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오늘(6/18)이 2009년 바깔로레아 시험 첫 날(철학시험) 이란다. 고등학교 졸업장인 동시에 대학 입학 자격증인 바깔로레아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808년에 나폴레옹에 의해서라 함. 첫 시험은 그 이듬해인 1809년에 있었고, 총 응시자는 31명. 처음에는 구술시험이었다가, 첫 필기시험이 도입된 것은 1830년. 합격율은 동년배 중에서 1880년-1%, 1945년-3%, 1970년-20%이던 것이 1995년-63%, 2006년-64,2% 선으로 상승했다 함 (주의: 응시자 합격율이 아님 - 하단 참조). 참고로 이웃나라들의 바깔로레아에 해당하는 시험의 명칭 : A-level au Royaume-Uni, Abitur en Allemagne, Maturité en Suisse, Ylioppilastutkinto en Finlande. [핀란드는 무지 어렵군]

바깔로레아 증서 (고교졸업장) [학·석·박사도 똑같은 양식]
Un diplôme créé en 1808 (Liberation Vous 08/06/2007 à 08h11, MALLAVAL Catherine)
Equivalent du A-level au Royaume-Uni, de l'Abitur en Allemagne, de la Maturité en Suisse ou encore du Ylioppilastutkinto en Finlande, le bac a sacrément évolué depuis sa création, en 1808. Originellement, il ne comportait que des épreuves orales portant sur des auteurs grecs et latins, sur la rhétorique, l'histoire, la géographie et la philosophie. Les premiers bacheliers étaient au nombre de trente et un ! L'introduction de la première épreuve écrite (composition française ou traduction d'un auteur classique) date de 1830.
Ce diplôme, qui a la double particularité de sanctionner la fin des études secondaires et d'ouvrir l'accès à l'enseignement supérieur, s'est démocratisé au fil du temps : en 1880, à peine 1 % d'une classe d'âge obtient le baccalauréat ! En 2006, ils sont 64,2 % de la classe d'âge concernée (à ne pas confondre avec le taux de réussite). (...)
De 31 à 622.000 candidats... (Liberation Société 17/06/2009 à 11h44)
Chrono Le bac existe depuis deux cents ans, il a depuis largement évolué. La proportion de bacheliers sur une génération est passée de 3 % en 1945, à 25 % en 1975, pour atteindre 63,6 % en 2007.
17 mars 1808 : création du bac par Napoléon Ier.
1809 : 31 candidats reçus.
1830 : près de 3000 reçus.
1861 : Julie-Victoire Daubié est la première femme à avoir son bac (à son age de 37 ans)
1880 : le latin recule, à côté du bac classique, le bac moderne se passe en français.
1924 : programmes unifiés pour les filles et les garçons.
1948 : 30 000 bacheliers.
1965 : épreuve anticipée de français en première.
1968 : bac technologique.
1985 : bac professionnel.
1993 : les séries ES, L et S (scientifique), remplacent les A, B, C et D ; épreuves anticipées en première.
2007 : 512 000 lycéens décrochent le bac, soit un taux de réussite de 83,3%.
2008 : Sur 100 bacheliers, 54 ont un baccalauréat général, 26 un baccalauréat technologique et 20 un baccalauréat professionnel.
2009: 622 322 candidats inscrits. Les épreuves débutent jeudi 18 juin avec la philo, dans exactement 4 428 centres d’examen (voir le calendrier des épreuves). 500 candidats passent l'épreuve facultative de langue des signes, proposée à tous les élèves (malentendants ou non).
A lire : Nos années bac, Liesel Schiffer, Ed. Aubanel, 29 €.
