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페미니스트 작가 에이미 커틀러(5)
- 2007
-
- <엘 워드 L word>시즌2(4)
- 2007
-
- 유럽의 다양한 미술제(2)
- 2007
-
- 빛을 향하다_<밀양 Secret sunshine>| (3)
- 2007
하나. 쪽팔리면 그때부터 학교생활 쫑이야.
시커먼 교복을 입은 학생들 사이로 교장의 차가 지나간다. 걸음을 멈추고 일제히 “경례!”를 외치며 젊은 시절을 보내는 1978년도 강남의 말죽거리 고등학생들…
폭력을 이길 수 있는 건 또 다른 폭력뿐.
폭력을 쓰지 않으면 쪽 팔린다. 쪽팔리면 그때부터 학창시절은 쫑난다.
말 않듣는 학생을 향해 선생님은 많은 학생들 앞에서 머리를 치며 “니들 같은 놈 때문에 민주주의가 안되는거야!”라고 외친다.
흐흠…폭력쓰는 선생님 입에서 쏟아지는 대사치고는 너무나 아이러니 하다.
교장은 선생님의 뒤통수를 학생 뒤통수 날리듯 가볍게 내리친다.
폭력은 교육되어지는 거라는 감독의 암시다.
남자들의 세계에서 권력은 곧 폭력을 통해 쟁취된다는 암시다.
폭력으로 교육되어진 남성들이 만들어가는 이 나라.
폭력의 역사는 남성들의 역사다.
남자들만의 학교. 그들에게 질서는 폭력으로 시작하여 폭력으로 끝난다.
잼나는 건 회사에서 남자사원들에게서 느낀건데 공적인건 물론이고 사적인 자리에서까지 서열을 은연중에 정한다는 것이었다. 딱히 물리적 폭력을 쓴건 아니지만 그건 다분히 인간적 관계에서조차 폭력적 방법이 그들만의 소통방식인 것같아 씁쓸했다.
공유하며 소통하는 것에 익숙한 여성들의 세계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방법이다.
두울. 남성다움의 상징. 브루스 리.
쌍절권을 휘드르며 얼굴근육은 약간 오버하며 “아뵤~~”를 외치는 그는 지금보면 권상우에 비해 가슴근육도 볼품없는 약간 촌스런 남성상일 뿐이다.
하지만 그 시절 남성들을 매료시키는 캐릭터의 매력은 어디에 있는걸까?
불의를 보면 참지 않고 1대 다수와의 싸움에도 굴하지 않으며 멋진 발차기와 쌍절권을 휘두르며 나쁜놈들을 향해 강한 기압소리를 내지르는 그는 분명 70~80년대 강한 남성적 아이콘의 대표주자로 손색없다.
남성적 강함을 드러내면서도 불의에 굴하지 않는 정의를 향한 강한 의지, 그러면서도 여성에게는 한없이 순수한 순진남.
이런 모습들은 지적이며 부드러움의 현대 남성상과는 차별점을 가지는 분명 다른 의미의 남성상이다.
공감하며 들을 수 있는 음악이 있고, 기타한곡 정도는 튕길 줄 알며, 비오는 날 자신은 비를 맞더래도 여친에게 우산을 양보할 줄 알며, 불의를 보면 폭력으로 응대하지 않고 현명하게 피해갈 줄 아는 남자…그런 남자가 난 더 좋다.
나쁜 남자가 매력적이기는 해도 관계맺기가 어렵다면 곤란하지 않을는지?
난 오래오래 남자랑 대화하고 싶다.
>>사족
이소령의 쌍절권으로 불의를? 평정하는 권상우의 모습이 너무너무 시원해보였던건 나도 모르게 폭력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있었던 모양이다.
권상우가 쌍절권을 휘두르며 5~8명을 혼자서 다 무찌르는 모습을 보면서 답답했던 속이 뻥 뚤렸다. 햐~~~ 시원했다.
남자들이 물리적 힘을 키우려는 이유가 이건가 보다.
문대성이 발차기 하나로 금메달을 손에 쥐고있을 때 그가 그렇게 남자답고 멋있어보였다면…흐흐흐흐….
셋. 70~80년대 문화
어코스틱 기타로 양희은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하나정도는 튕길 수 있어야 유행에 뒤쳐지지 않을 것 같은 시절, 원나잇 티켓으로 하늘을 찌르는 디스코를 추고, 버스안내양 언니가 어렵게 어렵게 손님을 다태운뒤 “오라이~”를 위치던 그 시절…
그 시절은 그래도 낭만이 있어보인다.
