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폭력 저항이란 비기는 싸움을 하는 것이다
평화가 무엇이냐 2005/12/14 00:55동화작가 박기범이 내게 진지하게 물었다.
이라크 민중들이 총을 들고 저항하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하냐고.
가족이, 친구가, 사랑하는 사람이 미군에 의해 죽은 이라크 사람이 그에 대한 저항으로 총을 드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하느냐고 그는 물었다.
비폭력직접행동을 중시하는 나는 그것을 틀렸다고 말해야 하는가?
아니다.
나는 그 슬픔과 분노로 가득 찬 이라크 인에게 별로 할 말이 없다.
내가 할 말이 있다면 그가 폭력적인 상황에 놓이게 만든 것들에게 할 말이 있겠다.
그 이라크 인이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빠져나올 수 없는 폭력은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 묻고, 그것은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 묻겠다.
그래서 나는 미군 철수와 자이툰 부대 철수와 이라크 전쟁의 종식을 염원하는 것이 아닌가.
어떻게 살 것이냐는 물음에 대한 답이 비폭력이다.
구체적으로, 나는 언제나 비폭력은 올바르고, 폭력은 틀리다고 말할 수 있는가?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무엇이 틀린 길인가 이렇게 말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 잘 알고 있다.
그러므로 비폭력은 언제나 옳고 폭력은 언제나 틀리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해보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폭력적 대응은?
체첸 반군의 활동은?
쿠르드족의 무장투쟁은?
아체 반군의 활동은?
총을 든 사파티스타는?
일제시대 폭탄으로 저항한 투사들은?
일시적으로 분노와 증오로 총/폭탄/쇠파이프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일상적으로 분노와 공격심과 증오를 만들어내는 제도적 실천이 바로 군대의 탄생이고, 저항군대의 유지이고, 노동자군대에 대한 동경이고 그 귀결은 북한/남한과 같은 병영국가 아니던가.
그들의 자치를 군사주의적 지배라고 부를 수 있는가?
총을 든 무장항쟁은 반드시 군대적 사회를 만들어내는가?
무장항쟁이 끝나 승리를 거둔 사회가 자율적 개인들이 만들어가는 평화적이고 수평적인 사회가 되지 말라는 보장이라도 있는가?
총을 들고 싸운 다음 모두가 총을 내리면 되지 않을까?
그래서 비폭력은 일상을 살아가는 문제인 것이다.
한 번의 보복, 한 번의 살인.
그 이후 다시 비폭력적 삶을 살면 되지 않을까?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그것이 끔찍한 기억으로 남았다면 오히려 비폭력의 일상을 잘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도 할 것이다.
그에게 남는 것은 분노다.
그것은 한이 된다.
치유되지 않는 고통이 남겨진다.
없을 것이다.
복수를 하고 싶다, 그를 죽이고 싶다, 총을 들어 상대를 없애버리고 싶다는 생각, 폭력적인 방법으로 원수를 갚아야 한다, 그럴 때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생각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이것은 상대방을 지워버리고 싶다는 욕망에서 출발한다.
내가 상대방을 제압해야 한다는 욕망에서 생성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폭행을 한 자,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죽인 자에게 같은 폭력을 행사한다고 해서 내 슬픔이 가시는가?
그런다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돌아오는가?
그를 폭력으로 지워버린다고 나는 안심할 수 있는가?
죄인에게 사형을 내린다고 나는 안심할 수 있는가?
통쾌해지겠지만 그것이 폭력을 줄일 수 있을까?
다른 폭력을 낳는 것은 아닌가?
결국은 다시 일상의 문제로 되돌아온다.
평화로운 일상이란 싸움이 없는 일상을 말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싸움이 없는 삶이란 죽은 삶이기 때문이다.
평화로운 일상이란, 평화로운 삶이란 싸움을 끝내기 위해 살아가는 일상을, 싸움을 끝내기 위해 살아가는 삶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싸움을 끝내려면 이기거나 져서는 안 된다.
완전히 비길 때 그래서 나와 남의 대립이 없어질 때 싸움은 끝난다.
그러므로 완전한 승리란 역설적이지만 완전한 비김이다.
완전히 비기지 않고는 싸움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비기는 싸움을 하는 것이야말로 비폭력 저항의 방법이며, 평화를 위한 투쟁의 방법이다.
이는 본질적으로는 나와 남을 가르는 이분법을 해체하는 것이다.
결국 폭력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비폭력주의자는 폭력적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에 대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대응이 아니라 그런 폭력적 상황을 어떻게 끝장낼 수 있을까 고민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실천에 옮기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폭력 상황은 저항폭력으로 완전히 마무리지을 수 있다는 태도와 실천을 폭력주의라고 할 수 있겠다.
이기지도 지지도 않는 것, 본질적으로 비기는 것이 평화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지만, 비기는 싸움이야 말로 싸움의 요인들이 모두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면 비폭력은 상대와 완전히 갈라섬을 의미하는가?
다시는 만날 수 없도록, 그래서 아무런 대립도 일어나지 않는 것, 예를 들면 폭력이 일상화된 결혼에서 비폭력적 해결이란 이혼을 뜻하는가?
그런 것도 비폭력적인 해결 방법의 하나일 수 있다.
둘 사이에 완전한 합의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니까.
각자의 일상에서 비폭력은 적과 완전히 갈라섬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것은 개인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겨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