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예멘은 집단학살을 막기 위해 책임감 ...
- 뎡야핑
- 04/04
-
- 팔레스타인 독립운동과 하마스에 대한 ...
- 뎡야핑
- 04/04
-
- 지치지 않고 오랫동안 인간다움을 지키...
- 뎡야핑
- 2024
-
- 10월 7일의 진실
- 뎡야핑
- 2023
-
- 슬램덩크 단행본 비교 : 오리지널판, ...
- 뎡야핑
- 2023
인티파다 2장에서 찾았다!
생각한 것에서 벗어나 있지 않고 너무 간결한 요약이지만.. 더 찾아봐야징.
19세기, 서유럽의 유대인들은 경제, 정치적으로 유럽에 동화되어 문제가 없었는데
동유럽-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등 후진 제국-의 유대인 공동체는 봉건 경제 구조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의존하고 있었으므로 자본주의의 침투에 따라 위기를 맞이한다. 또 각국의 지배계급의 대중들의 분노의 표적으로 유대인을 삼아(인종차별주의 정책) 쁘띠 부르주아들 위주로(대부분 시오니즘에 헌신적임) 팔레스타인 지방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헤르츨은 1896년 <유대인 국가>에서 '저개발' 국가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며 열강의 승인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식민주의 사상을 대놓고 주장하고, 이 때부터 아마도 제국주의와의 유착 + 제국주의화가 시작된 모양이다.
당시 영국은 지중해 동부 지역을 장악할 경제적 이유가 있었다.
이스라엘이 방어막을 자처했을 정도로 중요한 수에즈 운하, 한창 개발 중인 페르시아의 유전지대, 인도, 동남아, 동아프리카 등 속령으로 가는 해로 등의 이유. 게다가 프랑스가 시리아를 장악하고 있었으므로. 또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여파를 두려워했는데 시오니즘이 맑시즘을 반대하였으므로.
1917년 벨푸어 선언(영국이 이스라엘 국가 설립 지원한다고 약속) 이후 유대인 공동체 더 확장되었고, 나아가 30년대 중반쯤 세계 자본주의의 위기와 파시즘 창궐로 대규모 자본가들과 이주민들이 들어왔다(자본금이 기존의 7배로 증가:700만 파운드, 인구는 10년전의 3배로 증가). 대부분의 유대인은 러시아로 갔으나(75%!!) 이스라엘에 들어온 8.5%만으로도 국가 세우기에 충분할 만큼 많았다.
그리구 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이득을 보기도...
기타 등등은 생략=ㅂ=
팔레스타인 독립운동과 하마스에 대한 한국 사회 내 오해와 편견 | 2025/04/04 |
10월 7일의 진실 | 2023/12/13 |
HD현대와 “팔레스타인은 원래 그래” 무감각한 인종청소-마사페르 야타 | 2023/04/10 |
9/27, 한-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FTA], 결국 국회 비준 | 2022/10/05 |
폭력을 쓰지 않는 압제자란 없다 - 하마스 지지자냐고요? 이게 뭔 개소리야.. | 2022/10/03 |
댓글 목록
관리 메뉴
본문
이 시간에 집에서 잡다한 글들을 쓸 수 있는 너의 자유로움이 부러우이...휴...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제기 횬힘!! 저는 도서관에서 열혈 공부 중입니다!!!지금은 밥먹구 잠시잠깐 쉬러 온 것이구요!!!!
저를 오해하지 말아 주시고, 내일 안경이나 맞추러 갑시다!!!
혹은 내일 모레...
=ㅅ=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본문보다 덧글의 압박이 ㅋㅋㅋ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몇년전에 러시아에 갔을 때, 어떤 분이 그러더군요. 레닌의 러시아혁명은 유대인들의 뒷돈을 대서 가능한 거라고. 깜짝 놀랐음 ^^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레닌만이 아니구요 <올훼스의 창>에도 나오지용. 근데 올훼스의 창에선 유대인이 혹시 아니던가=ㅅ=;;;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