[통계-wiki] Statistique baccalauréat depuis: 1990-2006-2008 (남-녀-합)
Taux de réussite (응시자 합격율: 시험 본 학생의 83%는 합격)
Garçons : 72,1 ; 80,2 ; ?. Filles : 73,9 ; 83,7 ; ?. Ensemble : 73,1 ; 82,1 ; 83.3
Proportion d'admis dans une génération (비응시자 포함한 합격율*)
Garçons : 58,9 (2006). Filles : 69,9 (2006). Ensemble : 43,5 ; 64,3 ; 63.4
(*) 아예 시험자체를 포기하거나 고교 중퇴-진학 포기자을 포함할 경우 63%의 합격율. 그래서(남학생 중에 중도 포기자가 많겠기에) 여자들의 합격율이 남자보다 10% 이상 높다 (70%:59%). 다시 말하면, 동년배 10명 중에서 남자는 6명, 여자는 7명이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얘기다. 돌려 말하면, 청소년 3명 중 1명은 고등학교 졸업장도 없이(중졸) 바로 험한 사회로 등떠밀려 나가야만 한다는 것. 그러므로 응시자 합격율(83%대) 보다도 응시생 비율을 높이는 게(중도포기자 구제) 더 문제...
결국 바깔로레아 학위 취득자를 늘려서 동년배 간의 위화감을 해소하고, 학위로 인해 처음 진출하는 사회생활에 장애를 없애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970년에는 기술계열 학위(bac techno)를 신설했고, 1985년에는 전문직 학위(bac pro)도 신설 함 [전문직 학위 응시자는 철학시험 면제]. 그래서 학위 취득율이 60년-12%, 70년-20%, 80년-25%, 90년-45%, 95년-63% 선으로 상승했으며, 95년 이래로 이 비율은 정체상태에 있다 (다시 고교생 100명의 진로를 요약하면 : 37명-무학위, 34명-일반학위, 17명-기술계열학위, 12명-전문직학위). '이제 바깔로레아가 더는 우수한 인재를 선별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어떤 상징적 가치로 자리잡았다'고 아래 전문가는 말하지만, 그래도 아직 100명 중 37명은 여기에도 포함되지 못하는 게 현실이고, 더구나 하층계급 출신의 경우는 어림잡아 둘에 하나는 고교졸업장도 없이 사회에 진출하는 실정이겠다. 그래서 지금의 학위취득율 63%를 80% 대로 끌어올리는 것이 국가적 목표라고 함. [다음의 전문가 진단의 발췌-첨가-번역임] "(...) Lorsqu’on a créé le bac pro en 1985, on a tenu à l’appeler ainsi pour conférer du prestige à cette filière. Le bac est désormais très peu sélectif, mais il garde une valeur symbolique. / De quoi est-il le symbole ? Avec le bac, on est un jeune bien intégré, un jeune comme un autre. C’est en quelque sorte la preuve que l’on a eu une jeunesse sans encombres. (,...) En 1960, 12 % d’une classe d’âge avait le bac et il n’existait que le bac général. En 1970, ce taux est monté à 20 % - le bac techno, qui vient d’être créé, représente alors 3,5 %. En 1990, 45 % d’une classe d’âge avait le bac, et ce taux atteint aujourd’hui 63 % : 34 % ont un bac général, 17 % un bac techno et 11,5 % un bac pro.(...)" http://www.liberation.fr/education/0101574732-avec-le-bac-on-est-un-jeune-comme-un-autre
2009년 바깔로레아 철학 시험 문제
"교환행위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는가?"
"어떠한 과학도 답변하지 못하는 질문이 있는가?"
"언어가 생각을 배반 하는가?"
