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예멘은 집단학살을 막기 위해 책임감 ...
- 뎡야핑
- 04/04
-
- 팔레스타인 독립운동과 하마스에 대한 ...
- 뎡야핑
- 04/04
-
- 지치지 않고 오랫동안 인간다움을 지키...
- 뎡야핑
- 2024
-
- 10월 7일의 진실
- 뎡야핑
- 2023
-
- 슬램덩크 단행본 비교 : 오리지널판, ...
- 뎡야핑
- 2023
27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재 이스라엘 한국 대사관에서 낸 이스라엘 안전 여행 가이드를 읽다 말았다.<
http://isr.mofat.go.kr/kor/af/isr/information/travel/index.jsp 11번 글.
유사시 독자적인 응사권이 인정되는 군인들이 총기 및 실탄을 갖고 종종 거리를 왕래하기 때문에 강력범죄는 적은 편입니다.
대박이다. 대박이야... ㄱ-;;;; 이스라엘 가서 정말 너무 많은 군인들이 한가롭게 장총 들고 거리를 쏘다니는데 무서웠다. 버지니아 주가 생각나는구만. 미국의 버지니아주 대학교에서는 총을 들고 학교에 들어갈 수 있다. 몇 년 전 한국계 학생이 총기난사로 여러 학생을 살해한 일이 있는데, 그 뒤로 누구나 총을 들고 와서, 누군가 그때 그 살인범처럼 총을 꺼내들면 응사할 수 있다고. 예전에 미국인에게 들으면서 정말? 정말? 내가 잘못 이해한 건가 싶어서 몇 번을 물어봤었다.
아무렇지도 않게 장총 들고 다니는 거. 아무것도 아닌 검색대에서도 장총 들고 있고 암튼 이 나라에서 총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확실히 자살 행위다. 진짜 무서운 나라임;
그러나 빈집털이(호텔 객실 포함), 소매치기, 날치기, 들치기(남이 놓아 둔 물건을 슬쩍 훔쳐가는 행위) 등의 절도범죄는 종종 발생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여행객을 대상으로 한 지갑, 가방 소매치기 등은 다발하고 있으므로 관광시 소지품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자동차의 유리창을 깨고 자동차 속에있는 물품을 훔치는 행위나, 자동차를 이스라엘 치안이 미치지 않는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훔쳐가는 일도 발생하고 있으므로 관광시 자동차를 랜트한 경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절도범에게는 장총을 쓰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 안전하다...<
그리고 굵은 글씨 밑줄 친 부분은 묘하게 팔레스타인은 치안이 좋지 않은 듯 묘사하고 있다. 다녀온 사람으로써 걱정말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여기도 경찰/군인들 장총 들고 다닌다 -_-;;;; 그리고 왠만하면 계속해서 이스라엘 군인들이 장총들고 검문해 대니까 여기도 안전하다!
(팔레스타인 경찰이 장총 들고 다니는 문제에 대해 팔레스타인 친구랑 얘기했는데 경찰까지 장총을 들고 다닐 이유가 있느냐는 내 이야기에 쿨하게 인정했다. 팔레스타인이 정치적으로 낙후되었으니까 라며)
(실제로 이스라엘이건 팔레스타인이건 특별히 안전할 건 뭐고 위험할 건 모냐 싶다 물론 이스라엘 군대가 실제로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쏘기도 하므로 그 점은 위험하다 ㄱ-;;)
이스라엘은 금요일 오후부터 토요일 일몰까지 안식일 법에 의해 대중교통이 운행이 되지 않습니다. 이에 배낭여행을 하는 젊은이들이 '히치하이크'로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위험한 행위이므로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동감한다... 히치하이크 했다가 진짜 위험할 뻔 했다 -_- 절대 다시는 그러지 말아야지. 유용한 부분도 있군 ㅋㅋㅋ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팔레스타인 독립운동과 하마스에 대한 한국 사회 내 오해와 편견 | 2025/04/04 |
10월 7일의 진실 | 2023/12/13 |
HD현대와 “팔레스타인은 원래 그래” 무감각한 인종청소-마사페르 야타 | 2023/04/10 |
9/27,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FTA], 결국 국회 비준 | 2022/10/05 |
폭력을 쓰지 않는 압제자란 없다 - 하마스 지지자냐고요? 이게 뭔 개소리야.. | 2022/10/03 |
아직도 연대가 뭔지 운동이 뭔지 헛갈릴 때가 많다. 그래서 너무 모르겠어서 걍 정치라고 편하게 정리해 버렸는데 다시 궁금함.
