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에 잠자고 있던 폐인이 일어난 지 43시간째.
어제 저녁 먹으러 잠깐 나갔다 온 것 외에는 건물을 벗어나지 않았다.
소울메이트 10회째, 에피소드 17 보는 중.
여전히 재밌긴 한데
고민꺼리들이 늘어나 걱정이다. 그래서 일단 끊었다.
점점 가슴도 아파오고.. 게다가 비가 계속 오니.
MusicIP Mixer 를 깔았다. http://www.musicip.com/
자동 선곡.. 죽인다. 그동안 몇천개 달하는 음악 중에 골라 듣기 넘 빡셌는데
비올때 듣기 좋은 음악만 계속 흘러나오는 중 ㅎㅎ 랜덤도 싫고 선곡도 귀찮은 분 이거 설치해보삼
작정하고 놀고 있다. 절대 일 안하고, 호기심을 꾹 참고 기술 스터디도 자제중. 볶음밥과 짜장면, 라면으로 지난 5끼를 해치웠다.
열심히 일하는 것은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것이다! 라고 말하며 주말에도 사무실 나와서 일하는 우리 H씨를 괴롭힌다.
H는 참 바쁘다. 이주노동자 커뮤니티, 방송국, 미디어교육, 울 삼실, 그리고 얽히고 설킨 개인적인 일들..
H가 "Rainy Night"이라는 곡을 만들었는데 처음 듣고 "너무 쓸쓸하자나.. 제목에 lonely 나 hardly 를 넣으면 어때요" 했었다. 근데... 뭘 덧붙이면 이상해질것 같긴 하다.
내가 이주노동자가 된다면? 불법 체류라면? 언어도 아직 완전하지 않고, 게다가 가진 돈도 없다면,
그리고... 그 사회가 외국인에게 특히 어떤 사람들에게 관대하지 않은 사회라면
그때 옆에서 누가 "외로우면 돌아다니며 사람 만나고 그래~" 그러면
"아.. 그래야겠군요. 당신의 친절에 감사~합니다." 그럴까..
불안. 상시적 공포. 가득찬 폭력.
내가 가진 사회적 유리함들.. 스스로 생각하기엔 작은 것 같지만 분명 그것조차 갖지 못한 사람들.
그로 인한 강박관념. 하지만 내 자신도 버거운 삶 속에서 의무 방어전. 립서비스. 넓어지며 얕아짐. 무책임성.
간접경험은 한계가 있어. 아무리 많이 집어넣어도.
그러니 역시 아는 척 말고 직접경험한 사람의 느낌을 받아들이려 애써야겠지.
비가 계속 와주니 우산 들고 잠깐 나갔다 와줘야 겠다.
그동안 다운받아 놓고 못 본것들 보는중. 퀭~ θ.θ

소울메이트 보다 뒤집어진다. 우히히ㅎ 지금 에피소드 5 보는중
전에 달군님이 "삶의 낙"이라고 하길래 한번 재방송 봤는데
"운명"이니 머니 하고 울며 매달리고 떠난넘이 돌아오고.. 하길래 "머야?" 하고 안봤었다.
(게다가 남자 주인공이 꽃미남 몸짱 돈많고 세련된 직업인 듯한 녀석 -_-; 심지어 목소리도 좋네 제길슨)
근데 첨부터 보니 그때 생각했던 분위기와 전혀 달랐다 ㅋ 역시 입소문은 괜히 나는게 아니군
이거 끊지를 못하겠다. 계속 다음편을 열고 있다... ㅋ
일하다가 아니라 영화와 드라마 보다 책상 밑에서 자는 것도 새롭군아. 진작 이런 삶을 살았어야 할것을.
오른쪽 이미지는 KLDP에서 퍼온것.
Joone 님의 블로그, "밤샘 근무의 슬픔". 아침에 아주머니가 빗자루로 깨우더라는 -_-
덧. 두 비정규직 노동자의 모습을 본다. (joone님은 어떠신지 모르지만) 대다수 IT노동자는 파견, 하도급, 특수고용.. 비정규직 박물관이다. 청소 일을 해주시는 분들도 대부분 최저임금도 못받는 여성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