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éologue des totems et des mythes, musicien de l'esprit, l'anthropologue, père du structuralisme, est mort dans la nuit de samedi à dimanche à l'âge de 100 ans.
레비스트로스가 지난 토요일 밤에 100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정확히는 토요일과 일요일 사이의 밤이라고 발표됐으니 아마도 11월 1일 일요일 이른 새벽)는 소식이 3일 저녁(현지시간)에 나왔다.
작년 11월 28일이 정확히 탄생 100돌 기념일이었는데, 100 이라는 숫자에 끝다리 더 안 붙이려고 생일 한 달을 남겨두고 급히 떠난 모양이다. Ah Dieu, Adieu... Claude Lévi-Strauss !
"프랑스의 모든 인류학자들은 그의 자식이다" ("Tous les anthropologues français sont ses enfants") 라는 말이, 구조주의의 선구자 또는 인류학의 개척자 라는 그를 위한 다른 어떤 수식어보다도 더 실감나게 다가온다. 너무 오래 살아서 벌써 수많은 '자식들'을 먼저 떠나보내기도 했겠지만, 아직도 이어질 추모의 행렬이 얼마나 장대할지...
~~~~~
레비스트로스의 죽음이 언론에는 위와같이 3일 저녁에야 발표가 됐는데, 벌써 11월 2일 월요일에 장례식이 치뤄진 하루 다음 날이다. 지난 10월 30일 금요일에 일어난 그의 죽음을 밖에서는 아무도 몰랐다는 것. 유가족의 뜻에 따라 장례식은 가까운 친지들만이 참석한 가운데 아주 조용히 마쳤다 함. 고로 그의 일기는 '1908/11/29~2009/10/30'이 되겠다 (아래 위키링크 참조).
[Publié le 03/11/2009 à 19:08 - Modifié le 03/11/2009 à 20:06 Le Point.fr // DISPARITION. Les obsèques de Claude Lévi-Strauss ont déjà eu lieu. AFP // Les obsèques de Claude Lévi-Strauss ont eu lieu lundi en toute intimité. L'annonce du décès a été décalé selon le désir de la famille, qui craignait d'être débordée par la médiatisation du décès et des obsèques de leur proche. " Il a été inhumé à Lignerolles en Côte-d'Or, a indiqué mardi le Pr Philippe Descola, qui lui a succédé à la tête du laboratoire d'anthropologie sociale au Collège de France. "Claude Lévi-Strauss a été enterré à Lignerolles, dans le Morvan, où il possédait une propriété. Il y a deux ans, il s'était cassé le col du fémur, il était depuis très fatigué, il est mort de grand âge", a-t-il dit. Selon Philippe Descola, Claude Lévi-Strauss est décédé vendredi. L'Académie française lui rendra un hommage privé lors de sa séance hebdomadaire, jeudi. Claude Lévi-Strauss fut le premier ethnologue à être admis à l'Académie française en 1973. Il avait succédé à l'écrivain Henry de Montherlant.]

댓글 목록
관리 메뉴
본문
삼가 명복을 빕니다 ㅠ_ㅠ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영면하시길.. ;ㅁ;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아...부가 정보
관리 메뉴
본문
[여적]슬픈 열대 / 이대근 논설위원“그들은 스스로 자신을 대변할 수가 없어 다른 누군가에 의해 대변되어야 한다.” 카를 마르크스의 저서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 나오는 구절이다. 그들은 프랑스 농민을 말한다. 그러나 에드워드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에서 동양은 서양에 의해 대변될 때만 존재할 수 있는 허구이자 타자화되고 ‘은폐된 서양 자신’이라는 것을 지적하기 위해 이 구절을 인용했다. 사이드의 이런 문제 인식은 그보다 23년 전 발간된 프랑스의 사회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책 <슬픈 열대>에도 나타난다. [...] 경향 입력 : 2009-11-04 17:5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1041758475&code=990201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