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레프트 대구>를 창간하며: 보수의 아성 ‘대구’ 에서 ‘좌파’ 종합지를 창간해?

보수의 아성 ‘대구’ 에서 ‘좌파’ 종합지를 창간해?

<레프트 대구>를 창간하며

 

이득재(레프트대구 편집위원장) / <참세상>2010년05월09일 18시20분

 

[편집자주] 대구에서 종합지 성격의 무크지가 나왔다. 이름은 <레프트 대구>다. 그동안 대구에 종합지 성격의 잡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대구사회비평’ 같은 잡지가 있었다. 문학 쪽에서는 ‘사람의 문학’이 있었고 지금도 ‘시와 반시’ 같은 잡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레프트 대구>는 이러한 잡지들과 성격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대구 지역의 노동 운동과 사회 운동에 대한 고민을 담고자 출발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구사회비평 같은 잡지가 기존에 시민사회, 중산층 중심의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했다면 <레프트 대구>는 새로운 계급사회로 치닫는 시대에서 노동자 대중이 처한 현실을 토대로 대구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변혁을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몇 년 전 노무현 정부 시절 한미FTA 반대 투쟁이 한참일 무렵, 대구 지역 교수학술공대위 위원장을 맡으라는 김세균 선생님의 말에 덜커덕 그 일을 맡았다. 대구 지역에 발이 넓지 않은 나는 알음알음으로 대구 지역의 한미FTA반대 공대위에서 사람들을 만났다. 그 때 나는 대구 전교조 사무실에서 노태맹 시인을 만났다. 그 후 내가 먼저 연락해 노태맹 시인을 만났고 대구 시내에서 막걸리 한 잔 기울이며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눴다.

 

어눌하고 말 주변 없는 두 인간이 만났던 것이다. 그러다가 노 태맹 시인 덕으로 대구 지역 민중단체에 들어가 사람들과 어울리던 무렵 애초부터 지식에 대한 욕구가 컸던 노태맹 시인(지금은 인의협 대표)이 좌파잡지 얘기를 꺼냈다. 내가 민중단체에 들어가기 전 이 곳 활동가들은 서울에서 윤소영 교수를 모셔다가 이틀 간 꼬박 알튀세르를 공부했을 정도로 빡센 사람들이었다. 그만큼 이론적인 실천에 대한 욕구가 컸다.

 

대구 지역의 좌파적인 이론에 대한 욕구가 대구 지역 안에서 해소되지 않는 현실이 거꾸로 좌파 잡지 창간이라는 욕구로 발전했다. 어렵지 않겠나, 필자 구하기도 만만하지 않고, 누가 사 보나 등등 회의적인 시각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이미 대구 지역에서는 밑으로부터 치고 올라오는 사회운동이 활발하던 터였다. STU, 장지공, 인권운동연대, 민중행동, 반빈곤네트워크, 민노총 대구지역본부, 공공노조, 성서노조, 노동자행동, 좋은 친구들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투쟁은 투쟁대로 빡세게 전개하는 활동가들이 좌파잡지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족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라도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태맹 시인은 노동자와 지식인이 분리되어 있는 현실을 질타하기도 했다. 대구 삼우정밀 노동자와 이야기를 하면서 노동자와 지식인의 분리라는 것이 얼마나 심각한지 느끼기도 했다. 먹물들에 대한 냉소와 현실에 대한 분노 사이에서 동요하는 노동자들의 모습도 보였다.

 

어떤 면에서 보면 대구는 보수의 아성이 아니라 좌파 전통이 생생하게 살아있던 곳이다. 이 일재 선생님을 비롯해 지금 7-80을 바라보지만 혁명에 대한 뜨거운 가슴을 가진 노인네들이 펄펄 살아 있는 곳이 대구이기도 했다. 이 전통을 온전히 복원시키기는 힘들겠지만 노력은 필요했다. 좌파들이 대중 투쟁의 동력을 만들어내지 못한다고 자조하는 분위기를 바꾸자면 이론에 대한 고민도 필요했다.

 

노동자와 지식인의 분리를 말할 것이 아니라 노동자가 지식인이 되고 지식인이 노동자가 되는 것이 필요했다. 지식인은 현장 바깥에서 지원 사격을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안으로 들어가 천막농성이라도 같이 해야 한다. 노동자는 톰슨이 말하는 19세기 영국 노동자 계급의 장인문화처럼 치열한 학습이 필요했다. 노조운동의 위기가 노동운동의 위기로 번지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국가와 자본에 대한 이론적인 무기 단련이 필요했다. 누군가의 말대로 노조운동이 빙하기에 접어들지 않았는가 하는 데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반성, 그리고 그 반성이 반성으로 그치지 않으려면 사회운동을 치열하게 전개해야 할 것 아니냐는 당위, 좌파 단위들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서로 차이가 뭔지 만나서 확인하고 새로운 연대 방식을 발명해 보자는 것 등이 좌파 잡지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

 

작년 겨울 창간작업에 들어가 몇 달 만에 출산한 잡지 한 권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노동자들이 파업 한 번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노동조합이 필요 없다고 말씀 하시는 이 일재 선생님의 말처럼, 현장에서 내지르는 불만이 분노의 한 형태라고 애써 보듬는다 해도 잡지 한 권이 큰일을 저지를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분노의 조직화와 이것을 담보해 낼 이론적 실천의 공간은 필요하지 않을까? 대구 지역의 좌파들이 실천적으로 연대할 수 있으려면 상호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 비판할 수 있는 언어공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레프트대구는 한국 사회 변혁을 위한 이행전략이나 대안사회로 가기 위한 이념 모색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거대 담론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중적으로 좌파 정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아래로부터의 사회운동을 강화하고 지역 운동에 대한 좌파적인 개입을 위해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 뼈 아픈 민중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이다. 이론으로 뒤덮여 노동자들과의 소통을 불통으로 만드는 잡지가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이전에, 노동자라는 인간을 이해하고 노동자라는 계급을 이해하는 것이 <레프트 대구>의 포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더 작고 낮은 곳에서 출발하는 심정으로 국가와 자본의 포크레인에 육체와 영혼을 훼손당한 사람들의 마음을 보듬는 일이 <레프트 대구>의 제일 큰 포부라면 포부다.

 

미국 발 바이러스가 변종바이러스로 변해 도처에 구제역을 만들고 있는 지금, 자본주의의 모순의 필연적인 결과를 이론적으로 예감한다. 돼지들이 생매장되듯이 자본의 바이러스가 민중들의 삶을 통째로 생매장하는 끔찍한 시절이다. 국가와 자본에 협조할 시대가 아니다. <레프트 대구>에 실린 신경현 시인의 말처럼 국가에게 민주주의를 요구한다는 것이 얼마나 가당치 않은 일인가. 국가를 ‘국까’로 까버려도 속이 더부룩한 세상에서 5+4 혹성과 위성론은 왜 돌출하는 것인지.

 

국가와 자본이 노동자계급에게 협조를 구하는 세상을 앞당기자면 우리 자신들에게 혁신이 필요하다. 과거와 쌈빡하게 단절하고 노동현장에서부터 혁신이 이루어질 수 없을까. 서로 분노가 치받혀 오를 때 삭히려 들지 말고 분노를 냉소로, 비아냥으로 변질시킬 것이 아니라 <레프트 대구>에서 만나, 이야기 함 해 보자. 논쟁과 토론, 운동과 투쟁은 사라지고 협상과 집회만 남은 자본주의 세상에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