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3) - 웹 서버 살짝 이해하기

매뉴얼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 세번째. 우리의 홈페이지와 웹 프로그램을 돌려주는 웹 서버를 살짜기 이해하고 갑시다.
이 부분이 젤 재미 없을 지 모르니 하고 싶은 얘기는 산과 같으나 지금 단계에서 필요한 것만 얘기를 하겠삼.

1. DocumentRoot 란?
직접 서버를 설치, 운영하는 것이 아니면 대개 호스팅 서비스 제공하는 곳에 자기 계정 하나를 만들어 쓰게 됩니다. 그 호스팅 서비스 제공하는 곳을 http://sample.or.kr 로 하고 계정을 h2dj라고 하죠.
 그 서버에 FTP 로 접속하면 뭔가 떴죠? 아마 /home/h2dj/ 쯤 됐을 겁니다.
그 아래에 다른 디렉토리를 만들 수도 있고, 파일을 만들 수도 있고, 하여간 제한된 용량 안에서 이것 저것 둘 수가 있는데요, 그중에 "홈페이지" 파일들을 이곳에 두기로 약속을 한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없으면 만드삼. 못 만들면 관리자에게 만들어달라하삼)
 그게 보통 public_html 이거나 http 입니다. 이 전편에서 요 두개 디렉토리 언급한거 기억하시죠?
 곧, FTP 로 접속했을때 /home/h2dj/public_html , 혹은 /home/h2dj/http 라는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만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런 거죠. 그냥 /home/h2dj/ 아래 README.please  라는 파일을 올리면 정상적인 방법으론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

2. 내 프로그램이 위치할 곳은?
 이 전 단계에서 FTP로 접속한 후, /home/h2dj/public_html 로 원격 디렉토리를 바꾸고, 내 PC에 압축 풀어놓은 디렉토리를 끌어 놓아 업로드를 했죠? 압축 풀고 이름을 "wiki"로 바꿨다고 하면, 업로드가 다 끝난 후 /home/h2dj/public_html/wiki 가 생겼을 겁니다.
자, 그럼 그곳은 어떻게 웹 브라우저로 접근할까요? 위에서 /home/h2dj/public_html ㅗ부분을 도메인 주소 http://sample.or.kr 로 바꿔줍니다. DocumentRoot 부분을 도메인 주소로 바꿔준다는 겁니다. 결국 http://sample.or.kr/wiki 가 이제 업로드된 웹 프로그램의 경로가 되는 거죠.

3. 인덱스 파일?
 웹은 처음에 연구 결과 공유를 목적으로 했습니다. 그래서 모든 문서는 말 그대로의 "문서"였죠. 그래서 웹 서버는 홈페이지 접근 요청을 받으면 그 주소(/home/h2dj/public_html)로 가서 항상 "인덱스 파일"이란걸 찾습니다. 이 파일의 실제 이름은 (관리자가 설정하기 따라서 다양할 수 있는데)  index.html, index.htm, index.php, main.php 등이 보통입니다. 그래서 홈페이지 서버에 계정을 얻고 나서 관리자가 정한 이름의 인덱스 파일을 올리지(만들지) 않는다면,

이런 메시지를 보게 될 겁니다. 결국 http://sample.or.kr 을 주소창에 쳤을때 웹 서버는 "http://sample.or.kr/index.php" 에 해당하는 파일을 가져다가 당신에게 얹어준다는 뜻입니다. (index.html 일수도 있고, 위에서 말한대로) 자, 인덱스 파일이 없으면 그 곳은 웹브라우저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4. 누구냐? 넌
 아마 거의 안쓰겠지만 요즘은 윈도우도 "여러 사용자" 시스템이죠. 계정을 여러개 만들어 각자 나눠진 만큼 쓰는거. 윈도우는 있으나 마나지만 서버의 경우는 대개 이게 엄격히 구분됩니다. 각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만 사용할 수 있고, 그걸 넘어서 서버 전체에 접근하고 고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엄청 할 얘기 많지만 이것만 기억하세요. 나중에 또 나옵니다. 서버에 있는 모든 것은 각자 "주체"가 있다는 거, 모든 파일/디렉토리는 소유자, 소유 그룹이 있고, 프로그램도 각자 어떤 이름을 갖고 권한과 책임아래서 주체로서 동작한다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17 12:43 2006/08/17 12:43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51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2) - FTP 사용하기

매뉴얼
1. FTP?
  FTP는 하나의 통신 방식인데, 파일 전송을 위해 만든것입니다. 그래서 효율이 좋습니다. 웹 프로그램은 자신의 PC가 아니라 웹 서버에 있어야 되는데 웹 서버는 대개 (아주)멀리 떨어져 있죠. 그러니 그곳으로 파일들을 보내기 위해 FTP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웹이 사용하는 통신방식은 HTTP라고 합니다. 둘이 다르다는 거~)

2. 어떻게?
 당근 FTP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많이 쓰시는 알집, 알씨를 만든 알툴즈에서 내놓은 "알FTP"라는 프로그램이 있고, 이거 쓰셔도 좋습니다. 근데 불여우에서 알툴즈 홈페이지 가니 다운로드가 안되는군요. 웹표준을 지키지 않다니! 그래서 다른 거 추천합니다. FileZilla 라고 하는 프로그램이죠. 이 전 단계에서 FileZilla 찾는 거 살짝 예시했죠? http://filezilla.sf.net 으로 가셔서 다운받고, 설치를 해 주세요.

3. 프로그램 설치
이 부분은 하기 싫어 넘어갑니다. FileZilla 의 경우 알FTP보다 몇개 더 물어보는게 있는데 그냥 다 기본값으로 두고 진행하면 됩니다.