오늘 오전에 바깔로레아 철학시험에 나온 문제 중 대표적인 몇 개 란다. 밑에서 보듯이, 수험생들은 주어진 한 문제에 무조건 답변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가지 질문형 문제와 텍스트 설명하기의 셋 중에서 가장 자신있는 것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우등생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텍스트 설명하기'를 선택함). 답안 작성 시간은 아침 08시에서 12시까지, 네 시간으로 충분하다. 예컨데, 1번 문제는 '교환이란 상품뿐만이 아니라 의견이나 생각·이념·사랑 등으로 무한히 확장이 가능하며, 그런 일련의 교환행위가 우리에게 무엇을 주고 어떤 사회적 결과를 낳는가' 하는 것을 나름대로 논리만 갖춰 풀어내면 되니, 문제가 어려운 만큼이나 답은 한없이 자유로워도 좋다는 말이겠다. 그렇게 오늘 첫 날의 철학시험만 무사히 치뤘다면 내일과 다음주 수요일까지(토·일빼고) 기타 암기과목의 답안을 좀 덜 어렵게 메꾸어내기만 하면 수험공부 끝이고 바캉스고 자유다(결과 발표는 7/7일). 어디서나 그런 통계가 나오듯이, 이번 바깔로레아의 최연소자는 13세의 소년이고, 최연장자는 78세의 할아버지(or할머니)라고 함.

시험 문제(2질문형과 1텍스트설명하기 중 택1)를 살피는 수험생들
L'impossible, l'échange et l'objectivité au programme du bac de philo
LEMONDE.FR avec AFP | 18.06.09 | 06h29 • Mis à jour le 18.06.09 | 11h45
"Que gagne-t-on à échanger ?" "Y a-t-il des questions auxquelles aucune science ne répond ?" "Le langage trahit-il la pensée ?" Voici quelques-uns des sujets de philosophie sur lesquels planchent, ce matin, environ 500 000 candidats aux séries générale et technologique. Les candidats au bac professionnel commençant, eux, lundi prochain. Les 331 575 candidats au bac général ont commencé à composer à 8 heures, les 163 085 candidats au bac technologique disserteront, eux, à partir de 14 heures.
Les candidats aux bacs général et technologique auront leurs autres épreuves écrites jusqu'à mercredi 24 juin, tandis que les 127 662 candidats au bac professionnel passeront les leurs de lundi 22 à vendredi 26 juin. Les 622 322 candidats passent à 53 % un bac général, à 26 % un bac technologique et à 21 % un bac professionnel. Le plus jeune est un lycéen de 13 ans et 3 mois de l'académie de Strasbourg, le plus âgé a dépassé 78 ans et concourra dans celle de Montpellier.
Mercredi, les professeurs de philosophie de l'académie de Lille ont décidé en assemblée générale de protester contre la dégradation des conditions de correction du baccalauréat, en refusant de prendre en charge un tiers des copies à corriger.
Ces derniers jours, trois élèves de terminale du lycée Romain-Rolland d'Argenteuil (Val-d'Oise) ont été placés en garde à vue, soupçonnés d'avoir voulu dérober des sujets du bac en s'introduisant dans le bureau de la proviseure. Ils ont été laissés libres mardi.
Les candidats au bac sauront mardi 7 juillet s'ils ont obtenu le diplôme du premier coup ou s'ils doivent passer l'oral de rattrapage, dont les résultats tomberont samedi 11 juillet. Tous les résultats seront disponibles gratuitement sur le site www.education.gouv.fr.
Les sujets complets [전체 문제]
Série L (littéraire), coefficient 7 [문과]
- L'objectivité de l'histoire suppose-t-elle l'impartialité de l'historien ?
- Le langage trahit-il la pensée ?
- Expliquer un extrait de Le Monde comme volonté et comme représentation, de Schopenhauer.
Série S (scientifique), coefficient 3 [이과]
- Est-il absurde de désirer l'impossible ?
- Y a-t-il des questions auxquelles aucune science ne répond ?
- Expliquer un extrait de De la démocratie en Amérique, d'Alexis de Tocqueville.
Série ES (économique et social) coefficient 4 [경제-사회계열]
- Que gagne-t-on à échanger ?
- Le développement technique transforme-t-il les hommes ?
- Expliquer un extrait de l'Essai sur l'entendement humain, de John Locke.