당사자 문제로 싸우는 활동에 연대를 할 때
당사자들의 입장과 연대하는 활동가 입장이 갈릴 때가 있다.
그런데 당사자들이 엄청 많으면 당사자와 활동가 입장이 갈린다고 말하기는 어렵고
오히려(당연히) 당사자들도 엄청 다양한 입장으로 나뉘어 있고 활동가 그룹도 그렇고.
그리고 당사자들이 연대하는 사람들의 특정 액션에 대해 뭐 그게 나쁠 건 없는데
우리가 진짜 원하는 것, 우리에게 진짜 도움이 되는 건 그게 아니야. 라고 말할 때가 있다.
그건 마치 그런 액션에 쏟을 에너지를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데에 쏟아달라는....
어떨 때는 지나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너무나 절실한 요구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당사자들은 연대하는 사람들 액션이 마음에 안 든다고 다르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일은 거의 없고 그냥 어쨌든 감사하는 마음이 훨씬 크다.
연대하는 측 입장에서 당사자들의 주장이 다 옳을 수 없다.
어느 순간에는 당사자라서 이기적이 되는 순간도 있다. 당장의 사안이 아닌 데에서는 좀더 불합리하게 굴 수도 있다.
마음에 들지 않을 때도, 당사자의 상황을 생각하면 이해가 갈 때도 있다. 서로 생각의 토대가 다르니까. 혹은 좀더 멀리 나아가서 연대하는 측이 서구화된 교육을 더 많이 받아 서구식 사고방식에 젖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최대한 공약수를 찾고 나머지는 존중하거나 없는 듯이 굴기도 한다. 아니 이건 다른 얘긴가;
그러니까 나는 막상 연대하는 건데, 그쪽에선 고맙긴 한데 그렇게 쓸모 있는 일은 아니라는 진심을 비추고, 그렇다고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전체 의사를 대표하는 건지, 혹은 전체라면 그와 다른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건지..
아주아주 옛날에 인권영화제에서 어느 나라의 매우 소수인(몇 백 명 정도였던 듯 정말 소규모였다) 부족민들이 독립을 위해 싸우고, 그에 어떤 활동가들이 엄청 열심히 같이 싸우는 다큐를 본 적이 있다. 거기서 기억나는 건 하나밖에 없다. 당사자(지도자)가 이 싸움이 끝나고 들어설 국가의 체제는 우리의 문제라고. 남이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말하자면 그 나라에서는 여성이 차별받을 수도 있고 계급 모순이 있을 수도 있는데(너무 멀리 나간 내 생각;) 그게 어떤 형태든 그건 우리 문제라고.
그걸 보면서 나는 그게 맞는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고. 일단 외세에 맞서 싸우는데 다른 베이스를 가진 외국인 활동가가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게 이상하기도 하고. 그런데 억압받는 당사자는 아니더라도 자기 문제로 같이 싸우던 사람한테 어느 시점에 이제 니 역할을 끝났으니 사라져라 이러는 것도 이상하고.
혹은 내부 문제 외부 문제 나누어서 니네가 팔레스타인에 연대해 주는 건 고마운데 내부 문제에는 관여 말아라 이러기도 한다. 특히 여성, 소수자 차별이 내부 문제라고.
어쨌든 나는 나의 정치적 지향을 가지고 연대하는 거지 당사자들의 정치가 무조건 옳아서 연대하는 건 아니다. 어떤 것을 분명 판단불가능하기도 하지만(예를 들어 히잡을 쓰는 것이 여성차별이라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 없다만 또 그게 그 맥락이랑 아무 상관 없냐면 아아아아무 상관 없다고도 할 수 없다는. 절대적인 게 있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이건 <라피끄-팔레스타인과 나>라는 책을 읽어보시오<)
사실 외국인 활동가로써. 다행히(?) 서구인이 아니라서 그나마 덜 불편하지만. 그래도 입장이 애매한 것이 있다. 막상 대화할 때 막 내 의견만 옳다고 하는 것도 어렵고... 개입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한 판단도 다들 다르지 말이다.