4. 프로그램 사용
 

이케 됩니다. 좀 지저분&복잡해보이죠. 서버의 말과 진행과정은 안 보게 할 수 있습니다. 적당히 간격 조절해서 이쁘게 해서 보시고, 자 딱 세 개만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될 거 다 됩니다.
FTP 주소 : 홈페이지 주소 (http://~~)
사용자ID : 웹 서버 계정입니다. 게시판 아이디, 홈페이지 로그인 아이디 그런 거 아닙니다. 직접 호스팅 신청을 했으면 그때 정한 거고, 다른 사람이 한 거면 알려달라고 하세요
비밀번호 : 위 ID에 맞는 비밀번호

나머진 그냥 두고 "엔터"치거나 "접속" 이런 비스무리한 버튼을 눌러주면 접속이 됩니다. 그럼 비어있던 "원격"부분에 파일 목록이 뜨게 됩니다.

5. 파일 전송
왼쪽 "내컴" 부분에서 전에 다운 받아 압축까지 풀어놓은 웹 서버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그걸 클릭한채로 끌어서 오른쪽 "원격"부분에 와서 놓아주세요. 그럼 알아서 디렉토리와 파일들을 주루룩 업로드하기 시작합니다.

(여기서 잠깐 앞으로 갔다 왔으면 좋겠는데, 서버에 접속한 후 기본 디렉토리말고 public_html 이나 http 등의 디렉토리가 있으면 그곳으로 이동한 후 ("원격"에서) 파일을 올려주세요. Document Root 라고 하는 위치인데, 이건 관리자나 처음 호스팅 신청한 사람에게 물어보면 됩니다. 여기다가 안 올리면 나중에 관리자를 수고롭게 하거나 SSH 라는 방식으로 연결해서 직접 옮겨야 합니다. 그러니 천천히 정확히 ^^)
그림이 좀 지저분해 보이겠네요. 걍 보삼 -_-

6. success?
전송 중 에러가 안 났으면 이제 웹 프로그램이 웹 서버에 위치한 겁니다. 이제 웹 프로그램 설치로 들어갈 건데요, 그전에 필요한 개념 몇가지 알고 갑시다.

- 계속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17 12:03 2006/08/17 12:03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50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1) - 프로그램 구하기

매뉴얼
1. 있는 곳 알아내기
웹 프로그램을 알게 되는 경우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컴 자체를 즐겨 이곳 저곳 돌아다니고 괜찮다 싶으면 한번 설치해보고 이런 분이 아니라면(글고 이런 분은 대개 이런 매녈이 필요없을지도 ㅋ) 대개 어떤 글이나 말로 소개를 받은 경우겠죠? 글인 경우는 대개 그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는 곳을 알려줄거고, 웹의 글이면 아마 클릭해서 갈 수 있는 링크까지 주어질겁니다. 하지만 나중에 해보려고 했다가 소개글이 어딨었는지 잊어먹거나 말로만 들어 잘 모를 수가 있겠죠. 그래도 포기하지 마세요. 검색창에 이름이나 떠오르는 걸 치면 대개 금방 찾아집니다.


2. 있는 곳을 찾았으면 그곳으로 갑니다.

3. 어떻게 다운받지?
  대개 영어로 된 사이트가 처음에 맞이할 것이기에, 금방 다운받는 링크를 찾지 못할 수 있습니다. 보통 프로젝트 설명하고, 최신 뉴스, 도와 달라 뭐 이런 말이 전면에 뜨니 더 그렇습니다. 이럴때 몇가지 찾아볼 수 있는 방법은 "Download", "release", "package" 등의 단어를 찾거나, 끝이 tgz, tar.gz, exe, zip 등인 링크가 있는지 찾아보는 것입니다.

4. 찾았다! 어?
 한 프로그램에 여러 버전이 있고, OS마다 다른 파일을 제공하기 때문에 Download 같은 링크를 클릭해도 곧바로 다운이 되지 않고 다른 페이지가 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당황하지 말고 3번의 과정을 반복하세요. 그럼 결국엔 길이 열립니다. 마지막으로 생소한 것이 가로막을 수 있는데 "미러" 사이트라는 것입니다. 미러사이트는 다운로드 받는 사람이 많아 서버가 감당 못하고 뻗을 까봐 몇 군데 더 다운 받을 수 있는 곳을 만든 것입니다. 분산시키는 거죠. 알아서 안하고 굳이 선택하라고 하면 하나 선택해줍니다.

머, 이런거.

5. 준비 완료!
 위의 예는 FileZilla 라는 FTP 프로그램인데 웹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웹 프로그램은 대개 압축된 형태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일단 서버에 올린 후 압축을 풀 수도 있지만 그것을 위해선 또 알아야 하는 것이 있으니 더 쉬운 방법으로 하죠.
다운 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어주고 디렉토리(폴더) 이름을 적당히 바꿔줍니다. 가능하면 짧고 확실히 구분되도록. 그리고 그 안에 있는 README, INSTALL 등의 안내서들을 미리 읽어두면 좋습니다.

- 계속 : FTP 사용하기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17 11:40 2006/08/17 11:40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49
아수라장 2007/03/02 16:08 URL EDIT REPLY
소중히 담아가겠습니다. 문제시 요청하시면 자작하겠습니다. 그럼 수고하시고 즐거운 하루 되세요~
지각생 2007/03/02 16:41 URL EDIT REPLY
자삭이 아니라 자작이라.. 괜찮군요 :) 석잔이면 되겠습니다.

ㅎㅎ 퍼가신김에 내용 보완하시면 좋을텐데요
이우형 2013/08/11 07:38 URL EDIT REPLY
성범죄알림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