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이 사회의 시스템을 들여다보는 책들
- 05/07
-
- 다시! 105회 – 봄날의 상념들
- 05/01
-
- 나를 성찰하게 되는 책들
- 04/23
-
- 다시! 104회 – 웅크린 방안에서 피아노...(2)
- 04/20
장애여성 선희의 4월 김해공항엔 비가 내리고 있다. 그녀의 목소리가 아직 귓가에 맴돌고 있다. "내가 가야겠니?" "응, 언니가 와줬음 좋겠어. 언니가 보고 싶어" "알았다. 내가 갈게." 난 많은 일들을 뒤로 미루고 황급히 부산으로 왔다. 그녀의 목소리가 심상치 않다는 느 낌 때문에 서울서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까르르 넘어갈 듯이 웃던 그녀의 명랑 성은 자타가 인정할 만큼 대단했다. 그러던 선희의 목소리에 기운이 하나도 없고 울기만 한다. 선희(가명, 척추만곡증, 37세, 그녀에겐 딸 하나와 아들이 있다)는 얼마 전부터 다리가 아 프다고 하더니 류마치스 관절염이라는 결과를 받았다. 비장애남성과 결혼한 선희는 남편 집안에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임신을 했다. 큰딸을 낳 을 때에도 목숨을 걸어야 할 만큼 모험을 해야만 했었다. 그녀의 작은 신체 때문에 태아 가 성장하면서 어머니의 폐를 압박하였고, 산달이 가까워지면 호흡하는 것조차 힘들 지 경이 되었다. 결국 10달을 다 채우지 못해서 미리 제왕절개로 큰딸을 낳았었다. 그랬었는 데 또 아들을 낳겠다고 자신의 목숨을 건 모험을 하는 것이다. 주변의 만류를 뿌리치고 아들을 꼭 낳겠다는 일념뿐인 그녀의 마음을 이해할 수는 있었 다. 비장애 남성과 결혼할 때, 시가 쪽에서 많은 질타와 원망들이 이후 그녀에게 모두 상 처로 남았다. 그리고 기를 쓰면서 아들을 낳겠다는 이유도 시가 쪽으로부터 아들을 낳음 으로 인정받겠다는 것만 같았다. 결국 아들은 낳았지만, 그녀의 폐는 무리가 되어 기능이 저하되어 밤에는 산소 호흡기를 껴야만 잠을 잘 수 있는 지경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 관 절염으로 더 외출이나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해보려는 의지도 가질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렇게 살아오면서 자신감도 상실하고 자신이 가족들에게 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시 작한 그녀는 심한 우울증 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지금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다. 선희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 선희와 같은 모습은 장애여성들 사이에서 쉽게 발견하 게 된다. 장애를 가진 몸 때문에 환영받을 수 없는 사람이고, 또 여성이기 때문에 아이를 낳아야 되고, 아이를 양육해야 하고 가사의 많은 부분을 책임지고 살아야 한다. 선희가 지금 아픈 것은 그녀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땅에 장애여성들이 대부분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이제 이러한 얘기들을 장애여성들이 스스로 말을 하게 되면서 그만큼 치유도 빠르게 될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선희가 회복되길 바란다. 진심으로... (박영희 님은 장애여성공감 대표입니다.) |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