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에 관한 몇 가지 생각

깊이 읽지 못했지만

내게 가장 많은 관심과 흥미를 일으키는 철학자가 바로 데리다다.

 

최근까지 그의 작업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개념이

바로 '불가능성'(the impossible)이었다.

페넬로페 도이처가 쓴 'HOW To READ 데리다'(웅진 지식하우스)

(지나가는 김에 말하자면,

이 책 역자인 변성찬 씨가 역자 후기에서

들뢰즈와 데리다가 각각 유물론과 관념론 진영에 속한다

고 내린 평가엔 결코 동의할 수 없다.

데리다를 얼마나 읽었는지 모르지만 그 용기가 부럽다.

이와 함께 'negotiation'을 '타협'이라고 번역한 것도 문제다.

통상 'compromise'를 타협이라 새기고, 'negotiation'은 교섭/협상으로 새긴다.

이 논리는 노조가 자본가와 '교섭/협상'하는 것이 곧 자본가와 '타협'하는 것이라는 얘기와 같다.

자신이 텍스트 '외부'에 주목하는 보다 혁명적인 진영에 속한다고 뽐내는 거야 본인 자유지만

그러려고 다른 이의 주장을, 그것도 역자가 이런 식으로 폄하하는 것은

내 상식으론 참 이해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페넬로페 도이처도 참 좋아하는 철학자인데

이 역자 후기 땜에 짜증이 확 났다.)

를 읽다가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물론 틀릴 가능성이 많겠지만...

 

칸트와 데리다 모두에게 불가능성은 '이상'(the ideal)의 문제와 관련된다.

하지만 칸트에게서 불가능성은 실재적/현실적 차원의 문제이지만,

데리다에게 불가능성은 상상적/상징적 차원의 문제가 아닐까?

즉 칸트에게 있어 불가능성이란 실재/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것이며,

다만 상상/상징계에서 규제적 이념(regulative idea)으로 역할할 수 있다.

반면 데리다에게 있어 불가능성이란 실재/현실에서는 (매양, 또는 드물게) 일어나는 것이지만,

기존 상상/상징계의 지평, 이 지평 안에서 우리가 '가능한 것'(the possible)으로 체험하는

'정상적인 것'(the normal)을 깨뜨리는 효과를 낸다.

 

예컨대 과거 성수대교나 삼풍백화점이 무너진 것은

실재/현실적으로는, 또는 물리 법칙 면에서 보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사회적인 상상/상징계에 따라 볼 때 '있을 수 없는 일', 곧 불가능한 일이 된다.

예컨대 우리가 '말도 안 돼!(That's impossible!)'라고 외칠 때 우리가 체험하는 바로 그것을

데리다는 '불가능성'이라고 부르는 게 아닐까?

(이건 지젝이 이야기하는 것과도 유사하다.

사실 지젝이 데리다(또는 알튀세르)를 폄하하지 못해 안달하는 것이 이해가 안 되면서도,

그가 하는 모든 이야기가 결국 다른 누군가가 한 이야기라는 데서 오는 불안의 결과라면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불가능성은 체험할 수 없는 것이기는커녕

우리가 (매양, 또는 드물게) 체험하는 것이다.

여기서 체험/경험의 문제가 나오는데

내가 데리다에 관해 가장 모르는, 그의 중요한 지적 원천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현상학

의 비판적 전유가 여기에서 중요한 것 같다.

좀 더 고민할 문제.

 

시간이 없어서 오늘은 이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8/11/12 17:14 2008/11/12 17:14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16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08/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310034
Today:
115
Yesterday: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