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플 설치 실습: 미디어위키(3, 마지막)

매뉴얼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를 익혀봅시다] 에 관련된 글.

자, 마지막 단계입니다. 모든 환경은 갖추어졌고, 이제 본격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 설치과정을 밟게 됩니다. 설치 페이지에서 꽤 많은 정보를 물어보는데요, 그걸 모두 입력할 필요는 없고, 아래 항목들만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Wiki name : 위키 이름(예: test wiki)
Contact e-mail : 관리자 이메일
Language : "ko-한국어" 를 선택하세요.
Copyright/license : 컨텐츠의 저작권.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2 (Wikipedia-compatible)"을 추천합니다. (세번째 CCL 도 좋습니다)
Admin username : 위키 관리자 아이디(FTP, DB 관리자와는 다릅니다)
Password / Password : 위키 관리자 암호

주룩 넘어가서 "Database config" 부분으로 와서 DB정보를 입력해줍니다. 이부분에서는 "기본기 5편 : DB & 나머지"를 참고하세요
SQL server host : DB 서버 주소, 웹서버와 같은 곳에 있는 대부분의 경우에 "localhost"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Database name : DB 내부에 사용자에게 할당된 공간의 이름. 예제의 경우는 "H2DJ"
DB username : DB 접속을 위한 사용자 아이디.
DB password : DB 사용자 암호
DB password confirm : 암호 한번 더 입력
위의 네 가지 정보는 서버 관리자가 지정해서 알려주는 정보입니다. 모르겠으면 서버(호스팅)관리자에게 물어보면 됩니다.
Database table prefix : 내 DB 공간내에 "테이블"이라는 데이터 저장단위가 있는데, 전에 프로그램을 설치한 적이 있거나 하면 같은 이름의 테이블이 이미 있을 수 있습니다. 그 경우 이 설치 과정을 통해 기존의 데이터를 덮어쓰거나, 설치에 실패할 수 있으니 서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머리말을 정해줍니다. 예로 testmw_ 면 좋겠습니다.

위의 정보를 모두 입력했으면 페이지 맨 아래부분에 있는 "Install mediawiki" 버튼을 클릭합니다. 잘못 입력된 정보가 있으면 다시 이 페이지로 돌아오고, 잘못된 항목 옆에 빨강 글씨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상 없이 입력이 됐다면 내부적으로 설치에 필요한 과정을 수행하면서 설정 파일을 만듭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자, 이제 설치 과정은 딱 하나의 행위만을 남겨 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온 것을 스스로 대견해 하면서 위 그림의 메시지를 보면, 만들어진 설정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옮기라는군요.  그 다음 저 링크를  클릭하랍니다.  FTP 프로그램을  닫으셨다면 다시 열고 서버에 연결하세요(닫지 말라는 말을 할걸 -_-)

그림처럼 LocalSettings.php 라는 파일을 상위 디렉토리로 끌어 놓아 옮겨줍니다.

자, 이제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this link" 를 클릭하세요! 두근두근...



