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기지역 총파업 성사와 승리를 위한 현장활동가대회
2011.5.31.(화) 19:00, 수원역 광장
여느 노동자집회와 달리 깃발은 없었다.
참여한 현장활동가 한 사람 한 사람 스스로 ‘깃발’이었다.
‘경기지역총파업 성사와 승리를 위한 현장활동가대회’


만약 이 집회에서 결의한 것처럼 경기지역에서 ‘지역총파업’이 성사된다면, 이는 한국 사회 대중파업의 역사에서 새로운 시도로 평가될 것이다.


하나는 지역총파업의 ‘성사’ 그 자체가 총파업의 목표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노동조합의 공식적인 의결 절차와 지침에 따른 파업 결의가 아닌 아래로부터 현장활동가들의 결의에 따른 지역연대파업이라는 점 때문이다.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현장활동가들의 절박한 정세인식이 그들을 이런 결의로 이끌었을 것이다.
더 이상 무기력하게 노조의 지침을 기다릴 수 없다는 자성이 그들을 나서게 했을 것이다.


“해고는 살인이다!”(쌍용차)
“심야노동으로 골병들어 죽어가고 있다. 밤에는 잠좀 자자!”(유성기업)
“살인적인 등록금 인하해라!”(대학생)


많은 현장활동가들이 먼저 공장과 사무실의 담벼락을 뛰어넘어 먼저 ‘지역’으로 모였다. 그리고 ‘지역총파업’을 결의했다.
이제 현장활동가들은 이 결의를 가지고 다시 공장과 사무실로 들어갈 것이다.


그들이 다시 공장과 사무실 밖으로 나올 때는 혼자만이 아닐 것이다.
그들 한사람 한사람이 깃발이 되어, 공장과 사무실의 모든 노동자들과 함께 ‘지역’으로 넘쳐날 것이다.
총파업투쟁 속에서 ‘현장’은 ‘지역’이 되고, ‘지역’은 ‘현장’이 될 것이다.


경기지역총파업 투쟁 성사와 승리를 기원하며!

최근 댓글 목록