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7) 철학에서 이와 같은 요구가 등장하는 것을 보다 더 보편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자기자신을 자각하는 정신이 현재 처해 있는 단계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자각적인 정신은 주어진 삶에 온전히 순응하는 삶에서 교양에 의해서 벗어났지만 그래도 사상의 터전에서는 바탕이 견고한 삶을 영위해 왔었는데[1] 이제 와선 사상의 터전에서도 그런 견고한 바탕을 상실하고 거기서 벗어나 떠도는 상황에[2] 처해있다. 다시 말해서 [루터와 같은] 믿음의 직접성[3], 또는 [데카르트와 같은] 확신이 주는 안정과 안심[4], 즉 [신의 존재까지 의심하면서 뭔가 확실하고 견고한 것을 찾아 나섰던] 의식이 다시 신과의 화해를[5] 통해서 신이 대내외적으로 두루 존재하기 때문에 사물과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안심할 수 있다는 만족에서 벗어나 있다. 자각적인 정신은 위와 같은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나 이젠 아무런 바탕도 없고 아무것에도 기대지 못하는[6] 자기 안에서 자기만을 붙들어 쥐는 반성이라는[7] 반대의 극으로 흘러 갔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성에서도 머무르지 못하고 뛰쳐나간 상태다. 자각적인 정신은 본질적인 삶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상실과 더불어 자신의 내용이 되는 것은 이젠 단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고 남은 것이라고는 죽는 일밖에[8] 없다는 점도 의식하게 되었다. 이렇게 죽음에 맞선 정신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갈 곳을 모두 상실하고 부랑하는 찌꺼기와 함께 방황하는 일은 그만두고 이젠 덜덜 떨고만[9] 있다고 자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굴욕적인 자기 모습을 한탄하면서 철학에게 요구하기를 현존하는 자신이 무엇인가를 알아차리게 하는 일은 이제 그만두고 예전과 같이 알차고 견고한 삶의 터전이[10] 먼저 철학을 통해서 다시 재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욕구를 받아들여 철학은 이제 침강한 실체성을[11] 열어 젖혀 다시 자각으로 끌어 올리고 어지러운 의식이 사유된 질서와 개념의 단순성으로[12] 다시 입도하도록 하는 일은 그만두고, 사상의 배설물을 모두 한데 쏟아 부어 잘 흔들어서 구별을 두는 개념은 제어하고 위대한 존재자에 대한 어렴풋한 느낌만을[13] 만들어 내어, 심층적인 자기통찰보다는 뭔가 위대한 존재 앞에 고개를 숙여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히 무너진 마음을 다시 수습하는데[14] 전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것, 성스러운 것, 영원한 것, 종교, 그리고 사랑은 모두 위와 같은 것을 덥석 물게 하는 충동을 주는데 요구되는 미끼일 뿐이다. 개념이 아니라 망아의 경지가, 냉정하게 전진하는 사태의 필연성이 아니라 부글부글하는 영감이 알찬 삶의[15] 풍요함을 영위하는 태도이며 그 풍요함의 지속적인 확대를 주도한다는 것이다.
[1] 원문
[2] 서론 §8와 비교해 볼만 하다.
[3] 원문
[4] 원문
[5] 원문
[6] 원문
[7] 원문
[8] 원문
[9] 원문
[10] 원문
[11] 원문
[12] 원문
[13] 원문
[14] 원문
[15] 원문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위에서 말한 "찌꺼기"의 원어는 "Treber"인데 집없이 길거리에서 사는 노숙자를 "Treber"라고 한다. Heiko라는 Teber를 한때 알고 지냈는데, 그는 4년 동안 유럽을 돌아다니다가 독일로 돌아와 사회청에서 제공한 집에서 살게 되었는데, 몇 달 동안은 집안에서 자지 못하고 계속 밖에서 잤다고 했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주석 3에서 이야기 된 "양심"은 피에르 아벨라르가 문제로 내놓은 것이다. "죄는 양심에 거역하지 않는 한 죄가 아니다"("Non est peccatum nisi contra conscientiam." [피에르 아벨라르, "너 자신을 알아라"(Nosce te ipsum)]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이 문단의 아래부분을 임석진 교수는 카우프만에 기대어 누가복음의 ‘잃어버린 아들’을 운운하면서 해석하는데 철학사에 들어가 무슨 말인가 살펴보지 않고 이해증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낭만적인 접근방식, 즉 뭔가 엄숙한 것을 제시하는 (erbaulich)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임석진, 정신현상학, 2005, 41쪽 참조)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