축하!! 드디어 미디어위키 설치를 마쳤습니다. 이제 당신은 어떤 웹 프로그램도 설치하실 수 있을 겁니다. 저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 지금까지의 과정을 차근차근 밟으면 되거던요. 이제 웹에 당신의 집을 짓고, 밭을 갈고, 씨를 뿌려 당신의 세상을 만들어가시면 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p.s. 지금까지의 과정을 플래시 동영상으로 만들어 곧 올리겠습니다. 보고 꼭 직접 한번 해보세요~ (테스트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면 제공해 드릴 용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20 21:48 2006/08/20 21:48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61
Tracked from | 2008/09/23 16:22 | DEL
사내에 설치 할려고 고민중인데..윈도우 서버에 APM을 설치 하여서.. 성공할수 있기를...
시민방송 2006/09/15 16:49 URL EDIT REPLY
안녕하세요...
위키 설치에서 인스톨 후에 index.php 클릭하면 "페이지를 찾을수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군요...설치는 잘 된 것 같은데 말입니다. Phpadmin에서 DB도 생성된 걸 확인했거든요... 원인이 뭘까요?
지각생 2006/09/15 21:58 URL EDIT REPLY
힝.. 말만 들어선 잘 모르겠네요. 주소가 어떻게 되나요?
PolarisS3941H 2006/12/17 14:14 URL EDIT REPLY
안녕하세요? ^^
좋은 설치 가이드 잘 읽고 설치 성공했습니다.
모니위키를 쓰려다가 미디어 위키에 끌려서 설치하려다보니
어려워서 헤매고 있었는데 덕분에 쉽게 설치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
지각생 2006/12/18 13:06 URL EDIT REPLY
PolarisS3941H// 위키 설치에 성공하셨다니 기쁘군요. ^^ 조금씩 위키를 쓰는 분이 많아지는 것 같아 기분 좋네요. 보람있고.
즐거운 위킹하시길 :)
햄톨이 2007/01/07 16:31 URL EDIT REPLY
지각생~새해 잘 맞으셨나요? 혜미입니다. (아, 제 이름을 아셨던가??) 덕분에 위키 설치를 용기있게 시도했는데, 막판에 실패했어요. 워낙 잘 모르는게 많은지라...--;; 움. 좌절했어요, 흑.. 뭐가 문제일까요? " failed with error code "Specified key was too long; max key length is 1000 bytes (222.239.76.171)". 이런 메시지가 떠요..--;;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웹플 설치 실습: 미디어위키(2)

매뉴얼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를 익혀봅시다] 에 관련된 글.

담배 한대 피우시며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뭐, 껌이네. 이런 생각하셨다면 보람이.. ^^

자, 설명을 아주 자세하게 할 건데요, 왜냐면 이런건 실제로 성공해보는 경험이 대단히 중요하거든요. 몇번 하다 안되면 사실 왠만해서는 걍 포기하고 쌓여있는, 익숙한 일 하게되겠죠. 그래서 그러니 "얘 진짜 할일 없나부다" 하지 마시고 찬찬히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

2. 설치 준비

설치를 위해서는 올린 곳의 경로를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넣고 가보면 됩니다. 지금은  "test_wiki" 로 올렸고, 사이트 주소는 h2dj.key.or.kr (FTP 연결할때 입력한 주소) 이니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h2dj.key.or.kr/test_wiki 라고 쳐보세요. 위 화면처럼 뜰 겁니다. 아직 설치과정을 마치지 않아서인데요,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설치를 시작합니다. (왜 주소가 저렇게 되는지는 "기본기 설명 3편 : 웹 서버 살짝 이해하기"를 봐주삼)





위처럼 뜰겁니다. 설치를 하면서 설치 정보 파일을 만들어야 되는데 기본적으로 파일 주인 외에는 쓰기 권한이 없어서 파일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기본기 4편 : 권한 설정"부분을 참고하세요. 아래처럼 해줍니다. (FTP 프로그램을 종료하셨다면 다시 실행해서 서버에 연결해주세요)

원격에 test_wiki 디렉토리로 이동하면 아래에 여러 파일과 디렉토리들이 있는데요, 그중 "config"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모든 사람"에게 주어져야 합니다. (웹 서버 프로그램을 위해) 그 디렉토리 이름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파일속성"을 클릭합니다.


위처럼 비어 있는 두 체크박스에 모두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제 웹 브라우저로 돌아가 F5 키를 살짝 눌러주시면(reload) 다시 설치과정을 진행합니다. 마지막 3편에서 마무리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20 21:19 2006/08/20 21:19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60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웹플 설치 실습: 미디어위키(1)

매뉴얼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를 익혀봅시다] 에 관련된 글.

백문이 불여일행, 직접 설치를 해보면서 웹 프로그램 설치 기본기를 확실하게 익혀봅시다. 실습 대상 프로그램은 제가 계속 밀고 있는(얼마나 떴는지는 몰지만-_-) "미디어위키"입니다. 한번쯤 이름은 들어봤을 "위키피디아 백과사전"에 쓰인 바로 그 위키 프로그램입니다. 이것 말고도 여러 위키가 있지만 기능이 다양하고, 앞으로 많은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연결될 조짐이 보여 추천합니다.

