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바스크 나들이_마지막
- hongsili
- 2024
-
- 바스크 나들이_05
- hongsili
- 2024
-
- 바스크 나들이_04
- hongsili
- 2024
-
- 바스크 나들이_03
- hongsili
- 2024
-
- 바스크 나들이_02
- hongsili
- 2024
지난 몇 주 동안 읽었던 책들의 공통점, 최소한 표면적인 공통점은 없다.
보관함에 담아놨던 책들 중, 도서관에서 대출이 가능한 책을 집어왔고, 태블릿에 담아놓았던 책들 중 하나를 건져왔을 뿐.... 그런데 포스팅 제목을 생각하다보니, 작가들이 모두 휴머니스트들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했다. 따뜻하고 인도주의적이라는 뜻에서의 휴머니스트가 절대자가 아닌 인간을 중심에 둔 사고를 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거울 너머의 역사]
갈레아노, 거울 너머의 역사 - 승자의 맞은편에서 바라본 세상, 아무것도 아닌 것들의 부활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2010 |
나즈막한 한숨과 높아지는 심박 수, 하지만 가끔씩의 깨소금같은 고소함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많이 슬픈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아이고 한 많은 인류 역사여... ㅜ.ㅜ 한숨이 절로 나온다는.....
물론 인류 역사가 온통 슬품으로만 가득 찬 건 아니었지만, 지배자들이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움과 용맹함에, 그들이 이룩한 것에 찬탄하고 있을 때, 그 거울 너머에 존재했던, 정면에서 볼 수 없었던 역사는 그렇게 아름답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 책은 그동안 주류 역사책과 언론, 혹은 동화나 설화에서도 그려지지 않았던 그야말로 거울 너머의 역사에 대해서 놀라운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주~욱 읽다보면, 종교, 특히나 유일신을 숭배하는 종교들은 그냥 세상에서 사라져주는 게 인류에게 마지막으로 기여할 수 있는 숭고한 행위가 아닌가 싶다. 귀족, 부르주아, 군부독재, 파시스트, 다양한 악당들이 차례로 등장하지만, 역시나 가장 오랜 기간 동안, 가장 잔인하고 끈질기게 민중을 (달래가며) 괴롭혔던 것은 이들 (유일신) 종교들이었다.
각 종교들의 악행은 우열을 가리기도 어렵다. 카톨릭의 천년 뻘짓은 오늘날 IS에 비해 하나도 부족함이 없거니와, 기독교도 두 말하면 잔소리.... 이런 역사를 알고도 그것은 일부 비뚤어진 신자들이 하느님의 뜻을 오해한 거야, 진짜 카톨릭은, 진짜 기독교는 안 그래 라고 우겨댄다면 답이 없다...
그래도, 이렇게 이성을 마비시키는 역사적 뻘짓과 속임수에도, 스스로 깨닫고, 투쟁하고, 한발자국씩 우직한 발걸음을 내딛었던 인간들이 또 있었기에, 오늘 우리가 여기에 있다. 그들과 만나기 위해서는 여전히 이렇게 거울 뒤를 애써 찾아봐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지만 말이다....
# 엄기호 [단속사회]
단속사회 - 쉴 새 없이 접속하고 끊임없이 차단한다 엄기호 창비, 2014 |
"쉴새없이 접속하고 끊임없이 차단한다"는 부제가 단속사회의 본질을 간명하게 보여주었지만, 현상의 '기술'을 넘어서는 분석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쉬웠던 책이다. 딱히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는 모르겠으나, 아 뭔가 조금 더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데... "엥? 여기서 끝난 건가?" 뭐 이런 느낌....