왜일까?
지나간 과거는 모두 아름다워 보이기 때문인가?
넷. 잉여인간
“대학을 가지 않으면 잉여인간이야. 잉여인간이 뭔지 알아. 인간 떨거지 되는거야..”
대학은 나왔으니 잉여인간은 면제된 듯하지만 난 여전히 잉여인간이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평균인의 반대말은 곧 잉여인간인가보다.
다섯. 교육
“인간이 되야지.
서울대 연고대 나오면 뭐하나 고등학교 졸업해도 잘된사람 많다. 인간이 되야지…”
모 이런 말 하는 영화속 선생님의 대사를 신뢰할 수 없다. 그건 뉘앙스가 빈정댐때문이다.
자고로 공부잘해야 대접받고 상위 몇등안에 들어야 사람처럼 응대해주는 선생님은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존재하신다.
입시경쟁만으로도 모잘라 학교마다 서열을 매기자는 움직임이 보수적 교육계와 언론에서 일고 있다는데..
한국사회에서 공교육은 제역할을 하고 있는건가?
권상우가 마지막 학교에서 던진 말
"대학민국 학교! 다 *까라 그래!"
흐흠....
>>사족
권상우 넘 멋찌다!!
그에게는 육체에서 보여지는 강한 남성상과 쿨한 유머를 내뱉는 여유로움, 부드러운 미소를 보이는 미소년의 남성상. 두가지 매력을 동시에 풍긴다.
물론 아놀드 슈왈츠제네거가 주는 남성적 육체와는 다른, 아담한 근육의 아름다운 선이 느껴지는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같은 육체를 지녔다.
이미지 연구가 필요한 캐릭터다...ㅎㅎ
댓글 목록
hi
관리 메뉴
본문
권상우는 저 말을 한 다음 학교 때려치죠. 그런데 웃기게도 다시 대학준비하는 학원생으로 나타납니다. 극복할 수 없는, 빠져나갈 수 없는 시스템의 고리 속에서 의식의 분열이 나타나게 되죠. 혹시 '심판'이라는 영화 보셨나요? '카프카의 심판'이라고 흔히 말하는데...부가 정보
rivermi
관리 메뉴
본문
얼핏 본 기억은 납니다만...제길 기억이 가물하네요. 고등학교시절 세로방식의 두꺼운 서적. 카프카의 "변신"은 읽었는데...카프카식 상상력은 왠지 저의 정서와 잘 안맞아서리...헤~부가 정보
raputer
관리 메뉴
본문
권상우의 근육질이 버벅거리는 말투와 결합되어 순수열정의 매력덩어리가 된 것 같았어요. 잼있게 보고 나서 사실은 좀 씁쓸했습니다. 통과제의처럼 폭력의 내면화를 겪는 한 소년이 지나치게 멋있게 포장되었다는 느낌 때문에요. 게다가 감독 인터뷰에서 자기 고등학교 시절 얘기라고 하니. 폭력적인 추억이 너무 풋풋한 거 아니었는지.. 생각해 봤습니다.부가 정보
rivermi
관리 메뉴
본문
사실 전 이영화의 예고편만 보고 <친구>의 아류작이겠구나 하고 무시했던 영화였슴돠. 그런데 최근 어쩌다 비됴로 보고는 <친구>보다는 잘 짜여진 스토리와 상징성이 있는 영화가 아닌가 놀랬지요. 이 글쓰고 잡지를 다디져 비평글을 읽었는데...감독인 유하와 김성수감독의 대담인지의 글을 읽고는 좀 씁쓸했어요~부가 정보
rivermi
관리 메뉴
본문
그 이유인 즉슨..실재 유하의 고등학교시절을 다루었다는 점과 고교동창인 두 감독이 야!그 시절이 좋았지..이랬지..모 그런식으로 폭력에 대한 무감각적반응은 아연실색하게 만들었슴돠.감독은 영화를 만들지만 비평가들이 새롭게 영화를 재창조한다는 느낌을 그 대담을 통해 새삼 느꼈어요.폭력에 대한 저항감보다는 당연시하는데 익숙한 마초남성들의 솔직한 대담이 익숙하지 않게 와 닿았었죠.왜 저런 영화를 만든걸까? 과거에 대한 향수라는 포장으로 폭력을 미화조장한 영화라는걸 인정하는 대담으로 와닿아서 씁쓸했슴돠...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