자, 기억을 되살려가며 그 과정 그대로 따라가 보겠습니다.
1. 프로그램 구하기
이 프로그램의 이름은 mediawiki 입니다. 검색창에 쳐보면 바로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홈페이지가 http://www.mediawiki.org 로군요. 그곳으로 이동합니다.


다운받는 요령 설명한거 기억하시죠? "Download", "release", "package"등의 단어를 찾아본다는거~ 위의 화면에서 "Current Version"을 클릭하면 하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7 대 버전과 1.6, 1.5 대 버전을 구할 수 있는데, 제가 해보니 1.7은 웹서버의 환경 요구사항이 높아서 설치가 안되더군요. (PHP5 가 필요합니다) 1.6을 추천합니다. 역시 기본기 편에서 말씀드린대로 tgz, tar.gz 등으로 끝나는 링크를 찾아 클릭하세요.



미러사이트를 선택하거나 가만히 몇초 있으면 위 화면처럼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다운 받은 것의 압축을 풀고 이름을 짧고 알기 쉽게 바꿔주세요.


자, 기억이 소록소록 나셔야 합니다(기억 안나면 저번 글 한번 살짝 읽고 오세요 ^^) 다음 단계는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웹 서버에 프로그램을 업로드할 차례입니다. 저번에 추천해드렸던 FileZilla를 실행하고, 서버에 연결하여, 압축 풀어놓은 파일들을 서버에 옮깁니다. 원격 디렉토리를 DocumentRoot 에 해당하는 public_html 디렉토리로 바꾸어줍니다.(왜 그래야 하는지 기억 나시죠?)



자, 무사히 따라하셨으면 업로드가 시작됩니다. 시간이 약간(몇분?) 걸리니 그동안 커피를 한잔 드시거나 담배나 한대 태우시죠 ^^
(중간에 같은 이름의 파일 있다고 하면 덮어쓰기하셔도 됩니다. 정확히 뭐때메 그런지 모르지만 하여간 설치하고 쓰는덴 지장없더군요)
그럼 이제 절반의 과정을 마쳤습니다. 나머지는 다음 편에서 이어집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20 20:57 2006/08/20 20:57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159
Tracked from | 2006/08/25 17:03 | DEL
예전에 사용하던 미디어 위키1.7.1 버전을 설치하려다 하루 종일 시간만 낭비했다. 카페24에서는 PHP버전이 낮아서 설치가 안되고, 미리내 무료호스팅을 신청해서 설치를 했다. 결론은 실패다. 누
Tracked from | 2007/01/12 17:57 | DEL
미디어위키(위키피디아)를 그냥 내 피씨에다가 설치한 모습이다. 음하하하~ 인터위키도 잘 된다. 200개 전세계 백과사전에 바로 연동된다. 아래는 인터위키가 되는 모습. 왼쪽에 여러나라 언어
Tracked from | 2008/04/03 03:23 | DEL
지각생님의 [웹플 설치 실습: 미디어위키(1)] 에 관련된 글. 점점 위키가 많이 쓰이고 있다.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협업 문서 작성을 위해 위키를 적극적으로 쓴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 요즘에는 사회운동하는 사람들의 위키 활용이 부쩍 눈에 띄인다. 진보넷의 정보운동 자료위키, 미디어문화행동 위키(이건 검색에 꽤나 많이 노출되는 듯), 정보공유연대도 내부적으로 위키를 쓰기 시작했고, 지금 아주 중요한 이슈인 "생체전자여권" 대응팀도 위
Namsoo 2006/08/25 17:06 URL EDIT REPLY
강좌 감사합니다.
딱 필요한 정보네요. 제가 계정(카페24.미리내..)에 미디어 위키를 설치 시도하려다가 번번히 실패합니다. 좀 진단(?) 좀 내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신버전은 안되고(계정이 지원하지 않습니다.) 1.6.8이나 1.6.3 버전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예전에 카페24에 1.6.3 설치했거든요.. 그리고 utf-8 전용 서버로 이전하면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트랙백 보냈습니다.
지각생 2006/08/27 12:09 URL EDIT REPLY
제 글이 참고가 되신다니 보람 만빵입니다. ^^ 진단은 나왔으나 해결책이 확실치 않으니..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