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며듬.. 빠져나감

잡기장
몇 주전, 사무실에 화분을 갖다 놨다.
"말라죽이지 마라잉" -_-+, "딴데 놓지 말고 니 책상에 놔" 웃는 표정으로 즐겁게 화분 두개를 골라주시면서도 울엄니는 말로 나를 갈구기 바쁘다.
화분이 여러개 있는 이유는 반지하 5년 생활에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위한 자구책.

컴 앞에 앉으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일 중독 마냥 사는 내가 제대로 신경쓰기 어려울까봐, 가장 덜 신경 써도 되는 거라시며 2개를 골라주셨다. 그래서 레옹을 상상하며 (마틸다는 없지만 -_-;) 마치 굉장히 아끼던 화분 마냥 조심스레 삼실로 가져왔다.

아니나 다를까, 신신당부 들은대로 한 동안은 물도 주고 그러더니 지난 주 부터 일에 치여 사느라 소홀했다. 오늘 보니 흙이 말라 있었다. 나는 원래 물을 많이 마시고 화장실도 자주 가는 편인데, 게다가 오늘은 더웠고, 쌓인 피로에 제대로 정화가 안되는지 물만 계속 먹혀 줄창 마셨다. 그러던지라 메마른 흙을 보니 괜히 미안하다. 너도 목말랐냐. 니가 말을 할 수 있다면 내 부주의로 너를 고통받게 하는 일이 없을지도 모르는데. 아니, 식물도 감정이 있고 표현을 한다는데 그걸 알아듣지 못하는 거지.

물을 부었다. (디카를 잃어버린게 또 아쉽다). 금방 스며드는게 목말랐을까 하는 내 생각을 더해준다. 흙이 다시 짙은 색이 됐다. 잘 모르긴 해도 물을 너무 많이 줘서는 안된다는 것 정도는 안다. 아래로 물이 빠져나오진 않으니 된건가.

스며듬.. 참 신기한 과정이다. 그렇지 않은지. 그리고 다시 빠져나가는 것도.
스며듬-빠져나감이 좋다. 부시고, 뛰어넘고, 돌아가는 것은 그 자체로 힘들고, 불가능하기도 하니까...

활동을 한답시고 살면서 보니, 대개 죄다 부시고, 뛰어넘고 돌아가는 길만 있다. 그래서 어떻게든 지나가면 또 모르는데 나는 당최 힘이 딸려 부시고 뛰어넘는 건 잘 못하겠다. 그러니 주저 앉아 청승이나 떨고 "그런거 뭐하러 넘어? 여기가 바로 가려던 곳이야" 뭐 어디서 주워들은 얘기나 하며 늙은이 티만 냈었다.

그런데 보니 절대 부시고 뛰어넘고 돌아가서는 안되는 것이 있더라.
그건 스며들었다가, 그래서 생생하게 살아났다가 ... 역할이 다하면 다시 빠져나가야 될 것 같다.
아직은 잘 못하겠다. 이제 부시는 건 포기했고, 뛰어넘는건 멋있어 보일까 해서 조금 하긴 하고, 남들 안볼때 열나 달려 돌아가는 길 찾고는 있는데 .. 스며드는 게 연습이 되나?

물고기자리의 특징은 "물"과 같은 삶이란다. 조용히 스며들어, 활력을 주고는 다시 조용히 사라지는.. 갈라지고 벌어진 틈을 다시 하나로 이어질 수 있는.. 그런 삶. 어디 정말 그런가 보자. ㅋ

----

나를 "물"에 비유할 수 있다면 적어도 고여있는 잔잔한 물은 아니다 :)
지금 흐르는 줄기대로 계속 흐를까 아님 슬쩍 다른 데 스며들어 새 길을 내볼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6/20 03:34 2006/06/20 03:34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86
꼬뮤니 2006/06/21 12:49 URL EDIT REPLY
저도 호흡기에 좋다는 허브를 생일선물로 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활동하면서 몸을 전혀 돌보지 않은터라 기침을 바가지로 하고 다니게 되었는데, 한 후배가 몸 좀 추스리라면서 준거였는데....
결국, 회의다 집회다 뭐다 해서 집에도 잘 안들어가고, 결국 그 허브 다 말라 죽었지 뭡니까..
병 나으라는 주위의 관심을 부시고 뛰어넘고 돌아간 셈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왜 그 땐, 스며들 줄 몰랐을까요.. 가끔은 다른 곳에 스며들고 빠져드는 것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
지각생 2006/06/21 13:54 URL EDIT REPLY
지금은 몸 좀 추스리신 건지요. :)
꼬뮤니 2006/06/21 15:24 URL EDIT REPLY
그러다가 또 얼마전에 병이 도저서, 병원에 갔더니 알레르기 비염이 아주 심하다고 합니다. 약 먹고 좀 나아지는가 했더니, 요새도 아침 저녁으로 기침에 콧물에 아주 죽겠습니다. ㅠ_- 건강챙기세요.
지각생 2006/06/21 16:32 URL EDIT REPLY
감사함다 :D 저도 기관지와 코가 안 좋아 그 괴로움을 쪼금 압니다 -_- 부디 완쾌되시길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이런 붉은 악마는 어때?

