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50) [이젠 칸트가 제시한 삼중성에1 따른 학문 개념을 살펴보자.] 이 삼중성이 처음에는 그저 육감적으로2 재발견된 상태였었고 그러기 때문에 제대로 이해되지 않은 죽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지만,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갖는 절대적 의미로 부상함으로써 [마침내] 참다운 형식을 갖춘 참다운 내용이 정립되고 동시에 학문의 개념이 부화하였다. 그런데 우리는 [애석하게도] 삼중성의 형식을 생명 없는 도식으로 전락시켜 그것이 무슨 독특한 허깨비나 되는 것으로 만들어 버리고 학문의 유기적인 체계3를 일람표로 전락시키는 삼중성의 활용을 볼 수 있다. 이런 삼중성의 활용은 앞에서 이야기된 것들과 마찬가지로 학문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미 일반적인 선상에서 언급한 바 있는 이런 형식주의의 판박이 수법에 대하여 이제 좀더 자세하게 논의할 예정인데, 이런 형식주의는 어떤 형태의 속성과 살아 움직임을4 개념적으로 파악하고 서술하는데 있어서 도식의 항목에서 한 규정을 골라 그 형태에 꼬리표로5 붙이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이런 것들은 주관성이니 객관성이니 하는 것들로 표현되거나 때로는 자기(磁氣)니 전기니 하는 것들로 표현되기도 하고, 수축과 확장 또는 동과 서 등으로 비교되는 것들인데, 이런 식이라면 [자기 제한성을 갖는] 어떤 성질이나6 형태라도 다른 성질과 형태의 서술에 사용하는 도식의 형식이나 요소가7 될 수가 있다. 이렇게 모두가 <섬길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라고 알아서 기기 때문에 위와 같은 꼬리표는 끝없이 복제될 수 있다. 이렇게 끝없이 복제될 수 있는 꼬리표는 상호의존으로 엮어진 무리일 뿐, 이것이 사태 자체에 대해서, 의존관계의 이쪽과 저쪽에 대해서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라곤 아무것도 없다. 이러 꼬리표달기가 어떤 행위인지 더 살펴보면8 [아주 모순적인데] 도식에 한편으로는 일상적인 직관에서 얻은 감각적인 규정들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그것들은 말하는 것과는 뭔가 다른 것을 의미한다고 내세우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 정작 그래야 하는 데에서는 정반대로] 주관, 객관, 실체, 원인, 보편 등과 같은 순수한 사상 규정들이 별도의 의미가9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런 것들을 아무런 숙고와 비판 없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의미 그대로, 그런 것이 마치 강약, 신축과 같이 의미가 분명한 것이나 되는 것처럼 사용한다. 그 결과, [모든 것이 엉망이 되어] 감각적인 표상만 비학문적인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이라고 내놓은 것까지 비학문적인 것이 되고 말았다.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1 (다시 읽은 것을 다시 읽기 - 첫번째 두 ... |
후각과 촉각의 확신 |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다시읽기) §1 |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다시 읽기) §7 |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 §11 상부 |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