실의 신톈 쉬와 공동저자들은 ‘과학중국 생명과학’에 게재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관한 인간 감염위험성’ 연구논문에서 신종코로나에 관한 더 정확한 분석을 실었다.
“일반적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코로나바이러스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면 가변성이 크다. 또한 신종코로나는 인간감염 사스코로나와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다. 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역시 유사성이 낮다. 그러나 신종코로나의 수용체 결합부위만은 인간감염 사스코로나와 매우 닮았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사스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442, 472, 479, 487, 491번째 아미노산은 수용체 결합점으로, 바이러스의 사람 간 간염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놀랍게도 신종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이 중 4개가 교체됐에도 인체 ACE2 수용체와 강력한 친화력을 유지했다. 442, 472, 479, 487번째 아미노산이 바뀌었지만, 구조적 형태는 대부분 그대로였다.”
“신종코로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부위 3차원(3D) 구조가 사스코로나와 거의 똑같았기 때문에, 상호작용에 있어서 동등한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적 속성과 정전기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즉, 우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 수용체 결합을 통해 인간 감염이라는 중대한 공중 보건적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신종코로나가 사스와는 다른 바이러스라는 점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아주 쉽게 변화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신종코로나와 사스는 바이러스의 유전자 서열, 단백질 구조, 스파이크 단백질의 기능마저 모두 달라야 자연스럽다.
그러나 신종코로나는 너무나 지능적이게도 특정한 부위에 정확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인체의 ACE2 수용체와 결합력을 유지했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스파이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딱 4개만 변이시켰을까. 바이러스가 유전자 가위(CRISPR)라도 사용했다는 것인가?
놀라운 발견: HIV 바이러스에서 가져다 끼워맞춘 스파이크 단백질
지난 1월 27일, 인도 공과대학(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인 프라산트 프라단(Prashant Pradhan)과 공동 저자들은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한 ‘신종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이뤄진 독특한 삽입과 HIV-1 gp120와 Gag의 비정상적인 유사성’이라는 논문을 게재했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논문의 교신저자인 미슈와짓 쿤두(Bishwajit Kundu) 교수는 단백질 유전자 및 유전자공학 전문가로 지난 17년간 생명과학·생물의학 전문 검색엔진인 펍메드(PubMed)와 권위있는 학술지 등에 41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해당 논문에서는 신종코로나의 스파이크 당단백질에서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독특한 아미노산 잔기 4개가 삽입됐음을 발견했다며, 이는 에이즈 바이러스인 HIV-1 gp120 이나 HIV-1 Gag와 같거나 비슷하다고 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 아미노산 서열들이 따로 떨어져 있었으나, 신종코로나의 입체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수용체 결합을 그대로 유지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짧은 시간에 자연적으로 바이러스에 이런 독특한 삽입이 발생한다는 건 매우 믿기 힘든 일”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논문은 현재 저자들에 의해 자진 철회됐다. 바이오아카이브는 정식 학술지가 아니라 동료 리뷰를 거치지 않은 논문 초고를 올리면 동료 연구자들이 의견을 게재하는 사이트다. 바이오 아카이브측은 “연구진이 기술적 접근과 결과 해석에 대해 동료 연구자들로부터 받은 의견을 반영해 논문을 수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공과대학 연구팀이 3D 모델링으로 분석한 신종코로나와 사스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당단백질 구조 | 그래픽 출처 ‘Uncanny similarity of unique inserts in the 2019-nCoV spike protein to HIV-1 gp120 and Gag’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임상적 증거: 환자들에서 나타난 현저한 림프구 저하와 사이토카인 폭풍
인도 연구진의 주장이 만약 옳다면 신종코로나는 인간의 면역체계를 지휘하는 보조 T세포(CD4 Tcell)에 침투하고, 그에 따른 임상 증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예상은 지난달 24일 국제학술지 란셋에 발표된 ‘신종코로나 환자 41명의 임상보고서’에서 뒷받침됐다.
중국 우한시 진인탄(金銀潭) 병원 부원장인 황차오린(黄朝林) 교수가 제1저자인 이 논문에서는 확진환자 41명 중 화난수산물시장과 관련된 경우는 27명(66%)이었다.
환자들은 발열(98%), 기침(76%), 갈증 또는 피로(44%), 가래생성(28%), 두통(8%), 객혈(5%), 설사(3%) 등의 증상을 보였고, 평균 8일에 걸쳐 55%가 호흡곤란으로 발전하고 63%가 림프구 감소를 보였다.