Télézapping
Philosopher pour commencer
LEMONDE.FR | 18.06.09 | 17h21 • Mis à jour le 19.06.09 | 07h33
댓글 목록
관리 메뉴
본문
‘약한 대통령’ 콤플렉스 / 이중근 국제부장연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을 즈음하여 미국의 한 싱크탱크는 그에게 ‘약한 대통령’ 콤플렉스를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취임 초기 대통령들은 자기가 공약한 평화 정책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유약하다는 비판이 고조되면 이 말이 듣기 싫어 군사적 대응 카드를 꺼내든다. 그러나 이것이야말로 실패로 가는 길”이라는 것이 요지다. 이 싱크탱크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들이 이런 함정에 주로 빠졌다며 성급하게 이란 대사관 인질 구출작전을 승인한 지미 카터 등의 사례를 곁들였다. 그 같은 우려에 부응이라도 하듯 취임 5개월을 맞은 오바마는 지금 ‘약한 대통령’ 콤플렉스의 시험대에 올라 있다. 그를 시험대로 밀어올린 것은 북한과 이란, 그중에서도 북한이다. 오바마의 대북 정책이 유약하다는 비판은 이미 현실로 나타났다. 미국의 보수 성향 매체인 폭스TV는 지난 15일 자사의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 유권자의 69%가 오바마의 대북정책이 ‘충분히 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유권자 9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오바마의 대북 대응 조치가 적절하다는 응답은 15%였고, 너무 강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3%였다는 것이다. 이란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66%인 점을 감안하면 오바마가 가장 약하게 대응하는 나라가 북한이 되는 셈이다.
(...) 오바마 본인은 말을 아끼고 있지만 거칠어진 미국 당국자들의 발언에서 북한에 대한 분노는 어렵지 않게 읽힌다. 빌 클린턴 대통령 당시 국방부 장관을 지내고 북한에 대해 실용적 태도를 견지해온 윌리엄 페리까지 무력 사용을 촉구했다. 그의 언급이 곧 군사력을 이용해 북한의 특정 지역을 정밀 폭격하는 이른바 ‘서지컬 스트라이크’를 말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전과 달라진 태도임은 분명하다. 이런 싸늘해진 미국의 대응에 오바마의 대북 정책이 과거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적대적 무시’ 정책과 다를 바 없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오바마가 이명박 정부의 대북 강경책에 호응, 남한에 대한 ‘핵우산’ 제공을 명문화한 것도 그 연장선 위에 있다. 대북 억지력을 높인다는 뜻도 있겠지만 북한에 약하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결과다. 다행인 것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대화의 여지를 남겨놓았다는 점이다. 대북 강경책에 한·미간 이견이 전혀 없었다는 것만 강조하는 청와대와는 생각이 다르다니 그나마 안심이다. 요즘 외신들은 한반도가 마치 세계의 화약고나 된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국방부 장관이 앞장서서 대북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군사 훈련 장면을 공개하고 있으니 무리도 아니다.
1994년 북핵 1차 위기 때도 김영삼 대통령은 연일 강경 대응을 외쳤다. 그 사이 클린턴 미 대통령은 정보 관계자를 포함한 다수의 미군을 ‘은밀히’ 한국에 급파, 영변 핵 시설을 타격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마쳤다. 뒤늦게 미국 측의 실제 공격 의지를 확인한 한국 정부는 이를 막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공격 계획이 취소된 후 “정말 북한을 때리는 줄 알고 십년감수했다”고 실토하던 한 군 장성의 긴장한 얼굴이 눈에 선하다. 북한과의 충돌을 원하는 게 아니라면 이명박 정부는 더 이상 오바마를 부추기지 말아야 한다. 한반도에서 총성이 울리는 순간, 오바마도 원하지 않는 상황으로 몰릴 수 있다. ‘약한 대통령’ 콤플렉스는 그렇게 무섭다. (이중근 국제부장, 경향 입력 : 2009-06-21 17:54:09ㅣ수정 : 2009-06-21 23:28:39)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