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포카라.
카투만두에서 아침7시에 출발해서 1시쯤 포카라에 도착했다.
우선 등산장비를 빌렸다.
포카라 시내에는 등산용품을 팔거나 대여해주는 집들이 즐비하다.
상표는 오로지 노스페이스 뿐이다. 물론 짝퉁.
나는 침낭, 다운자켓, 스틱을 빌렸다. 세가지를 12일동안 빌리는데 1500루삐(2만2천원 가량)에 다 해결이 됐다. 등산장비 대여까지 마치고 나니, 트레킹 준비는 얼추 끝난 듯 하다.
늦은 점심은 한국식당을 찾아서 해결했다. '한국사랑'이란 큰 간판을 내걸고 있길래 들어갔는데, 네팔리가 하는 식당이다.
여행에서 현지 음식을 먹는 것도 큰 재미라는데, 많지 않은 다른 나라 여행때도 그랬고, 네팔은 더더욱,,, 도저히 현지 음식을 먹을 수가 없다. 그 독특하고도 낯선 향기를 수용하기에는 나의 식도와 위장, 무엇보다 나의 후각이 아직은 심히 소심하다.
포카라에 있는 페와 호수.
포카라 첫날 숙소인 꾸꾸리호텔.
'꾸꾸리'는 칼('단도'라고 해야 하나?)이란 네팔어다.
네팔에서는 '꾸꾸리'란 단어가 참 널리 쓰인다.
무엇보다, 꾸꾸리라는 술이 있고, 담배 이름도 꾸꾸리가 있다.
탕가(불화)를 그리는 사람들.
상점에서 그림을 파는데, 직접 그리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주로 타망족이 이 쪽에 재능이 있다고 한다.
네팔은 카투만두 분지의 원주민인 네와르족으로 처음 이루어졌는데, 타망족은 티벳에서 이주해 온 티벳족으로 헬렘부, 랑탕에 많이 산다고 한다. 타망은 티벳어로 말을 타는 병사라는 뜻이고, 티벳불교를 믿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