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에코토피아는 매년 환경파괴에 맞서는 투쟁과 연대하는 캠프를 꾸립니다.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한 2018년 이전의 캠프 소식과 2015~2024년의 자료집을 차례차례 정리해서 공유하려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악산 케이블카 반대 행동과 연대하는 2016년의 캠프는 9월 말 강원도 양양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캠프를 앞두고 나흘동안 진행된 바이크투어 참가자들은 자전거를 타고 산길을 구비구비 지나 홍천과 인제를 거쳐 양양으로 향해 갔습니다. 3일 동안의 캠프에서 숲 스케치, 초보 아크로바틱 등 참가자들이 자율적으로 꾸린 여러 워크숍이 진행되었고, 설악산과 케이블카 사업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자료집을 함께 읽었습니다. 케이블카 하부 정류장 예정지인 오색지구에서 피켓팅도 진행했습니다.

 

설악산 국립공원의 중심부인 오색-대청봉 탐방로 인근으로 케이블카를 건설하려는 시도는 1980년대부터 반복되어 왔습니다. 2010년 자연공원법 개정으로 케이블카 최장 거리 제한이 완화되고, 2014년에서 2015년 사이 평창올림픽 개최를 명목으로 산림규제완화 정책과 산림 민영화 정책이 본격 추진되며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은 또다시 고개를 들었습니다. 캠프 개최 얼마 전에 환경영향평가가 실시되었고, 전국 산악 지역에 우후죽순 케이블카 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했습니다. 캠프 참가자들은 설악산과 함께 연대할 방안을 의논하고, 다른 지역의 케이블카 사업 반대 행동과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리했습니다. 캠프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2017년 초 전북 진안 마이산 케이블카 사업 반대 행동과 연대하는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마이산 케이블카 사업은 2015년부터 추진되었으나 주민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2020년에 마침내 백지화되었습니다.


* 2016년 캠프 자료집 '설악산과 우리의 서식지' pdf로 읽기 
* 자료집의 내용은 캠프 당시의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5/05/10 10:30 2025/05/10 10:30

  도로변 인도 위에 많은 사람들이 서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켓이나 몸자보를 들고 있으며 사람들이 모여있는 앞 뒤로 큰 현수막이 펼쳐져 있다. 뒤에 있는 현수막에는 "끝까지 막아낸다!" 라고 적혀있고, 앞에 있는 현수막에는 "설악산오색삭도 사업 허가 취소 소송 청구와 착공식 규탄 기자회견"이라고 적혀있다. 사람들이 모여있는 뒤 편으로는 소나무가 여러 그루 있으며, 3층 정도 높이의 건물이 보인다. 맞은편에 서 있는 몇몇 사람들의 뒷 모습이 보인다. 하늘은 맑다.

 

11월 20일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착공식에 맞서는 저항행동에 참가하기 위해 양양에 갔습니다. 케이블카를 무조건 짓겠다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설악산 뿐만 아니라 전국 산악 보존 지역에 재앙을 가져왔습니다.
 

반드시 지켜내야만 하는 국립공원에서 대규모 케이블카 사업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사업에 11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중앙정부도, 지방정부도 실질적인 예산을 책정한 것은 없습니다. 양양군은 낙산도립공원 보호구역을 일부 해지하고 군유지를 민간에 매각하여 건설비를 충당하는 말도 안되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케이블카 사업으로 이익을 얻는 한 줌의 건설사와 정치인들은 이걸 짓기만 하면 지역의 미래가 보장된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아무도 이 허황된 주장을 책임지지 않을 것입니다. 공유 재산도, 우리의 미래도 소수의 이권을 위해 희생될 뿐입니다. 모두의 삶을 위해, 설악산 케이블카도 지리산 산악열차와 골프장, 양수댐 모두 막아냅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11/21 20:39 2023/11/21 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