(도구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지탱이 될 수 있는) 관계의 부재, 다른 한편 관계의 '짐'이라는 경험이 동시에 존재하는 역설적 상황들을 글은 잘 보여주고 있다. 실존적 관계단절보다는 '사적인 관계를 공적인 언어로 전환하는 관계의 부재'가 문제라는 저자의 지적에 매우 매우 공감했다. 관계 단절을 실존적 측면에서만 보게 되면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지배자들의 언어에 스스로 동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가 지적하는 '가장 심각한 단절'은 "누군가의 경험이 나에게 이어지고, 나의 경험이 누군가에게 참조사항이 되면서 우리를 사회적 존재로 엮어내는 그런 관계의 단절" 이다. "이는 경험의 전승을 통해 존속해온 사회를 위태롭게 하고 서로의 지혜를 모으기 위해 둥그렇게 둘러앉아 타인의 이야기를 듣는 정치 또한 불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개개인의 삶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서사가 아니라 파편화된 에피소드들의 연속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연속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결국 이 사회에서 성장을 꿈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말과 다름 없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조직 내의 문제가 공론화를 통해 해결되지 못하고 '폭로와 매장'이라는 독특한 정치행위로 귀결된다.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공동체의 무능과 무관심, 혹은 편향 때문에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겠으나, 특히 요즈음 소셜 미디어를 통한 딱지붙이기와 매장시키기는 나도 볼 때마다 후덜덜하다.
다듬어 지지 않은 몇 마디 말을 두고 '내 저럴 줄 알았다'거나 '완전 실망이야' 하면서 온라인 상 허공에 까대는 것이 과연 저항 운동인지조차 의심스러울 때가 한 두번이 아니었다. (최근 트윗 상의 '페미니즘 논쟁'도 불편한 마음이 한 가득이다 ㅡ.ㅡ)
'기획된 친밀성' 현상을 드러낸 것도 인상적이었다. 사회학자란 역시나 허공에 떠돌며 흩어지는 현상들에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는 자들이다. ㅋㅋ
나의 또래이자 가난한 가정 출신인 저자가 경험한 부모와의 관계는 나와 매우 비슷하다. 나의 부모 또한 나를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문화적 자본이나 사회적 권위가 없었다. (물론, 본인이 배운 게 없어도 성인이 된 자식들을 함부로 대하고 휘두르려는 부모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획된 친밀성이 친밀성에 대한 과시로 나타난다는 관찰에도 고개가 끄덕여졌다. 특히나 부모자식 관계에서 이러한 과시는 자녀들의 사회적 관계망 차단과 성장지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주변에 이러한 사례의 목격담은 사실 차고 넘친다... ㅡ.ㅡ
자신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즉 '점검하는 삶'은 멈추는 것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구절 또한 인상적이었다.
나에게도 멈춤이 필요한 게 아닌가 싶다가도, 여기서 뭘 더 멈추나 싶기도 하고.... ㅡ.ㅡ
참, 경청을 통해 깨닫는 것은 "자기도 모르는 자기의 삶, 즉 자기 삶에 내재되어 있는 타자성"이라는 설명에 아주 아주 공감했다.
# 커트 보네거트 [Sirens of titan]
타이탄의 미녀 커트 보네거트 금문, 2003 |
동작도서관에 책이 없어서 킨들 버전으로 구매했다. 아마존에 그렇게 악플 많이 달린 거 정말 첨 봤는데, 책 내용에 대한 악플이 아니라 킨들 버전 편집 좀 제대로 해서 내놓으라는 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좀 걱정을 하긴 했으나, 못 읽을 정도는 아니고, 게다가 등장인물들이 '정상'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 이들 자체가 말을 제대로 하고 있는 건지, 편집 상의 오타인건지 구분하기도 쉽지않았다는 슬픈 사연...
처음에는 우스꽝스러워 미치는 줄 알면서 시작했는데 책을 다 읽어갈 때쯤, 서늘함과 심지어 서글픔의 정체는 무엇인지 좀 당황스러웠다. 인간의 자유의지란 뭐지??? 우주 속 존재의미는 뭐지???
더글라스 아담스의 Mostly Harmless 보다 더 짠한 지구의 역할에 빵 터지기는 했지만, 그냥 웃을 수만은 없더라는 사연....
화성과의 전투 이후 지구에 나타난 신흥종교의 신, "God the almighty utterly indifferent"
에피쿠로스 왈, 신이 우리에게 신경을 쓴다고 믿는 것은 아주 헛된 짓. 신이 불멸성과 완벽성을 획득한 뒤부터는 우리에게 상도 벌도 내리지 않는다... ㅋ
보네거트 소설은, 읽을 때는 낄낄거리며 웃다가 책을 덮을 때 쯤이면, 어두운 기운이 저 심연으로부터 휘몰아치는 것 같은 서늘함을 던져준다. 그래서 좋아한다.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