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에코토피아는 매년 환경파괴에 맞서는 투쟁과 연대하는 캠프를 꾸립니다.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한 2018년 이전의 캠프 소식과 2015~2024년의 자료집을 차례차례 정리해서 공유하려 합니다.

 

주행중 자전거 뒷모습 / 자전거 도로에 6대의 자전거가 주행중인 모습을 뒤에서 찍은 사진이다. 자전거 도로 양 옆으로는 풀밭과 농경지가 있고 더 멀리는 산이 보인다. 도로 왼편에는 울타리가 세워져 있다. 자전거를 탄 사람들은 가벼운 여름 옷차림이며 자전거마다 많은 짐이 실려있다. 하늘에는 구름이 조금 껴 있지만 햇살이 강렬하다.

 

회색 옷 가운데에 흑백 그림이 있는 사진이다. 그림 속 수달은 강변 모레사장에 서서 한쪽 앞발로 나뭇가지에 묶은 낡은 천 깃발을 들고 있다. 깃발에는 '흘러라 내성천'이라고 적혀있다.

 

강을 찍은 사진이다. 굽이쳐 흐르는 얕은 강 오른편으로는 넓은 모래사장이 있고 왼편으로는 나무와 풀이 우거진 산이 있다. 뒤로는 맑은 하늘이 보인다.

 

강 한쪽편에서 공사중인 댐을 찍은 사진이다. 강을 가로 막고 있는 대형댐이 거의 완성되어 있고 강 너머에는 흙이 드러난 가파른 사면과 뒤쪽 산이 보인다.

 

밤에 큰 텐트 두 동이 세워져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왼쪽 텐트에는 불이 켜져있고 안에 앉아있는 몇몇 사람들이 보인다. 큰 텐트들 뒤편으로는 작은 텐트가 세워져있다. 텐트 앞쪽에는 나무와 자전거가 보인다.

 

넓은 바위 위에 다섯 개의 바구니가 올라가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칡넝쿨로 만든 바구니는 제각각 다른 크기와 모양이며 두 바구니 안에는 작은 돌 몇 개가 들어가있다. 바위 옆에 두 사람 바구니를 향해 서 있고, 그 중 한 사람은 가운데 놓인 바구니를 손으로 만지고 있다.

 

맑고 얕은 강물에 누워있는 어린이를 찍은 사진이다. 강 바닥에는 고운 모레가 있고 그림자가 반쯤 드리워져있다. 어린이는 편안한 자세로 강물에 누워 얼굴 위쪽이 수면에 드러나있고 눈을 감고 있다.

 

2015년의 연대 캠프는 8월 말에 내성천 강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실크스크린 판화로 제작한 티셔츠를 판매하여 진행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했습니다. 캠프를 자세히 소개하고 어떻게 참가할지 고민되는 부분을 함께 의논하는 준비 모임도 가졌습니다. 캠프를 앞두고 나흘동안 바이크투어가 진행되어 자전거로 캠프 장소까지 함께 이동했습니다.


3일 동안의 캠프에서 칡넝쿨 바구니 만들기, 자전거 자가 정비 등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는 워크숍이 진행되었습니다. 4대강 사업과 영주댐 건설, 자연하천 개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료집도 함께 읽었습니다.낙동강 유역 4대강 사업 현장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내성천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이어가는 지율 스님이 캠프 참가자들을 맞이하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수몰 예정 지역을 함께 돌아보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준공이 멀지 않은 영주댐 공사는 거의 막바지에 다다라 있었지만, 넓은 내성천에 맑은 강물은 아직 흐르고 있었고 고운 모래도 여전했습니다. 강이 흐르는 한 강을 지키기 위한 움직임도 멈추지 않습니다. 참가자들은 캠프 이후에 이어갈 활동과 계획을 함께 고민했습니다. 

 

* 2015년 캠프 자료집 '모래강 내성천과 강의 이야기' pdf로 읽기
* 자료집의 내용은 캠프 당시의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5/04/30 21:18 2025/04/30 21:18

영화 상영 포스터. 제비들이 날아다니는 그림을 배경으로 'Swallows, flying over the Naeseong river. 내성천 하늘을 날아 오르다. 지율스님 감독. Directed by Buddhist nun Jiyul. 공동체 상영. 7월 9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들다방'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공동체 상영
 

🎬 상영 정보
- 감독 : 지율 | 제작 연도 : 2024년 | 시간 : 40분
- 소개글 : 4대강 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되며 모래강 내성천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파괴되고 있다. 공사에 맞서며 15년에 걸쳐 낙동강과 내성천의 변화를 기록해온 지율 스님은 해마다 내성천 유역으로 돌아오는 제비들의 집단 도래지를 발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확인된 수만마리 규모 제비 서식지의 앞날은 불안하기만 하다. 영화는 제비와 강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일시 : 2024년 7월 9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 장소 : 들다방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25, 4층)
🍿 무료 상영
🕓각종 안내 15분, 영화 상영 40분, 함께 이야기 20분
📢 영화에는 한글+영문 자막이 있습니다. 이야기 자리에는 문자통역이 제공됩니다.
📞문의 010-8028-0408 (들다방 사무국)
 

모래강 내성천의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기 위해 공동체 상영을 진행합니다. 영화 상영이 끝나고 간단한 이야기 자리를 갖습니다. 이번 공동체 상영은 동아시아 에코토피아와 들다방이 협력하여 준비합니다. 
 

