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에 관한 짧은 문구

"…나의 첫 번째 책은 상당히 일찍 쓰여졌습니다. 그리고는 그 다음 8년 동안 아무 것도 안 썼지요. … 그것은 내 생에서 하나의 공백, 8년 간의 공백과 같은 것입니다. 삶에서 흥미있는 것은 바로 그런 것들입니다. 삶이 내포하는 공백들, 균열들, 때로는 극적이고 때로는 그렇지도 못한 공백들 말입니다. … 핏제랄드의 아주 아름다운 소설이 하나 있습니다. 10년의 공백을 지닌 사람이 도시를 배회하는 이야기입니다. 반대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공백 대신 잉여적 추억들이 과도하게 떠돌아 어디에 놓아야 할지, 어디에 위치시켜야 할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내게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그 여분의 추억들을 가지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그런 상태입니다. 내 생애에서 흥미있는 것이라고는 이 두 가지, 건망증과 기억 증진 뿐입니다."(강조는 나)

- 질 들뢰즈, 「철학에 관하여」, p. 147, 『대담 1972~1990』, 솔

 

----------------

 

헌책방에서 구했는지, 아니면 그냥 어딘가에서 들고 왔는지,

위의 책은 출처를 알 수 없다. 제대로 읽지도 않았다.

다만 책 맨 앞 장에 나오는, 들뢰즈의 사진과 함께 있는 인용문의 저 문구,

의미를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뭔가 강렬했던 저 문구가 때때로 떠오르곤 했다.

 

이런 문구가 늘 그렇듯이, 내 기억에 있던 말은 좀 더 멋있었던 것 같은데,

위의 번역은 좀 별로다. 아마도 amnesia와 hypermnesia를 번역한 것 같은데

대구도 맞지 않고, 특히 뒷 말이 너무 멋이 없다.

'기억상실(증)과 기억앙진/항진(昻進/亢進)(증)' 또는 건망증의 일상적 의미를 살리고 싶을 경우,

'건망증과 기억과잉증' 정도가 좋을 것 같다.

뭐 이게 중요한 건 아니고.

 

니체도 이 문제를 다뤘던 걸로 기억하고

아렌트도 망각의 문제를 정치적 행위로서의 '용서'(forgive)와 연결시켰으며

'건망증/기억상실증'(amnesia)와 '사면'(amnesty)는 같은 희랍어 어원에서 나온 말이다.

 

기억을 다루는 것. 억압된 기억을 되돌이키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기억을 (억압까지는 아니더라도) '전위'(displace)시키는 것.

나 역시 점점 더 이 문제에 빠져든다.

 

저런 말 또는 말의 묶음이 만들어지는 그 지점에서

철학과 문학은 만나고 또 헤어질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9/04/19 16:28 2009/04/19 16:28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50

문학에 관한 이야기

"<문학과 사회>(통권 85호)는 지난 호에 이어 ‘미래의 작가들 2’를 특집으로 마련했다. ‘한국 소설의 현재와 미래’라는 좌담을 애써 준비한 모습이 다소 나이브해 보인다면, 특별기고에 주목해 볼 만하다. 요즘 국내에서 뜨고 있는 철학자인 ‘자크 랑시에르 인터뷰’에 지면을 할애했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의 사유에서 돋보이는 부분은 역시 문학과 정치 관련 대목이다. 곧 참여문학이냐 순수문학이냐라는 조야한 이분법을 넘어서고자 부단히 노력한다는 점에 랑시에르의 고유함이 있다.

인터뷰에서 그는 말한다. “저에게 문학은 무엇보다 문학성의 문제를 경유한 것이었죠. 이것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문제였습니다. 문학이 세계에 참여한다는 의미에서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 문학이 사물들에 다시 이름을 붙이고, 단어들과 사물들 사이의 틈을 만들고, 단어들과 정체성 사이의 틈을 만듦으로써 결국 탈정체화, 즉 주체화의 형태, 해방 가능성, 어떤 조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데 개입한다는 의미에서 정치적인 것입니다.”

내 안에 있는 ‘나 아닌 어떤 것’을 느끼게 하는 떨림. 공허한 추상명사, 밋밋한 보통명사, 야박한 시선만이 가득한 세상이, 독특한 존재들로 가득참을 느끼는데서 오는 전율. 시 한편을 통해 이 떨림과 전율을 경험했던 사람이라면 충분히 랑시에르에 동의할 수 있으리라. 거기에는 어떤 정치적인 것들보다 더 정치적인 호소가 담겨있다는 점까지도."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7775)

 

결국 문학이 힘을 갖는 것은, 그것의 대상이 지극히 보통한 '말'이기 때문 아닐까.

유아가 말과 만나면서 체험한 낯섦 심지어 폭력성을,

그렇다고 유아기로 퇴행하지 않으면서,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9/04/13 12:32 2009/04/13 12:32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49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09/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309398
Today:
77
Yesterday: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