그럼에도 나도 그런 책들을 읽고 영향을 받아서. 당사자들이 최대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목소리를 내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나도 절절히 동감한다. 일방적인 계몽이 아니라 어떤 사람이든지 아무리 갈고 닦이지 않았어도 각자의 정치적 입장이 있는 거니까 각자의 입장을 가지고 뭉쳤다가 싸웠다가 흩어졌다가 뭐 그러는 건데... 이렇게 추상적으로 말하면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고;;
요즘 내 타임라인은 전세계에서 가자로 향하는 구호선 이야기로 북적인다. 어느 때는 축제하는 기분으로(출발 전 탑승자들이 찍은 동영상들 보면 기분이 좋다), 어느 때는 음모에 휩싸이고(이스라엘 당국이 배우를 써서 영국 구호선이 게이 활동가를 거부했다고 페이크 영상을 유포했다! 썅놈들이), 진짜 심각한 방해를 받기도 하고(아일랜드 배 누가 고장냈다고, 그대로 항해했으면 침몰할 수도 있었다고) 정말 많은 이야기들 소식들이 오고 감.
작년 가자 구호선 공격 사건도 있었고(이스라엘과 터키는 그래서 여전히 사이가 굉장히 안 좋다 이스라엘은 유화 제스쳐는 취하는데 뭐 어쩌잔 건지 사과도 안 하면서 개 씨밸놈들아) 사실 이 정도 규모로... 많은 배들이 계속 시도했는데 거의 잘 안 된 걸로 알고 있다. 여담이지만 방글라데시에서도 갔다 작년에. 한국이나 일본은...
그런데 이번에 본 건 아니고.. 최근엔 정말로 뉴스를 잘 못 보고 있다 대충 어쩌다 제목만 대충.ㅜㅜ 암튼 구호선에 대해서 어느 팔레스타인 사람이 말하는 걸 들었는데 그런 구호선에 실은 구호 물자가 필요한 게 아니라고. 약간 구호선을 자선사업처럼 비판한 걸 들었었는데. 공감이 가기도 하고 안 가기도 하고; 뭐야 나의 이 시종일관 애매한 입장은;; 이스라엘에 굉장한 압박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배를 띄우는 데에 들 돈과 시간과 인력을 생각하면 그걸로 좀더 강력한 액션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그렇게 배를 띄우기 위해 자기 나라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게 바로 캠페인, 운동이 되는 거고, 좀더 급진적인 요구로 들어가면 대중적으로 관심이 급하락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인력과 돈을 다른 데에 쓸 수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암튼 뭐 그런 비판을 읽은지는 꽤 됐고........ 그 뒤로 다시 좀 고민이 되는 거다. 헛갈리고... 사실 예전에는 자족적인 활동을 의식적으로 했는데(내가 즐거운 만큼 지치지 않을 만큼만 활동한다) 거기에 질려서 태도를 바꾸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뭐가 더 좋아진지는 모르겠따(회의를 느끼는 거야??) 더 확고하고 단단하고 흔들리지 않는 게 아니라 뭐 이도 저도 아닌... 뭐 이래.......;; 암튼 내가 그냥 각자의 정치를 하는 거다라고 결론을 낸 것도 더 생각하기 귀찮아서 그런 면이 없지 않다 그게 전부는 아니지만. 암튼 나 그럼 정치가임<<<< ㅋㅋ 뭐래
팔레스타인 독립운동과 하마스에 대한 한국 사회 내 오해와 편견 | 2025/04/04 |
10월 7일의 진실 | 2023/12/13 |
HD현대와 “팔레스타인은 원래 그래” 무감각한 인종청소-마사페르 야타 | 2023/04/10 |
9/27,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FTA], 결국 국회 비준 | 2022/10/05 |
폭력을 쓰지 않는 압제자란 없다 - 하마스 지지자냐고요? 이게 뭔 개소리야.. | 2022/10/03 |
댓글 목록
관리 메뉴
본문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을 !!!!!!나는 춤이 그렇게 더러울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
히치하이킹 다신 안할테야..ㅠ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님에게 미안하구려...;; 더러운 춤은 그래도 너무 웃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난 어떤 춤이었는지 기억이 안 나고 그냥 노홍철 춤이 생각나네 더러운 춤;;;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히치하이킹은 어디에서나 위험합니다.저건 마치 B형은 제멋대로고 일탈을 꿈꾼다(...맞나-_-??)라는 거랑 비슷해! 누구나 다 제멋대로고 일탈을 꿈꾸...(나-_-??)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비형은 일탈을 꿈꾸고 님은 일탈을 하지 ㅋㅋ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