41명 모두 흉부 CT검사에서 이상소견으로 폐렴 판정을 받았으며 32%가 중증이었고 중중환자 중 6명(전체의 15%)가 사망했다. 중증환자는 사스 때와 마찬가지로 IL2, IL7, IL10, GSCF, IP10, MCP1, MIP1A, TNFα 등 사이토카인 수치가 대체적으로 높았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또한 논문에서는 신종코로나 감염 중증환자 중 85%에게서 림프구 수가 1·0 × 109, /L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바이러스성 감염증에서 백혈수 수치가 낮은 현상이 흔하다는 것을 감안해도 놀라울 정도였다.
지난달 22일 중국 웹사이트 두 곳에서 신종코로나 감염증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지침이 발표됐다. 우한 퉁지(同濟)병원에서는 림프구 감소증을, 화중공대 의대에서는 림프구 절대값 모니터링을 제안했다.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진단 시에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신종코로나 감염증 환자를 진단할 때는 일정한 비율로 림프구 수치 모니터링이 임상적으로 의미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림프구 중 대부분은 표면에 CD4단백질을 지닌 CD4+ T림프구다. CD4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세포를 침투할 때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신종코로나 감염증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또다른 임상적 특징은 사이토카인(cytokines) 폭풍이다.
사이토카인 농도 증가는 인체가 외부에서 침투한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면역력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일어나는 현상으로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성화가 원인이다. 이 현상이 지속되면 신체 장기와 조직에 손상을 일으켜 심하면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는 “신종코로나 감염증 치료에 권장할만한 항바이러스 치료법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국제적으로 HIV 치료제를 이용해 신종코로나 감염증을 완화시킨 몇몇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결론
신종코로나에 관해서는 과학적 질문들이 많다. 최근 발표된 과학 논문들에 근거해 볼 때, 신종코로나는 그 생성에 유전자공학이 개입됐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전례없는 바이러스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신종코로나가 가져온 심각한 위협에 맞서 중국과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더욱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의문에 싸인 바이러스 발생과정 규명을 위한 과학자와 의사, 전문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
미제의 비루스 흉계 ( 수정 )
Modify:Modify (window)|Trackback|Delete|(비공개)→공개로 변경합니다
일제의 세균전 부대
이를 접수하여 , 기술 습득한 미제가 독립군 지역의 이북에 탄저병 공격
---------------------------------------------
22 년 쯤 대공황으로 달러붕괴 = 미제 몰락 예상됨
중국과 이북에 군사적 공격 불가능
---------------------------------------------
사실과 추측
19 . 5 CIA가 코로나에 에이즈 유전자 삽입 = 6 주간 증상 없음
19 . 8 백신 개발 완료 ( 미식축구를 보면 , 미제는 안전을 추구함 )
19 . 9 미제가 위 조작 코로나로 시뮬레이션
19.11 트럼프가 최종승인
19.12 우한의 한 명에게 감염시킴
20 . 2 이북의 국경폐쇄로 뚫을 방법이 없자 , 저를 슈퍼 감염자로 만들어 방북시킬 흉계
출처: https://isogai.kr/1175?category=752819 [고관절 바로잡기]
출처: https://isogai.kr/1175?category=752819 [고관절 바로잡기]
~
한국어 바로잡기
수신 : 국어학회 , YTN 노동조합 , KBS 노동조합
발신 : 한국어 바로잡기 김창현
천안시 서북구 성환3 로 20
< 취 지 >
생각의 수단인 언어 왜곡을 바로잡아 , 우리 민족과 인류의 행복에 이바지해주시길 바랍니다
< 내 용 >
아시다시피 , 사고는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 따라서 왜곡된 언어로서 사물을 인지하고 생각하게 되면 , 왜곡된 행동을 하게됩니다 .
최근 한국어 왜곡이 심각한데 , 친일 후손들이 우리민족의 정신을 혼란시키려는 의도로 짐작됩니다 .
1 . 부분
~ 부분 <-- 것 , 점 , 측면
관용에 맞지 않게 부분이라는 말을 자꾸 사용하고들 있읍니다 .
전체를 먼저 보고 , 부분을 나중에 봐야하는데 , 부분이라는 말을 자꾸 듣게 되면 , 이 말에 지배를 받아 , 부분을 먼저 보게 되는 바보가 됩니다 .
2 . 자동사 타동사 혼란
3 . 세종대왕 공격
영화감독 경험이 없는 조철현이 역사적 근거도 없이 , 스님이 한글을 만들었다고 거짓말을 하네요 .
그 의도는 민족과 인류의 은인인 세종대왕을 공격하여 , 유일한 3 차원 언어인 한국어와 모든 언어를 과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을 왜곡시키고 , 민중을 신비주의에 빠지게 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
200128 한국어 바로잡기 김창현 작성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