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방의 추억
나일 먹는다는 증거일까...
행인이 끝까지 부르지 못하는 노래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정태춘 박은옥의 "우리들의 죽음"이라는 노래고 또하나는 민중가요 중에 "약수 뜨러 가는 길"이라는 노래다. 이 노래들은 이상하게 중간부분쯤 가면 감정이 북받쳐 부를 수가 없어지게 된다. 많이 울게 된다.
그 이유가 뭘까 갑자기 궁금해지다가 문득 아주 어렸을 적의 기억들이 꽤 많이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4~8살 정도까지의 기억이 왜 그렇게 선명하게 남아 있는 걸까? 이 기억은 계속 이어질까? 언젠간 또 옛날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하나도 기억하지 못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그래서 생각날 때마다 그 단편들을 하나씩 정리해두려 한다. 그냥 넋두리다. 잊고 싶지만 잊혀지지 않고, 그래서 더 간직해두고 싶은 기억들이 있는 거니까...
행인은 어디 가서 누가 "고향이 어디에요?"라고 물으면 경기도 양평군의 소위 "원적지"를 고향이라고 이야기한다. 간직하고 싶은 추억이 거기에 많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고향은 서울의 한 지역, 지금은 개발로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목동 이대부속병원 근처다. 60~70년대, 소위 뚝방 판자촌 중의 하나였던 그곳. 그곳은 그러나 행인의 인식 속에서 "고향"이라는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다. 잊어버리고 싶은 기억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억은 뭐든지 다 아름다운 건가? 그 때가 새록새록 기억난다는 것은 그 아픔을 몰랐기 때문이거나 또는 아픔을 잊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행인은 전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너무 어렸으니까.
뚝방 판자촌에서 행인은 "인생은 고(苦)"라는 사실을 이미 4살 때 알았다. 매일 아침 행인은 고뇌에 찬 어른들의 행렬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판자촌에는 입구 한 귀퉁이에 공동 화장실이 있었다. 남녀 구분이 없었던 그 화장실은 달랑 두칸. 동네에 사는 사람들이 꽤 많았던 것 같은데, 아무튼 많은 사람들이 아침마다 그 앞에서 장사진을 치고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왜 그 자리에 그렇게 자주 나갔는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냄새나는 빈민촌 공동화장실 앞에 그것도 아침 나절에 행인은 자주 나갔더랬다. 어른들 따라 간 것인지 아니면 같이 살던 사촌형에게 끌려갔던 것인지는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그 앞에 가서 쭈그리고 앉아 있으면서 어른들은 왜 저렇게 뭔가 고민을 많이 하고 있을까 궁금했던 거 같기도 하다.
공동 수도에 물을 받으러 가거나 동네에서 돌아다니거나 하면 막 머리도 쓰다듬어주고 하던 어른들이지만, 아침나절 공동화장실 앞에서는 아무도 행인에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그저 굳은 인상을 하고 서로 인사도 제대로 함이 없이 묵묵하게 서 있을 뿐이었다. 간혹 신문이나 책을 들고 서 있는 사람도 있었던 거 같은데, 뭐 그렇게 서 있는 사람들이 지금 생각해보면 꼭 좀비같았을지도 모르겠다.
어떤 어른은 인상을 조금 찌푸린 채 담배를 피우기도 했고, 어떤 어른들은 이빨을 꽉 문채 분노에 찬 얼굴을 하고 있기도 했다. 지금도 그 얼굴이 희미하게 기억나는 어떤 누나(공장다니던)는 평소에는 행인만 보면 좋아서 어쩔줄 몰랐던 사람이지만 아침나절 그 화장실 앞에서만은 가끔 애처로운 눈빛으로 행인을 쳐다볼 뿐 역시 인상을 쓰고 있기는 마찬가지였고 가끔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다.
화장실 문 앞에 바짝 붙어서서 안에다 대고 뭐라고 하는 사람도 있었고, 나무판자로 기워맞춘 화장실 벽에 손을 짚고 서서 고개를 숙인채 굳어 있는 사람도 있었다. 특기할만한 사항은 그 사람들 손에 손에 신문지며 무슨 서류같은 거며 암튼 뭔가 휴지가 될만한 것들을 쥐고 있었다는 것이고...
길어진 줄 뒤에서는 가끔 새치기도 일어났다. 동네분위기가 그런지라 다른 경우 같았으면 주먹다짐도 있을법 하건만 아침나절 공동화장실 앞에서는 서로 이빨만 옴팡지게 앙다문 채 발음도 이상하게 뒤로 가라거니 먼저 왔었다거니 하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었다. 물론 인상은 인생의 고뇌가 그대로 묻어나는 표정이었고.
줄이 줄어들 기미가 별로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인생의 고뇌를 집에서 해결하려는 사람도 하나 둘 생겨났다. 평소 걷던 걸음과는 달리 딱딱하게 굳어버린 몸으로 어기적 거리며 집으로 돌아가는 어른들을 보면서 행인은 오리를 연상했던 것 같기도 하다. 화장실 바로 근처에 선 어른들 중 어떤 분들은 계속해서 어흠 하는 헛기침을 하는 분도 있었고, 급기야 어떤 아줌마는 빨리 좀 나오라고 소리를 치는 경우도 있었다. 이빨만 물고 있었던 다른 어른들은 그 소리에 모두 동의하는 눈빛을 보낸 것으로 기억된다.
그 모습들을 매일같이 보면서 행인은 알아버렸던 것이다. "인생은 고(苦)"라는 것을. 모든 어른들은 고뇌하며 산다는 것을. 그러면서 궁금했다. 왜 어른들은 아침마다 저렇게 인상을 찌푸려야 하는 걸까. 어른들은 다 그런 것일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하루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던 행인은 공동화장실에서의 놀이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오면 외할머니가 항상 "명경"이라고 부르시던 조그만 거울을 쳐다보며 어른들의 표정을 흉내내곤 했던 것이다.
행인님의 [뚝방의 추억] 에 관련된 글. 행인님이 안양천 뚝방에서 살았다고 하니까, 산오리도 그 동네서 오래 살았으니, 추억이 많다... 산오리네 행인이 살던 뚝방은 아니었고, 칼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