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 곳을 되찾자, 스쿼팅!
살아 꿈틀거리는 아나키 2006/03/02 22:40이글은 제가 2000년 12월에 쓴 글이에요. 원래 컬티즌에 실린 글입니다.
우리가 살 곳을 되찾자, squatting !

노숙자들은 주로 역이나 터미널 또는 지하도 등 바람을 막을 수 있고, 비교적 따뜻한 곳에 삼삼오오 무리를 이루고 사는 경우가 많다. 정부 측 입장에서 보자면 이들은 여간 골치 아픈 존재들이 아니다. 영양 및 위생 상태가 엉망인 이들에게서 각종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한 모든 구성원이 최저 수준 이상으로 살아가는 복지국가를 건설한다는 것이 각국 정부가 선전해 마지않는 통치 목표라고 할 때 이들 부랑자들의 존재 자체는 치정자들에게 눈엣가시 같은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소위 공무를 담당한다는 사람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들 노숙자들을 정신병원에 감금시키거나 사회와 격리된 특수 교육 시설에 수용하여 강제 노역을 시키곤 했다. 한국 정부도 이와는 크게 다르지 않아 일찌기 이들 부랑자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삼청교육대로 보낸 적이 있다. 물론 최근 들어서 한국 정부는 군대에 버금가는 각종 규율을 지켜야 하는 구호시설 등을 만들어 노숙자들이 얼어죽지 않도록 배려한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은 노숙자들은 '통제를 받기 싫다'는 지극히 실존적인 이유를 들어 그곳에 수용되는 것을 거부한 채 길바닥 생활을 계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층민의 생활은 어디나 비슷하지만 이들 서양의 도시거주 최하층민과 한국의 최하층민이 다른 한가지 점은 스퀏팅(squatting)에 있다. 스퀏팅이란 빈 건물을 무단으로 점거하여 사용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말로서 서양의 대도시에서는 거의 매일 각종 스퀏팅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각종 뉴스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스퀏팅이 이뤄지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물론 빈 건물 또는 버려진 건물이다. 이 빈 건물은 어떤 것들인가. 불이 난 뒤 사용이 힘들어진 건물, 지어진 지 너무 오래되어 곧 무너질 것 같은 건물, 건축이 중단된 건물, 재건축을 위해 헐리기 전까지 잠시 비워진 건물, 무자비한 건축으로 임대자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건물 등이 주로 스퀏팅의 대상이 되는 건물들이다. 또한 폭력과 마약 등으로 얼룩져 주위 환경이 나쁜 동네에 있는 건물도 어느날 갑자기 스쿼터들의 차지가 되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에는 귀신이 나온다는 건물이 토종 스쿼터들의 좋은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정글 피버]에 보면 어느 버려진 건물에서 떼지어 마약을 흡입하는 마약 중독 정키들의 충격적인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뉴 잭 시티]에서는 아예 마약 제조 공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듯 버려진 건물 또는 빈 건물을 불법으로 차지하고서 가까스로 부랑자의 신세를 면한 빈민, 하층민들은 사회로부터 범죄자 취급을 받으며 따가운 눈총을 받기 일쑤다. 그리고 소위 소유권 보호라는 미명 하에 경찰을 앞세운 공권력은 이들 무단 점유자들을 다시 무자비하게 거리로 내몬다. 하지만 서양의 거의 모든 대도시에서 스쿼터들은 경찰의 제지를 받으면서도 줄기차게 점거 투쟁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빈 공간에 들어가 자리를 차지하고 사는 가난한 스쿼터들에게만 모든 잘못을 전가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영국 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1998년 4월 영국 전역에서는 80만 4천 개의 버려진 건물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만 명이 채 되지 않는 홈리스들이 이들 빈 집에 들어가 지친 몸을 뉘게 하는 것을 막는 것은 법적으로는 정당화될 수 있을지 몰라도 인도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을 듯하다.

진정으로 필요하며 사용을 하는 자가 그것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사상은 서양을 비롯해 '耕者有田 工者有機' 등에서 나타나듯 동양에서도 오래 전부터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이해되어왔다. 스쿼팅은 바로 절박하게 건물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그 건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치열하고도 너무나 인간적인 열망에서 비롯된 행위인 것이다. 즉 불필요하게 지어진 건물은 건축업자들의 배를 불리기 위해 그냥 방치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집이 없는 사람들이 들어가 살 수 있도록 용도가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돈이 없어 쫓겨난 사람들이 갈 곳이라는 결국 빈 건물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아나키스트들을 비롯한 많은 인권운동가들은 스쿼팅을 지지하는 여러 활동을 펴기도 한다. 스쿼팅을 할 수 있는 건물을 알려주고, 스쿼팅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전환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Homes Not Jails'를 비롯한 각종 조직을 만들어 법적으로 그리고 물질적으로 스쿼터들을 지원하고 있다. 보통 빈 건물들은 철문으로 굳게 잠겨 있기 마련이다. 이에 스쿼터들은 서로 빈 건물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실제로 빈 건물 리스트를 지지운동가들과 함께 만들어 인터넷에 올려놓기도 한다.


스쿼팅은 사회에서 가장 소외된 계층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살 곳을 찾아들어간 것으로서 단순히 법을 수호하기 위해 이들의 절박한 행동을 제지하는 것은 많은 문제가 있다. 안락하고 편안한 도시생활의 이면에는 이와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스쿼터들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하며,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 또한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1. 성공적인 스쿼팅을 위하여! Squatting 101

2. 영국 런던에 있는 스쿼팅 구호 센터 ASS

3. 보스턴에 있는 Homes Not Jails, 감옥이 아니라 거주할 집을 달라!

4. 독일 스쿼팅의 중심지 Squa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