IT / FOSS / 웹
오픈 소스 운영체제 FreeBSD에 빠져보는 건 어때요? :)  








홈페이지
국 사용자 그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6/18 14:19 2006/06/18 14:19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85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웅얼웅얼

잡기장
진보 불로그를 만든 건 2004년 10월이지만 열심히 쓴 것은 최근 들어서다. 그전에 몇번 설치형 블로그를 깔아 약간 써보긴 했지만 사람들이 오지 않는 혼자만의 낙서장은 그게 왜 온라인으로 씌어져야 되는지 알 수 없는 내용들로 가득찼다. 지금도 그렇지만 술먹고 늘어놓는 타령들, 내면의 고민과 고통을 외면하기 위해 갖다대는 핑계, 두리뭉실한 표현, 웅얼거림..

지금도 별 나아졌다는 생각은 안든다. 방문자수가 꾸준히 늘기는 하지만 덧글, 트랙백은 별로 없다. 오는 것도 없지만 사실 가는 것도 적다. 내가 쓴 글 내가 두번 세번 다시 읽으며 혹 문제 될 건 없을까 검열하고, 간혹 괜찮게 쓰여졌다 싶은 글 있으면 계속 읽으며 흐뭇해하기도 하는데, 그에 비하면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깊이 있게 고민하고, 그 사람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고, 내 경험에 비추고 내 생각과 더불어 발전시키는 상상을 하거나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 양적인 면보다는 질적인 면에서.

그럼 난 왜 이러고 있나. 왜 블로그를 쓰지.


오프라인 팀블로그라 할 수 있는 학교때 "날적이". 그때도 어찌 보면 지금과 비슷했다. 과방에 죽치고 있으며 계속 날적이만 써대는데, 보통 반 페이지 정도의 글을 쓰면 나는 2~3장이 넘는 긴 글을 읊어대곤 했다. 도대체 난 뭘 그렇게 웅얼거렸던 건지. 글씨나 깨끗하게 쓰거나 간단한 그림이라도 좀 그려넣었으면 좋았을 것을.

말이 분명하지 않고 늘어지는 것은, 그게 표현 능력의 문제라기 보단 실제로 내 머릿속이 복잡하거나, 아님 두려움에 확실한 내 생각을 말하지 않는 것, 혹은 (진짜 이유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말하려 하는지 내 스스로 잘 모르기 때문일 거다. 모르면 닥치고 사람들 하는 말을 들어야 되는데 글쎄 시건방지게도 조금 듣다보면 그 사람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안다고 생각해 버린다. 그리고 내 할말을 준비한다. (사실 준비랄 것도 없지만) 그렇게 되면 내가 말할 턴이 돌아올 때까지 듣기는 하되 머리엔 들어오지 않는, 혹 들어와도 금방 녹거나 새 나가는 상태가 된다.

-------------------

솔직한 글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 그런 글을 쓴다는 건.. 정말 힘든 일인 것 같다. 다른 사람들의 글을 읽다보면, 정말 감탄하게 되는 글들이 있다. 어떻게 이런 얘기를 자연스럽게 쓸 수가 있을까. 그래, 사실 나도 이 얘기를, 혹은 이런 방식으로 쓰고 싶었어, 하면서. 어렵지 않게, 쓸데 없는 군더기 없이 깔끔한.. 등의 외적인 부분보다는 그 내용, 아.. 내가 이런 말을 하면 사람들이 이렇게 저렇게 생각할텐데.. 그런 쓸데 없는 걱정들, 어떻게 이 사람은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걸까.

-------------------

오늘 모처럼 쉬면서 "내가 원하는 게 뭔가"를 들어보려고 했다. 조용히. 지금 내 상황, 당위 혹은 의무, 양심, 죄책감 이런거 다 떠나 정말 부끄럽더라도 솔직히, 내가 정말 하고 싶은것. 그게 되고 나서야 좀 수습이 되고 자신감을 갖고 과감히 뭔가에 몰입하고, 분명한 "나"의 영역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데. 근데 .. 오늘도 잘 안됐다. 내일은 조금 뭔가 나올 수 있으려나..

술 조금밖에 안마셨는데 -_- 아무래도 영향이 있는건가. 별로 쓰지도 않았는데 내가 무슨말을 하려했던건지 기억이 안나네. 결국 그전과 다를 바 없는 글이 또 하나 올라가나부다. ㅜ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6/18 03:15 2006/06/18 03:15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2dj/trackback/84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