공동체 상영 참가 인원을 파악하기 위해 구글폼을 통해 사전 신청을 받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bit.ly/들다방영화


💬마로니에 공원 뒤편에 위치한 들다방은 급식소이자 카페입니다. 조금 일찍 오셔서 저녁 식사, 차도 함께해요. 17시부터 18시 50분까지 식당이 운영되며, 1식에 6,500원이고 비건 선택지도 있어요.


*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주최하는 2024년 예술로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주최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 주관 : 들다방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7/02 21:18 2024/07/02 21:18

제비 여러마리가 날아다니는 그림을 배경으로 다음 문구가 적혀있다. '명동재개발2지구 변두리 상영회.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지율, 다큐멘터리, 2024년, 40분. 영화가 끝나면 잠시 이야기를 나눕니다. 7월 3일 수요일 저녁 7시 반. 명동재개발2지구 천막농성장, 중구 저동1가 102.'

 

제비 여러마리가 날아다니는 그림을 배경으로 다음 문구가 적혀있다. '명동재개발2지구 변두리 상영회. 4대강 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되며 모래강 내성천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파괴되고 있다. 공사에 맞서며 15년에 걸쳐 낙동강과 내성천의 변화를 기록해온 지율 스님은 해마다 내성천 유역으로 돌아오는 제비들의 집단 도래지를 발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확인된 수만마리 규모 제비 서식지의 앞날은 불안하기만 하다. 영화는 제비와 강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공동체 상영

- 지율 / 2024년 / 다큐멘터리 / 40분
- 4대강 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되며 모래강 내성천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파괴되고 있다. 공사에 맞서며 15년에 걸쳐 낙동강과 내성천의 변화를 기록해온 지율 스님은 해마다 내성천 유역으로 돌아오는 제비들의 집단 도래지를 발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확인된 수만마리 규모 제비 서식지의 앞날은 불안하기만 하다. 영화는 제비와 강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일시 : 7월 3일 수요일, 저녁 7시 30분
📍장소 : 명동재개발2지구 (서울시 중구 저동1가 102)
🍿무료 상영
 

명동재개발2지구 농성장에서 진행되는 변두리 상영회에서 모래강 내성천의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기 위해 공동체 상영을 진행합니다.  영화 상영이 끝나고 간단한 이야기 자리를 갖습니다.

 

* 농성장 입구에는 휠체어 이용자가 드나들 수 있는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7/02 14:00 2024/07/02 14:00

📢 참가 신청율이 저조하여 오늘 저녁 보틀라운지에서의 상영 일정은 취소되었습니다. 

 

제비 여러마리가 비행하는 이미지 위에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지율스님 감독 directed by buddhist nun Jiyul"이라고 적혀 있다. 이미지 아래에 'www.naeseong.org. "내성천 하늘을 날아 오르다" 공동체상영. 7월 2일(화) 19시30분. 보틀라운지 지하"이라고 적혀 있다.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공동체 상영

- 지율 / 2024년 / 다큐멘터리 / 40분
- 4대강 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되며 모래강 내성천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파괴되고 있다. 공사에 맞서며 15년에 걸쳐 낙동강과 내성천의 변화를 기록해온 지율 스님은 해마다 내성천 유역으로 돌아오는 제비들의 집단 도래지를 발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확인된 수만마리 규모 제비 서식지의 앞날은 불안하기만 하다. 영화는 제비와 강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일시 : 7월 2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장소 : 보틀라운지 지하 1층 (서울시 서대문구 홍연길 26)
🍿무료 상영
 

모래강 내성천의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기 위해 공동체 상영을 진행합니다.  영화 상영이 끝나고 간단한 이야기 자리를 갖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6/25 20:32 2024/06/25 20:32

제비 여러마리가 비행하는 이미지 위에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지율스님 감독 directed by buddhist nun Jiyul"이라고 적혀 있다. 이미지 아래에 'www.naeseong.org. "내성천 하늘을 날아 오르다" 공동체상영. 6월30일(일) 3시30분. 수리상점 곰손(서울시 마포구 망원로 6식 세원빌딩 지하 1층)"이라고 적혀 있다.

 

제비 세 마리가 풀 위에 앉아 자고 있는 그림 주변으로 '우리의 집 우리의 서식지'라는 문구가 한국어, 영어, 일본어로 적혀있다. 이미지 위쪽으로 '이 그림을 실크스크린으로 찍을 예정입니다'라고 적혀있다.

 

「내성천 하늘을 날아오르다」 공동체 상영

- 지율 / 2024년 / 다큐멘터리 / 40분
- 4대강 사업으로 영주댐이 건설되며 모래강 내성천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파괴되고 있다. 공사에 맞서며 15년에 걸쳐 낙동강과 내성천의 변화를 기록해온 지율 스님은 해마다 내성천 유역으로 돌아오는 제비들의 집단 도래지를 발견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확인된 수만마리 규모 제비 서식지의 앞날은 불안하기만 하다. 영화는 제비와 강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일시 : 6월 30일 일요일, 오후 3시 30분
📍 장소 : 수리상점 곰손 (서울시 마포구 망원로8길6, 지하1층)
🍿 무료 상영
🖐️ 실크스크린 찍어갈 수 있는 천가방이나 티셔츠를 가져오세요

모래강 내성천의 회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기 위해 공동체 상영을 진행합니다. 영화 상영이 끝나고 실크스크린을 같이 찍으며 이야기를 나눕니다. 티셔츠나 천가방을 가져와서 찍어가실 수도 있고, 천 포스터 형태로 찍어가실 수도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6/24 18:36 2024/06/24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